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신화 이야기
· ISBN : 9788961473576
· 쪽수 : 438쪽
· 출판일 : 2020-01-31
책 소개
목차
개정판 서문: 컨텍스트와 역사
감사의 말
서론: 신화와 메타포
1장 현미경과 망원경
텍스트의 렌즈로서의 신화
신화에 대한 학자의 렌즈
「욥기」와 『바가바타 푸라나』에 나타난 신학적 렌즈로서의 신화
정치적 렌즈로서의 신화
인간적 렌즈로서의 신화
2장 검은 고양이, 짖는 개, 수레 그리고 칼
검은 고양이들의 차이
짖지 않는 개
같은 옛이야기
컨텍스트
전체와 부분들: 수레와 칼
3장 암시된 거미와 개별주의의 정치학
보편주의자의 문제
비교 문화적 결론
암시된 거미
비교에 대한 포스트식민주의적, 포스트모던적 비판
신화학의 예술과 과학
4장 미시 신화, 거시 신화 그리고 다성성
관점이 없는 신화
많은 목소리
미시 신화와 거시 신화
관점이 있는 신화
전도된 정치적 판본들
현대의 신화적 텍스트에 대한 전도된 정치적 독해
5장 마더 구스와 여성의 목소리
늙은 아낙네들의 이야기
여성의 관점
여성 텍스트 속 남성의 목소리
남성 텍스트 속 여성의 목소리
양성구유적 언어
여성의 목소리 구하기
6장 텍스트의 다원주의와 학문의 다원주의
원형
전파와 잔존
마음속 더러운 넝마 가게
브리콜라주 버스에서 내리기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회춘
일흔 개의 다른 해석들
멀티 대학교
줄타기
참고 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신화는 "역사의 연기the smoke of history"라 불려왔다. 그래서 우리는 항상 신화라는 연기를 역사적 사건이라는 불과 분리하려고 노력해야만 한다. 그뿐만 아니라 신화가 (마치 연기가 불에서부터 나오듯이) 단지 역사적 사건들에 반응할 뿐만 아니라 (마치 불이 연기를 치솟게 하듯이) 이들을 만들어내기도 할 때 신화가 어떻게 불이 될 수도 있는지 보여주려고 노력해야만 한다.
신화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대개 정의定意에서부터 출발한다. 나는 언제나 이러한 방식을 거부해왔는데, 이는 내가 신화란 무엇인가(아니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신화는 무엇이 아닌가라는 질문이 될 것이다. 정의란 언제나 이처럼 배타적인 언어를 사용하니까)라는 것에 대해 구술하기보다는, 신화는 무엇을 하는가를 탐구하는 것에(그리고 나아가서 가능한 한 그 기능의 포괄적 범위를 다 보여주려고 시도하는 것에) 더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신화를 정의한다는 것은 내가 언제나 기피해왔던 경계와 장벽 따위를 쌓아올리는 일을 요구한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경계 짓기, 장벽 쌓기에 도전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