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왕단의 중국 현대사

왕단의 중국 현대사

왕단 (지은이), 송인재 (옮긴이)
동아시아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0원
19,8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G마켓 직접배송 1개 9,24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왕단의 중국 현대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왕단의 중국 현대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62620672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13-02-20

책 소개

톈안먼 민주화 운동의 주역 왕단의 중국 현대사. 1949년 정부 수립 이후부터 중국 공산당의 정치사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비판하며 다른 책들과 차별성을 보인다. 이는 '당黨.국國 체제'라고 불리는 중국의 현 체제를 보여주는 데 가장 적합한 접근법이다.

목차

옮긴이 서문
서문

제1강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3대 전투, 중국 공산당 세상의 터전을 닦다
중국 공산당은 왜 국민당에 승리했나?
개국 행사
신정권의 공고화
상공업 부르주아의 문제에 대한 대처 방법에서 마오쩌둥과 류사오치의 의견이 갈리기 시작하다
가오강 사건

제2강 군사: 한국 전쟁
공식 견해와 새로운 연구
한국 전쟁은 어떻게 일어났는가?
한국 전쟁 발발
한국 전쟁 전개
마오쩌둥과 스탈린 각자의 속셈
최신의 보충 자료

제3강 도시: ‘삼반三反’ ‘오반五反’ 운동
류칭산 사건과 장쯔산 사건: 삼반 운동의 발동
호랑이 잡기: 삼반 운동의 전개
부르주아의 약점을 틀어쥐어라:
왜 삼반 운동에서 오반 운동으로 바뀌었는가?
또 다른 호랑이들: 오반 운동의 전개
상공업 부르주아가 말로로 향하다: 삼반, 오반 운동의 결과

제4강 농촌: 토지개혁에서 인민공사까지
토지개혁 운동
Ⅰ 토지개혁 운동의 가속화 Ⅰ 토지개혁의 폭력성 Ⅰ 토지개혁 운동이 농촌의 사회구조를 바꾸다
집단화의 길과 인민공사 제도
Ⅰ 일괄 수매 일괄 판매라는 농촌 수탈 Ⅰ 농촌 집단화 정책의 출시 Ⅰ 전환점으로서의 1953년
대약진에서 대기근까지
Ⅰ 대약진의 발동과 첸쉐선의 암송 Ⅰ 대기근은 어떻게 형성됐나? Ⅰ 대기근의 대가 Ⅰ 대약진 정책의 사회적 악영향
7000인 대회
Ⅰ 3할은 천재이고 7할은 인재이다: 류사오치, 마오쩌둥에게 죄를 짓다
Ⅰ 물러섬으로써 나아간다: 마오쩌둥, 류사오치를 쓰러뜨리기로 결심하다 Ⅰ 린뱌오, 기회를 잡다
Ⅰ 꿈틀거리는 마오쩌둥의 충동 Ⅰ 왜 수천 명이나 굶어 죽고도 안정이 유지될 수 있었을까

제5강 지식인: 사상 개조, 후펑 사건 그리고 ‘반우파反右派’ 운동
지식인에 대한 사상 개조
Ⅰ 마오쩌둥은 본래 지식인에 대해 탐탁지 않게 생각했다 Ⅰ 영화 〈무훈전〉 비판 Ⅰ 《홍루몽》도 정치투쟁의 도구가 되다
후펑 집단 사건
Ⅰ 후펑이라는 사람 Ⅰ 이른바 문예 사상과 종파 활동의 문제 Ⅰ 일의 성격이 점점 변해가다
Ⅰ 반혁명 집단 사건은 어떻게 조작됐는가
반우파 운동
Ⅰ 뱀을 동굴 밖으로 끌어내다 Ⅰ ‘57 세대’ 사람 Ⅰ 중국 지식인 엘리트가 일망타진되다
Ⅰ 덩샤오핑은 책임을 회피할 수 없다
풍운 속의 나부낌: 중국 지식인의 운명

제6강 당내: 루산 회의
루산 회의: 펑더화이 숙청당하다
Ⅰ 본래는 ‘신선회’였다 Ⅰ 펑더화이의 편지 Ⅰ 순장용 인형을 처음 만든 사람은 대가 끊긴다
문화대혁명의 숙성
Ⅰ 농촌의 사회주의 교육 운동: 마오쩌둥ㆍ류사오치 분립의 확대 Ⅰ 역시 문예부터 손을 대다

제7강 외교: 중소 관계의 파열과 중미의 상호 작용
중소 관계의 파열
Ⅰ 일변도정책과 중소 우호 동맹 Ⅰ 중국과 소련의 사이가 나빠지기 시작한 데는 몇 가지 원인이 있다
Ⅰ 중국과 소련의 불화가 시작되다 Ⅰ 두 거대 국가의 분열이 공개됐다 Ⅰ 중소 논쟁의 후속 효과
중미 관계의 해빙
Ⅰ 마오쩌둥의 미국에 대한 속마음 Ⅰ 마오쩌둥이 미국으로 눈을 돌리다 Ⅰ 폴로 계획 Ⅰ 닉슨의 해빙 여정

