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876576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0-04-30
책 소개
목차
제1부 재난과 국가
한국의 대응, 모델이 될 것인가 /이나미
중국, 우리가 서로 배워야 할 것들 /김유익
일본의 방심과 미주迷走 /야규 마코토
코로나19와 지방정부의 대응 체제 /윤창원
제2부 재난과 매체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한국 언론의 시각 /민지오
재난 상황에서 본 저널리즘의 위기와 네티즌들의 반응 /장희욱
이상적인 방역 모델을 보여주다 /조성환
제3부 재난과 공공성
신종 감염병의 시대, 의료 시스템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박재현
바이러스 오브젝트Virus Object /이원진
재난에 발휘되는 도덕성 /조성환
재난, 혐오에 날개를 달다 /김진경
제4부 재난과 일상
코로나19가 바꾼 일상과 삶 /이현진
변화된 일상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 /박지은
영화로 보는 팬데믹 컬쳐의 도래 /이원진
제5부 재난과 종교
코로나19, 종교에게 무엇을 요구하는가? /허남진
종교와 감염 /이창익
코로나19와 신천지 /홍승진
제6부 재난과 인문학
전환 시대의 새로운 삶의 지침, 멈추고 돌아보는 마음 /유정길
다시 개벽의 그 시대가 열리고 있다 /박길수
인류가 우리다 /심규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국정부 : 해외 언론은 한국이 바이러스에 비교적 성공적으로 대처한 요인으로, 중앙집권화된 민주 체제, 의료보험의 보편화, 준비된 공공보건 시스템, 사회적 응집력과 높은 시민의식, 의료인들의 전문성과 헌신성, 정치지도자의 의지를 꼽았다. (중략) 이러한 국내외적 평가를 종합하면 성공 요인으로 꼽히는 한국 모델의 특징은, 첫째, 준비된 공공보건 시스템, 둘째, 철저한 역학조사와 정보공개, 셋째, 신속하고 효율적인 검사, 넷째, 선별적이고 체계적인 치료, 다섯째, 민관 협치의 거버넌스라고 할 수 있다.
중국 : 중국이 직면해야 했던 문제의 복잡성과 스케일, 그리고 시민사회 역량의 한계를 보았을 때, 중국은 이번에 현 체제에 가장 적합한 대응책을 효과적으로 구사한 것으로 필자는 판단한다. 굳이 비교하자면, 중국은 크기가 비슷한 미국이나 EU와 함께 살펴보는 것이 공정할 터인데, 지금 시점에서 보면, 두 지역의 피해 상황은 중국 못지않게 심각하고, 또 이들 지역은 전대미문의 위기 상황에서 한국이 택한 개방적이며 자율을 중시하는 대응책보다는, 놀랍게도 그들이 일상적으로 비아냥거리는 중국처럼, 자유를 억압하는 국가주의적 정책을 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 : 중앙정부가 미덥지 않다고 느낀 지방지자체는 정부의 지시를 기다리지 않고 대책을 강구하기 시작했다. (중략) 이러한 ‘와카야마 모델’ 덕분에 와카야마현은, 코로나19 확진자수 전국 2위인 오사카부와 인접해 있고 간사이국제공항關西空港과도 가깝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유입하기 쉬운 지리적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코로나19 확산을 잘 막고 있는 편이다. 미국의《 워싱턴포스트》도 이 와카야마 모델에 주목하여 ‘일본 정부의 지침을 따르지 않은 승리’라고 칭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