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상학/해석학/실존철학
· ISBN : 9788961473187
· 쪽수 : 551쪽
· 출판일 : 2017-12-22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서론
1절 ‘정신과학’의 개념에 관하여
1. ‘대상’의 관점에서 본 ‘정신’과학
2. ‘방법’의 관점에서 본 정신‘과학’
2절 정신과학의 ‘정초’에 관하여
1. 형이상학적 선입견으로서의 실증주의·자연주의에 대한 비판
2. 신칸트학파와 딜타이의 철학에 대한 후설의 현상학적 비판과 초월론적 철학의 개혁
3절 책의 구성과 논의의 전개
1장 신칸트학파와 정신과학의 정초
1절 빈델반트와 역사학의 정초
1. 경험적 학문과 선험적 학문
2. 발생적 방법과 비판적 방법
3. 법칙의 정립과 개성의 기술
4. 역사학에서 두 종류의 원인
5. 빈델반트의 의의와 한계
2절 리케르트와 문화과학의 정초
1. 칸트철학의 비판적 변용
2. 경험적 실재의 비이성성
3. 구성적 형식과 방법적 형식
4. 자연과학 개념형성의 한계
5. 정신과학에서 문화과학으로
6. 의미의 영역으로서의 문화
7. 역사적 문화과학의 개념형성
8. 가치 관계와 문화과학의 객관성
2장 딜타이와 정신과학의 정초
1절 정신과학의 토대로서의 삶
1. 존재론적 학문 구획의 의미
2. 외적 지각과 내적 지각
3. 근원적 체험과 삶의 관점
2절 기술-분석심리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1. 설명적 심리학과 기술-분석심리학
2. 인식 체험의 구조적-발생적 연관
3. 형식적 범주와 실질적 범주
3절 해석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1. 체험의 객관화로서의 삶의 표현
2. 객관정신과 역사적 존재
3. 유비추리와 추체험으로서의 이해
3장 생활세계의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1절 현상학적 태도 변경과 생활세계
1. 자연주의적 태도와 자연과학
2. 인격주의적 태도와 정신과학
3. 자연적 태도와 생활세계
2절 생활세계와 현상학적 학문 구획
1. 생활세계의 존재론과 경험의 구조
1) 빈델반트의 학문 구획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2) 리케르트의 학문 구획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2. 생활세계에 정초된 형식적 학문 구획
3. 생활세계에 정초된 내용적 학문 구획
1) 신칸트학파의 학문 구획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2) 딜타이의 학문 구획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3절 생활세계에서 수립되는 자연과학과 정신과학
1. 생활세계에서 자연과 정신의 층의 구조
2. 현상학과 자연주의에서 층의 의미 차이
3. 수학화된 자연에 의한 생활세계의 왜곡
1) 문화적 술어의 추상과 순수한 자연의 확보
2) 순수한 자연에 대한 수학화와 이념화
3) 수학화될 수 없는 사태에 대한 간접적 수학화
4) 기호에 의한 형식화
4장 현상학적 심리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1절 현상학적-심리학적 환원과 의의
1. 자연주의 심리학에 대한 비판
2. 정신의 본질에 관한 영역 존재론
3. 초월론적 현상학의 예비적 단계
2절 정신과학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적 심리학
1. 인식의 권리 원천으로서의 명증
2. 다양한 의식 체험의 지향적 구조
1) 반성
2) 지각
3) 기억
4) 기대
5) 기호 의식
6) 그림 의식
7) 상상
8) 타인지각과 추체험
9) 유형과 범주에 대한 직관?
10) 본질직관
3. 현상학적 ‘명증’과 정신과학의 ‘증거’
3절 딜타이의 심리학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1. 심리적 주관에 대한 자연주의적 편견의 잔재
2. 본질에 기초한 엄밀한 방법론의 결여
3. 삶의 형이상학에 머문 불철저한 역사 이성 비판
5장 초월론적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1절 초월론적 현상학의 두 얼굴
1. 초월론적-현상학적 정초의 의미
2. 초월론적 현상학의 두 정초 관계
2절 정적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1. 원초적 환원과 반성적 자기의식
2. 타당성 정초와 이성적 동기 관계
3. 사물의 구성에 대한 정적 분석
4. 타인의 구성에 대한 정적 분석
5. 세계의 구성에 대한 정적 분석
1) 주관적 공간의 구성
2) 객관적 공간의 구성
3) 문화적 세계의 구성
6. 정신과학의 인식론적 토대로서의 정적 현상학
3절 발생적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1. 발생의 근원 영역인 선-반성적 의식
2. 발생적 정초와 연상적 동기 관계
3. 사물의 구성에 대한 발생적 분석
4. 타인의 구성에 대한 발생적 분석
5. 세계의 구성에 대한 발생적 분석
6. 정신과학의 존재론적 토대로서의 발생적 현상학
4절 정신과학의 범례로서 역사학의 정초
1. 경험적 역사학과 현상학적 역사학
2. 발생적 현상학: 역사적 지평과 역사의식
3. 정적 현상학: 역사적 타인지각과 역사 인식
5절 기존의 초월론적 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신칸트학파의 초월론적 철학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2. 딜타이의 초월론적 철학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결론
1. 논의의 요약
2. 성과와 의의
3. 차후의 과제
1) 신칸트학파 및 딜타이 철학과의 비교 연구
2) 하이데거 및 가다머와의 비교 연구
3) 리쾨르 해석학과의 비교 연구
4) 경험적 정신과학에의 적용
5) 현상학적-질적 연구의 가능성
약어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