차범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4. 11. 15. 전라남도 목포 출생
2006. 6. 6. 사망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1955년 신춘문예 희곡 '밀주' 가작 입선으로 데뷔
_수상
1998 서울시 문화상
1993 이해랑연극상
1991 대한민국문학상
1982 대한민국예술원상
1981 대한민국 연극제 희곡상
1970 대한민국문화예술상
한국을 대표하는 사실주의 희곡작가이자 방송드라마 작가로, 극단 산하 대표, 대한민국예술원 회장, 사단법인 한국연극협회 이사장, 서울극작가그룹 회장, 청주대학교 교수, 서울예술전문대학 극작과 교수 등을 역임했다. 주요 희곡 작품으로 <귀향>, <산불>, <갈매기 떼>, <청기와 집>, <학이여, 사랑일레라>, <옥단어> 등이 있고, 주요 방송드라마로 <어둠 속에 피는 꽃>(1959), <물레방아>(1970), <전원일기>(1980), <드라마게임>(1984), <아리랑>(1994) 등이 있다. 2020년 그의 희곡ㆍ방송극ㆍ무용극ㆍ창극ㆍ뮤지컬ㆍ자서전ㆍ수필ㆍ논문ㆍ평론 등을 망라한 『차범석 전집』(전12권)이 출간되었다.
펼치기
유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용인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및 같은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오스트리아 빈대학교 연극학과에서 수학하였다. 연극평론가이며 문학박사. 한양대학교 국문학과 교수와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학장, 방송위원회 위원, 예술의전당 이사장,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장 및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단국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연극산고』(1978) 『한국현대희곡사』(1982) 『한국연극의 미학』(1982) 『전통극과 현대극』(1984) 『한국연극의 위상』(1991) 『한국근대연극사』(1996) 『한국근대극장변천사』(1998) 『20세기 후반의 연극문화』(2000) 『격동사회의 문화비평』(2000) 『문화공간 개혁과 예술발전』(2004) 『한국인물연극사』(전 2권, 2006) 『한국연극의 사적성찰과 지향』(2010) 『한국근대연극사 신론』(전 2권, 2011) 『인생과 연극의 흔적』(2012) 『한국연극의 아버지 동랑 유치진–유치진 평전』(2015) 『한국연극의 거인 이해랑』(2016) 『무대 위 세상 무대 밖 세상』(2016) 『예술경영으로 본 극장사론』(2017) 『풍성한 문화예술계의 명암』(2019) 『사의 찬미와 함께 난파하다–윤심덕과 김우진』(2021) 『21세기에 돌아보는 한국 연극운동사』(2022) 『북한 연극사』(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전성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명지전문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한국드라마학회장, 차범석학회장을 역임했다. 차범석 관련 편저로 『차범석 전집』(전12권, 공편), 『차범석의 전원일기』(전3권)가 있으며, 논문으로 <차범석의 세계관 형성과 초기 희곡 연구>, <차범석의 ‘전원 일기’ 연구(1)>이 있다. 그 밖에 공저로 『한국문학에 나타난 노년의식연구』(1, 2, 4권), 『국립극장 50년사』, 『세종문화회관 전사』, 『세계화 시대의 창극』, 『인물연극사 한국현대연극 100년』, 『동랑 유치진, 한국공연예술의 표상』, 『배우와 연기를 보는 여섯 개의 시선』, 『창극의 변화와 도약』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가부장제 문화에 대한 도전>, <박현숙 희곡에 나타난 여성들의 가정 지키기>, <춘천마임축제 연구>, <포천 반월 아트홀 운영 방안 연구>, <한국의 가면극과 그로테스크〉, 〈한국 여성국극 연구 - 국극 번성과 쇠퇴의 원인을 중심으로>, <임춘앵론>, <함현진론>, <박근형 희곡의 아버지 혹은 부성의 부재와 상실의 의미>, <TV 드라마에 나타난 노년의식 연구 - ‘거침 없이 하이킥’을 중심으로>, <노년작가가 인식한 노년의 문제 - 윤대성의 노년 3부작 ‘한번만 더 사랑할 수 있다면’, ‘아름다운 꿈 깨어나서’, ‘동행’을 중심으로>가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