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정학
· ISBN : 9788962914597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8-06-25
책 소개
목차
서문
감사의 글
제1장 도입
제2장 경계의 의미와 관점들
1. 경계란 무엇인가
2. 경계 생각하기
제3장 전근대와 근대의 경계
1. 고대의 국가 범위
2. 중세의 경계
3. 근대의 경계
4. 경계선의 글로벌화
5. 현대 국경의 출현을 가져온 주요 사건들
제4장 글로벌화 시대의 경계
1. 경계선과 지구적 흐름의 만남
2. 국제 경제의 구조
3. 환경
4. 인권
5. 초국적 테러리즘
제5장 글로벌 경계 공간의 생산
1. 21세기 경계 생산의 딜레마
2. 탈·재영토화와 탈·재경계화의 해석
3. 경계공간의 지리(학)
제6장 이동성의 통제
1. 안보 패러다임과 경계 만들기
2. 경계의 신체화: 기술을 통한 변방의 강화
제7장 경계 연결하기
1. 경계 횡단 연합(Cross-border Cooperation) 패러다임
2. 공간을 경계로 다시 가져오기
3. 유로리전(Euroregions)과 경계 재영토화의 차원
제8장 결론
참고문헌
색인
책속에서
세계지도집을 펼쳐 보거나 저녁 뉴스를 시청할 때, 혹은 정부 관청이나 다국적 기업의 사무실, 학교 교실 등의 내부를 보면, 국경이라 불리는 불규칙한 선들로 지구 표면이 명확히 구분된 그런 지도를 아주 흔하게 볼 수 있다.
그렇게 해야만 권력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그리고 우리의 삶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이룩하기 위해 어떤 목적을 설정하고 추진해야 하는지를 비로소 확실하게 주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