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성스러움을 향하는 세계의 중심, 전라북도 1

성스러움을 향하는 세계의 중심, 전라북도 1

(전라북도로 떠나는 종교 여행)

유요한, 최종성, 권용란, 박병훈, 박인규, 최화선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성스러움을 향하는 세계의 중심, 전라북도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성스러움을 향하는 세계의 중심, 전라북도 1 (전라북도로 떠나는 종교 여행)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종교의 이해
· ISBN : 979116684107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2-06-07

책 소개

종교학에서는 ‘세계의 중심’이라는 지위가 성스럽게 인식되는 존재, 힘, 자연물 등과의 관계를 통해 확보된다고 말한다. 세계의 중심은 종종 ‘신’으로 대표되는 성스러운 존재와 인간을 연결하는 통로면서, 인간이 성스러움을 바라볼 수 있는 창의 기능을 한다.

목차

들어가며
성스러움을 향하는 세계의 중심, 전라북도: “여그 땅이 그런 기운을 지닌 땅이여”
- 유요한

1장
전라북도의 종교문화: 민심의 한가운데에서 천심을 보다
- 최종성

2장
경기전, 태조의 본향을 담다
- 권용란

3장
원불교, 새로운 세상을 노래하다: 전라북도와 새 회상
- 박병훈

4장
해원상생과 후천개벽 운동의 산실, 강증산과 전라북도
- 박인규

5장
팔림세스트로서의 공간/영화적 이미지: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의 장소와 시간
- 최화선

저자소개

최화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로마 시대 점술론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후기 고대 그리스도교 순례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에서 수년간 〈종교와 영화〉, 〈종교와 예술〉을 강의하고 있으며, 신화와 의례 등의 종교현상을 영화, 미술, 건축, 문학, 여행 등 다양한 문화적 차원에서 논의하고 이를 통해 종교문화를 새롭게 이해하는 것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역서로 『암시된 거미: 신화 속의 정치와 신학』, 『신화 이론화하기: 서사, 이데올로기, 학문』, 등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 『신화, 신화담론, 신화 만들기』(공저), 『종교, 미디어, 감각』(공저)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봉헌물과 물질종교: 엑스-보토(ex-voto)와 사물의 행위성」, 「“씌어지지 않은 것을 읽기”: 점술의 사유와 이미지 사유」, 「신화, 유령, 잔존하는 이미지: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영화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최종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역사민속학회장을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종교문화 횡단기』(이학사, 2018), 『역주 요승처경추안』(지식과교양, 2013), 『동학의 테오프락시』(민속원, 2009), 『기우제등록과 기후의례』(서울대출판부, 2007), 『조선조 무속 국행의례 연구』(일지사, 2002)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시천교조유적도지: 그림으로 읽는 또 다른 동학사』(모시는사람들, 2020), 『산과 인간이 만나는 곳, 산』(이학사, 2020), 『두 조선의 여성: 신체·언어·심성』(혜안, 2016), Korean Popular Beliefs (Jimoondang, 2015), 『고려시대의 종교문화』(서울대출판부, 2002)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국역 차충걸추안』(민속원, 2010), 『국역 역적여환등추안』(민속원, 2010), 『세계종교사상사2』(이학사, 2005) 등이 있다.
펼치기
유요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러큐즈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부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로 재직해 왔으며, 비교종교학의 관점에서 종교의 다양한 문제들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저서로 『우리 시대의 신화』(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종교학의 이해』(세창출판사, 2020), 『종교 상징의 이해』(세창출판사, 2021), Cosmologies of Pure Realms and the Rhetoric of Pollution(Routledge, 2021, 2인 공저), 역서로 『엘리아데의 신화와 종교』(더글라스 알렌 저, 이학사, 2008), 『세계 종교 산책』(로이 롭슨 저, 시그마프레스, 2013, 2인 공역), 『종교학의 전개』(에릭 샤프 저, 시그마프레스, 2017, 2인 공역) 등이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권용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종교학 박사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한신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있다. 저서로는 『조선시대 왕실 조상신에 대한 연구』가 있고, 논문으로는 「조선시대 ‘개화(改火)’ 의례 연구」, 「조선시대 “解怪祭” 연구」, 「조선왕실 문희묘(文禧廟) 의례의 형성과 특징」 등이 있다.
펼치기
박병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종교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태동고전연구소를 수료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시간강사,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객원연구원이다. 동학(東學)을 비롯한 한국 신종교의 연구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공저로 『전라북도의 종교와 신화』, 『시천교조유적도지』(역서)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한국 근대 신종교가사 연구 : 시운과 도덕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 비결가사 연구: 비결에서 비결가사로의 전환과 전개」, 「동학 강필 연구」, 「동학의 영부관(靈符觀) 연구 ― 시천교계 교단을 중심으로」, 「상주 동학교 선천회복 사상 일고(一考)」, 「상주 동학교 체천(體天)사상 재고」, 「〈궁을가〉 연구」, 「〈채지가〉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박인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서 「주문의 수행적 특성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일제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 한국종교 상황과 동학과 증산계 신종교를 중심으로 한국 신종교 운동에 관심을 가지며 관련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 근현대 민중중심 제천의례 조명』(공저)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 「규장각 소장 동학서(東學書) 분석: 자료의 성격에 따른 분류를 통해」, 「증산 강일순 생가터의 고증과 종교문화적 의의」, 「1920년대 차천자 등극설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둡고 무거운 세상 속에서 그 너머를 꿈꾸고 갈망하는 사람들이 모여든 곳이 세계의 중심입니다. 이 책에 실린 글을 통해, 전라북도가 성스러움을 향하는 사람들이 살아온 곳이라는 것, 그래서 다른 어떤 지역보다 더 견고한 세계의 중심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우리 모두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동학란’이든, ‘동학혁명’이든, ‘농민전쟁’이든 어떤 명칭을 사용하더라도 동학의 영적 자원과 농민의 혁명적 역량, 그 어느 한쪽도 간과되어서는 곤란하다고 생각합니다.


폭력적 수단만 가지고는 혁명이 성사되기 어렵습니다. 이데올로기적인 설득과 정서적인 환기를 제공하는 종교적 담론의 힘이 결부될 때 사회의 재구성이 용이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