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피지털 커먼즈

피지털 커먼즈

(플랫폼 인클로저에 맞서는 기술생태 공통장)

이광석 (지은이)
갈무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피지털 커먼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피지털 커먼즈 (플랫폼 인클로저에 맞서는 기술생태 공통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1952842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1-10-21

책 소개

거의 모든 유무형 자원을 포획하고 뭇 생명을 예속화하려는 플랫폼자본주의의 인클로저 질서에 맞서서 지속가능한 공통의 미래 대안을 찾기 위한 시도이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무너지는 ‘피지털’ 현실에서 우리는 어떤 호혜의 공통장을 기획할 수 있을까?

목차

서문 6

1부 플랫폼 질서와 커먼즈 위기

1장 데이터사회의 형성과 새로운 인클로저 19
데이터사회의 형성 23
데이터 인클로저 29
포스트휴먼 데이터 주체의 형성 35
데이터 통치술 48

2장 플랫폼자본주의와 커먼즈의 위기 56
플랫폼 장치 61
데이터(은행), 브로커, 알고리즘 63
플랫폼 장치의 주요 특징 72
플랫폼자본주의와 신생 인클로저 78
플랫폼 시대 커먼즈의 구상 93

2부 피지털 커먼즈의 조건


3장 커먼즈, 다른 삶의 직조 102
커먼즈의 실천적 정의 105
커먼즈의 층위 113
비물질계 커먼즈 다시 읽기 117
피지털 커먼즈의 신생 조건 130

4장 공유경제 비판과 도시 커먼즈 145
자원 중개 시장의 탄생 149
공유경제에서 도시 커먼즈로 157
‘공유도시 서울’의 딜레마 164
공유 정책 모델의 모순과 한계 177
‘공유도시’에서 ‘커먼즈 도시’로 186
‘커먼즈 도시’의 정치 위상학 192

3부 문화 커먼즈의 창작 유산


5장 파토스의 문화 커먼즈 200
퍼블릭도메인의 역사와 한계 204
디지털 복제와 미메시스 문화의 일상화 212
복제와 전유의 문제 217
리믹스와 매시업의 층위 221
카피레프트와 예술 저항 228
파토스의 문화 커먼즈 236

6장 아방가르드와 반인클로저 전통 248
다다의 아방가르드적 유산 253
다다의 반예술과 정치미학 259
하트필드의 포토몽타주 267
포토몽타주의 사회 미학적 함의 276
패러디와 문화 커먼즈 281
패러디 미학 287
포토몽타주와 패러디의 동시대성 292

4부 인류세와 생태 커먼즈


7장 ‘인류세’ 지구 커먼즈 297
‘인류세’ 개념의 출발 301
출구 없는 ‘지구행성’에 매달린 인류 305
‘탈’인간중심주의가 빠뜨린 것 314
맑스 에콜로지와 ‘자본세’ 320
‘인류세’ 국면의 포스트휴먼 문제 331

8장 그린 뉴딜과 탈인류세 기획 339
과학기술에 대한 근대주의적 오만 343
기후위기와 테크놀로지의 악무한 347
야만의 테크놀로지에 예속된 타자들 352
급박한 생태 대안, ‘그린 뉴딜’ 실험 356
우리에게 남겨진 선택 364
생태-기술-인간, 공생공락의 관계를 위하여 368
과학기술의 지구 커먼즈적 조건 373

참고문헌 380
인명 찾아보기 393
용어 찾아보기 396

저자소개

이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테크놀로지, 사회, 생태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에 비판적 관심을 갖고 연구, 비평 및 저술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전공 교수이며,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의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문화 연구, 커먼즈, 플랫폼, 기술 생태정치학, 자동화 사회 등에 걸쳐 있다. 《디지털 폭식 사회》, 《피지털 커먼즈》, 《포스트디지털》, 《디지털의 배신》, 《데이터 사회 미학》, 《데이터 사회 비판》, 《뉴아트행동주의》, 《사이방가르드》, 《디지털 야만》, 《옥상의 미학 노트》, IT development in Korea: A Broadband Nirvana?를 썼다. 직접 기획하고 엮은 책으로 《불순한 테크놀로지》,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사물에 수작 부리기》 등이 있고, 그 외 다수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광석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이제 사유화된 기업 논리에 우리의 미래를 의탁하거나 정부의 공적 지원 체제만을 바라고 살기에는 너무도 불평등과 부정의가 만연하고 척박한 삶의 현실에 봉착했다. ‘사유’(私有)와 ‘공유’(公有)를 넘어, 이제까지와는 다른 삶을 살기 위해 우리 스스로 짜는 대안 기획이자 실천 방식인 ‘커먼즈’(공유[共有])의 가치 전유가 필요하다. 이 책은 생성 중이지만 다층적으로 무수히 가지치기하면서 자본주의가 강요하는 착취와 수탈의 방식을 벗어나 호혜적 삶을 직조하려는, 반인클로저 운동과 공생공락의 새로운 실천 징후와 흐름을 주목한다.
― 「서문」 중에서


우리에게 익숙한 상호부조와 품앗이 전통은 태스크래빗이, 아는 이들끼리 빈집 잠자리를 함께 나누던 지역문화는 에어비앤비가, 동네 커뮤니티 수준에서 비공식적으로 이뤄지던 카풀은 우버나 집카가, 하숙집의 거주 문화는 셰어하우스 플랫폼이 흡수하거나 대체한다. ... 공유경제와 플랫폼경제는 바로 이와 같은 커뮤니티와 사회 증여의 대상들에 ‘공유’와 ‘효율’의 명목 아래 아예 사유지의 말뚝을 박으려는 시장 욕망을 반영한다.
― 1장 데이터사회의 형성과 새로운 인클로저


플랫폼 기업은 이용자들이 일상적으로 생산하는 감정·정서·의식·정동·언어·활동 등 전자적 표현과 지적 유대의 무수한 관계의 갈래들을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효과적으로 실어 나르고 중개하면서도, 그 집합적 기호를 어떻게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망 안으로 흡수할 수 있을까를 암중모색하는 이중의 비즈니스 전략을 꾀한다.
― 2장 플랫폼자본주의와 커먼즈의 위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