제8강 문화대혁명의 발발과 전개
문화대혁명의 숙성
Ⅰ 계급투쟁 이론은 마오쩌둥 사상의 핵심이다 Ⅰ 문예 영역에서의 포석 Ⅰ <해서파관>
Ⅰ 〈2월 개요〉에서 〈5·16 통지〉까지
문화대혁명의 발동
Ⅰ ‘중앙문혁팀’이 대권을 장악하다 Ⅰ 첫 번째 불은 베이징 대학교에서 점화됐다
Ⅰ 마오쩌둥의 태도 Ⅰ 홍위병의 기세가 하늘을 찌를 듯 높다 Ⅰ 적색테러
‘1월 혁명’에서 ‘2월 역류’까지
Ⅰ 전국 범위의 권력 침탈 물결 Ⅰ 원로들은 더 이상 보이지 않았다 Ⅰ 문혁의 자세한 사정
Ⅰ 모범극에 관하여 Ⅰ 농촌 하방

제9강 문화대혁명의 종결: 린뱌오 사건에서 톈안먼 사건까지
마오·린 연맹의 해체
Ⅰ 마오쩌둥이 린뱌오에 대한 태도를 바꾸었다 Ⅰ 린뱌오의 죽음과 〈571 공정기요〉
Ⅰ 마오쩌둥은 왜 린뱌오에게서 등을 돌렸나
원로 간부파, 다시 강호에 등장하다
Ⅰ 덩샤오핑의 직권 회복 Ⅰ ‘문혁’ 말미에 접어들다
‘4인방’ 체포와 ‘문혁’의 종결
Ⅰ 마오쩌둥 등 중국 공산당 원로의 잇따른 서거 Ⅰ ‘4인방’의 체포
Ⅰ ‘문혁’을 성찰할 때 생각해보아야 할 다섯 가지

제10강 덩샤오핑 시대의 개막
덩샤오핑이 보낸 네 통의 편지
‘양개범시’ 배후의 권력 투쟁
Ⅰ 양개범시의 제기 Ⅰ 덩샤오핑의 반격 Ⅰ 천윈이 덩샤오핑을 힘껏 끌어주다
‘진리의 기준 문제’ 토론
Ⅰ 글 한 편이 정치투쟁을 일으키다 Ⅰ 보수파가 나서서 압력을 넣다
Ⅰ 고위 관료들이 연이어 입장을 정하다 Ⅰ 천윈의 발언
‘11기 3중 전회’: 원로 간부파가 전승을 크게 거두다
중미 수교
시단 민주벽 운동
Ⅰ 1980년대의 첫 번째 민주화 운동 Ⅰ 이론연구파 Ⅰ 민주벽 운동에 대한 덩샤오핑의 토사구팽
Ⅰ 청년 세대, 경선 운동에서 두각을 나타내다.

제11강 1980년대의 개혁개방: 후야오방에서 자오쯔양까지
샤오강 사건과 농촌 개혁의 시동
Ⅰ ‘문혁’이 조성한 민생 파탄 Ⅰ 식량을 먹으려면 (자오)쯔양을 찾아가고 쌀을 먹으려면 완리를 찾아가라
Ⅰ 샤오강촌 농민의 사적 토지 분배 Ⅰ 개혁은 아래에서 위로 시작됐다
도시의 개혁은 개방에서 시작됐다
Ⅰ 중국, 세계를 향해 나아가기 시작하다 Ⅰ 외자 도입은 중국 경제 발전의 연료 Ⅰ 광둥 성의 특수한 지위
개혁의 진행을 둘러싼 논쟁
Ⅰ 중국 공산당 ‘12대’에서 후ㆍ자오 체제를 확립하다 Ⅰ 천윈이 보수파의 기치가 되다
Ⅰ 덩샤오핑은 후야오방의 개혁을 지지했다
1980년대의 정치적 개방
Ⅰ 중공 내부의 민주파 Ⅰ 계몽 운동과 사상의 사회적 활성화 Ⅰ 쉬량잉: 민주화 운동을 추진한 과학계 인사

제12강 6·4 톈안먼 사건
왜 1989년, 민주화 운동이 발생했는가?
89 민주화 운동의 진행 경과
Ⅰ 후야오방의 서거, 학생 시위의 폭발 Ⅰ 〈4·26 사설〉이 학생의 정서를 격화시키다
Ⅰ 단식 Ⅰ 계엄 반대, 베이징 시민이 거리에서 군용차를 막아서다
Ⅰ 중국 공산당 당국, 민주화 운동을 유혈 진압하다 Ⅰ ‘6·4’ 이후 전국의 백색테러
89 민주화 운동의 의의
‘89 민주화 운동’과 ‘6·4 진압’에 관해 분명히 해야 할 몇 가지 문제
(부록 )1 잊을 수 없는 밤
(부록) 2 ; 《국가의 죄수》(《개혁역정》) 비밀을 말하다

