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88961962476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5-08-0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제1장 굽어 온전한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의 직선
수줍은 한국의 곡선
중국, 운동하는 곡선
황금비에서 시작된 일본의 기하학적 균제미
조각과 회화에서의 곡선성
곡선을 좋아하는 마음은 무엇인가
여성성과 동양
제2장 눈으로 생각하는 중국인, 압축하는 일본인, 은유하는 한국인
정보의 잉여가 만든 미술 양식
중국, 과장의 미술
골법용필 대 응물상형
중국인의 시각적 사고 Ⅰ
중국인의 시각적 사고 Ⅱ
한국의 은유적 상상력
압축하는 일본인
제3장 세 종류의 강박, 이념적이거나 곡예적이거나 탐미적이거나
이념이 낳은 강박, 한국
극한을 향하여, 중국
탐미적 강박, 일본
제4장 혁신하는 한국, 통합하는 중국, 심화하는 일본
대비의 미술사
색상대비를 넘어서
흐트러짐 대 단정함, 조선에 현대성을 입히다
재현 그리고 통합
형태의 심화, 일본
한·중·일 복식 대비
제5장 복잡한 부처, 간결한 부처
문화의 복잡도와 미술 양식의 복잡도
부처 얼굴에 나타난 복잡도
복잡한 부처의 얼굴
도자기 문양의 시각적 풍요로움
풍요로운, 너무나 풍요로운 조선의 단청
제6장 세상에 대한 일본의 갈증, 한국의 무심함, 중국의 이중성
은자의 화폭, 조선의 산수화
전망과 도피의 극단을 오가는 중국의 산수화
장식적인 일본의 산수화
제7장 일본의 요괴, 한국의 해학, 중국의 협객
고통과 죽음을 다루는 미술
일본의 우울과 공포의 미술
한국인의 신명과 해학
강호를 호령하던 협객
닫는 글_ 옛 미술은 한·중·일의 문화적 화석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문화를 한 나라의 예술 수준 정도로 이해하는 것은 문화를 저급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문화는 한 민족의 세계관이자 인간관이며 기본 성격이라 할 수 있다. 한 개인의 인생관과 성격이 그 사람의 성취를 결정하듯이 한 민족의 기저 문화는 그 민족의 현재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려는 것은 바로 이 기저 문화다. 기저 문화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문화적 화석이라고 할 수 있는 옛 미술 양식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_ 「여는 글」에서
한국과 중국의 곡선성의 차이는 제작 시기가 비슷한 남당 5대 때의 금강역사상과 신라 석굴암의 금강역사상을 비교해보면 극명해진다. 모두 엄청나게 힘이 센 존재들이지만 지혜도 갖추고 있어 절제된 동작 표현이 중요하다. 신라의 금강역사상이 간결하고 동작이 절제되어 있다면 당나라의 역사상은 석굴암의 역사상보다 동적이다. 몸통이 더 곡선적으로 휘어 있기 때문이다.
_ 「조각과 회화에서의 곡선성」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