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61092050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12-03-10
책 소개
목차
Ⅰ 총론
성격의 본질과 발생
성격발달을 위한 공동체 의식의 중요성
성격발달의 방향
고전 심리학파와의 차이점
기질과 내분비선
총괄
Ⅱ 공격적인 성격의 특성
허영심(야심)
신을 닮으려는 욕망
질투
시기
탐욕(인색함)
증오
Ⅲ 비공격적인 성격의 특성
수줍음
공포
소심함
회피하기
적응력 부족과 절제되지 않는 행동
Ⅳ 기타 성격의 표현형식
쾌활함
사고와 표현형식
미숙함
원칙주의에 융통성 없는 사람
비굴함
거만함
기분파
불운한 사람
신앙심
Ⅴ 감정
사람과 사람을 분리하는 감정
사람과 사람을 결합하는 감정
부록
교육에 대한 견해
결론
리뷰
책속에서
모든 사람은 개인의 권력욕구의 정도에 따라 야심과 허영심을 내재하고 있으며, 이것들이 표출되는 현상에 따라 개인이 추구하는 것과 작용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사실을 다뤘다. 과도한 야심과 허영심의 발달이 어떻게 한 개인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하고 공동체 의식을 억누르며, 우리 인간 사회를 어떤 식으로 방해하는지, 그리고 개인의 노력을 좌절시키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정신발달의 법칙을 우리는 부정할 수 없다. 이 법칙은 어두운 힘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운명을 의식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지표 역할을 해줄 것이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지만 누구에게나 필요하고 가장 중요한‘인간이해’를 추구하고자 한다.
‘내게 이 결함이 없다면 내 능력을 거침없이 발휘했을 텐데. 하지만 안타깝게도 내겐 결함이 있어.’
또한 권력 추구에 눈이 멀어 주변 사람과 늘 다툼을 벌이곤 하는 사람은 투쟁에 필요한 성격을 습득한다. 바로 야심, 시기, 불신이다. 우리는 이러한 성격특징을 인격과 분리해서 바라보지 못하며, 선천적이기 때문에 변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자세히 관찰해보자. 성격은 생활방식에 따라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습득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근본적인 제1차 요인이 아니라 부수적인 제2차 요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