제13강 경제와 문화
월극
Ⅰ 중국 공산당 월극에 반하다 Ⅰ 월극을 이용한 대외 선전
설날 특집 공연
Ⅰ 한때는 시대의 상징이었다 Ⅰ 지금은 정부의 대변인이 됐다 Ⅰ 그래도 좋은 기억들은 있다
중국 경제 발전에 얽힌 몇 가지 결정적 사건
Ⅰ 덩샤오핑의 ‘남순강화’ Ⅰ 시장경제 체제의 확립 Ⅰ WTO 가입
Ⅰ 국영기업은 어디로 갈 것인가? Ⅰ ‘3농’ 문제

제14강 시민사회의 성장
독립 영화 제작 운동
Ⅰ 언제나 체제 밖에서 Ⅰ 중국의 독립 영화 제작 운동 Ⅰ 대표적 인물과 대표작
대중매체 공간의 개척 노력
Ⅰ 체제 내 대중매체의 공간은 어디에 있는가? Ⅰ 인터넷은 중국을 바꿀 것인가
(부록) 주요 신수대전 리스트
인권 보장 운동
Ⅰ 완전히 새로운 형식 Ⅰ 인권 보장 운동의 두 주요 집단: 변호사와 공공 지식인

제15강 60년에 대한 회고
개혁개방 30주년의 회고와 전망
Ⅰ 개혁인가 개방인가? Ⅰ 중국 개혁개방의 몇 가지 특징
시련으로 창백한 중화인민공화국
Ⅰ 시련으로 창백한 공화국사 Ⅰ 정치 운동의 의의 Ⅰ 중국의 과거 청산 문제 Ⅰ 진보가 있지만 퇴보도 있다
Ⅰ 혁명 - 시종일관 관철된 주제 Ⅰ 정부 수립 60년, 중국 공산당은 인민에게 사과해야 한다
중국은 어디로 가는가?

한국어판 출간에 붙여
주석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왕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베이징에서 태어났다. 본적은 산둥 성 취안청이다. 1987년 베이징 대학교 국제정치학부에 입학했다가 1988년 가을에 역사학부로 전과했다. 재학 기간 신문·잡지를 편집했고 학원 민주화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1989년에 ‘89 민주화 운동’을 조직하는 데 참여했고, 단식 발기인 중 한 사람이었으며, ‘톈안먼광장 보위保衛 지휘군’ 부총지휘자였다. 6·4 톈안먼 사건 이후 당국이 발표한 학생 수배자 명단 제일 앞에 올랐다. 체포된 후에 ‘반혁명선전선동죄’라는 죄목으로 4년형을 선고받았다. 석방 후에 정치적 반대 운동을 지속했다. ‘호조互助 기부금’을 모금하여 정치범 가족을 재정적으로 도왔고 시민 상서上書 운동을 일으켰다. 또한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인권’ 조직 이사를 역임했다. 1995년 ‘정부전복음모죄’로 다시 체포돼 중국 공산당 당국에 의해 11년형을 선고받았다. 1998년 4월 19일 국제 여론의 압력으로 조기 석방돼 미국으로 추방됐다. 노벨평화상 수상자 후보에 세 차례 올랐으며, 미국 민주재단 인권상, 민주교육재단 ‘걸출한 민주인사상’, ‘만인걸언론상’ 등을 수상했다. 그 뒤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해서 동아시아학과에서 석사, 역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타이완 중앙연구원 근대사연구소, 미국 UCLA 중국연구센터 방문학자, 영국 옥스퍼드 세인트 앤터니 칼리지 객원연구원 등을 역임했고, 타이완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다. 현재 중국인 민주서원 이사회 주석, 타이완 칭화 대학교 인문사회대학 객원조교수, 잡지 《공공 지식분자公共知識分子》 발행인 등을 맡으며 중국의 민주화에 힘을 쏟고 있다. 저서로 《왕단 옥중 회고록王丹獄中回憶錄》, 《왕단의 생각王丹觀點》 등 20여 종이 있다.
펼치기
송인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미래융합스쿨 교수. 간양과 왕후이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중국현대사상, 개념사, 디지털인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는 중국의 길과 결부된 문화 담론, 중국의 근대화와 동행한 개념, 중국어권 디지털인문학을 주제로 집필을 하고 있다. 왕후이의 『아시아는 세계다』 『절망에 반항하라』 『단기 20세기』, 쉬지린의 『왜 다시 계몽이 필요한가』, 자오팅양의 『상실의 시대, 동양과 서양이 편지를 쓰다』 등 현대 중국 지식인의 사유가 담긴 저서를 번역하고, 간양과 왕후이의 사상을 이론적으로 해설한 『간양』 『왕후이』 등을 집필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