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61889155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09-07-20
책 소개
목차
글로벌 금융위기를 바라보며 - 한국경제, 체질 개선 절실하다
들어가는 말 - 금융은 국가의 힘이다
제 1 장 : 금융력의 경쟁시대 - 금융과 국가의 위상
군사력과 금융력
금융은 유익한 기능인가
금융력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제 2 장 : 국제금융의 역할 - 어떻게 발전해 왔나
국제금융은 어떻게 시작된 것인가
자금은 어떻게 자본화 됐나
두가지 자본시장 기능의 발견
자본은 어떻게 집적되고 증식됐는가
국제금융역학의 강력함과 위태로움
제 3 장 : 금융의 현대사 - 국가는 추진력이 될 수 있는가
국제금융 위기는 어떻게 터졌는가
미국에 의한 금융의 제도 설계
미국식 금융수법의 함정
소버린 웰스의 대두
‘금’은 복권될 것인가
제 4 장 : 금융력 확대전략 - 각국은 금융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일본의 실패에서 배우는 중국
스위스는 어떻게 금융입국이 됐는가
‘포스트 원유시대’를 준비하는 산유국
아시아 각국의 허브 센터화
택스 헤이븐의 금융 전략
제 5 장 : 일본의 금융력 재고 - 금융전략에 무관심한 일본
‘금융력 둔감’의 커다란 폐해
제도 설계력의 중요성
국제금융체제의 위기와 기회
일본이 안고 있는 세 가지 문제점
금융은 국가전략의 기초가 될 수 있는가
나가는 말 - 금융은 사회학이다
책속에서
금융을 "돈"이라는 동전의 한 쪽으로만 보면, 금융 경쟁력은 결코 육성되지 않는다. 금융은, 특히 국제금융이라는 것은 대외적인 중요한 전략 도구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국가 차원에서 이런 큰 그림을 갖고 있지 않으면 금융산업은 성장하지 않으며 국익에 도움이 될 수도 없다. "500년의 오랜 역사를 가진 구미금융을, 국가 프로젝트 차원에서 어떻게 상대해 나갈 것인가" 이것을 우선 전략의 출발점으로 삼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