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

김수철, 이희은, 김영욱, 정은혜, 고민경, 백일순, 파라 셰이크, 이병하, 이용균 (지은이)
앨피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7430926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15권. 인프라스트럭처 연구의 비판적 연구 성과와 통찰에 주목하면서, 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해 모빌리티의 다층적이고 물질적이며 관계적인 측면을 드러내고자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 개념을 제시한다.

목차

인프라스트럭처와 모빌리티 연구_ 김수철

1부 도시 공간과 미디어 인프라스트럭처의 변화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물질성: 인프라로서의 미디어 네트워크를 향한 탐색 _ 이희은
미디어라는 삶의 조건
인간과 환경과 미디어
인프라로서의 미디어
미디어 인프라의 물질성과 비가시성
어디에나 있고 빠르게 변화하지만 쉽게 낡아 버리는 미디어
미디어 인프라 연구의 의의
미디어 인프라, 복잡하지만 역동적인 변화

디지털 프로모션에서 생산소비자와 감시의 작동 원리: 디지털 노동에 대한 감시사회의 착취 구도 해석 _ 김영욱
디지털 자본의 집요한 이윤 창출 기획
디지털 노동과 디지털 프로모션 착취
감시, 프라이버시 그리고 디지털 감시사회
디지털 감시의 작동 원리에 대한 해석과 구성 요소
커뮤니케이션 공유지를 위한 대안의 모색

교통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변화: 자동차 모빌리티의 통합적 연구를 위한 시론 _ 김수철
모빌리티, 교통인가 커뮤니케이션인가?
교통과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이론
교통과 커뮤니케이션 문제로서 공유 모빌리티의 미래:
새로운 대안인가, 신자유주의의 악몽인가
‘모빌리티 시스템’으로서의 자동차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통합적 접근의 과제

하펜시티 프로젝트에 기반하여 조성되는 ‘인천항’의 미래 _ 정은혜
항만의 중요성
인천항 개관 및 선행 연구 고찰
함부르크항의 하펜시티 프로젝트
인천항 종합발전계획 2030 프로젝트
인천항의 미래와 과제

2부 이주 인프라스트럭처와 인간 생태계의 재구성


이주 중개인을 통해서 본 이주 인프라의 형성 과정 _ 고민경·백일순
이주와 중개인
이론적 배경
조선족 이주 중개 방식과 중개인의 변화
이주 중개인에 의한 이주 인프라의 형성과 진화

소외와 이슬람포비아적 풍토 속의 한국적 이슬람에 대한 탐구_ 파라 셰이크
한국적 이슬람의 점진적 발달
‘한국적 이슬람’의 기반
현대사회의 ‘한국적 이슬람’의 탐구
이슬람포비아적 배경의 할랄 사업과 관광
한국인 무슬림의 역할

한국 난민 이슈의 정치화 _ 이병하
한국 사회에서 난민 이슈는 어떻게 안보 문제가 되었는가?
사회안보와 안보화 이론
난민 현황과 난민 수용국의 안보화
한국 난민 이슈의 정치화
제주 예멘 난민 사태가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모빌리티가 여행지 공공공간의 사적 전유에 미친 영향: 터키 여행공간을 사례로 _ 이용균
모빌리티와 장소 변화
모빌리티와 여행의 사회공간
공공공간의 사회화와 사적 전유
여행지 공공공간의 사적 전유
고-모빌리티 시대 변화의 전망

저자소개

김영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교수이자 이화펠로우이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석사ㆍ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조교수, 하버드대학교 법과대학 협상연구소 풀브라이트교환교수, 벨기에 겐트대학교,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태국 출라롱콘대학교, 스위스 루가노대학교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단독 저서로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위험 커뮤니케이션』, 『갈등 해소와 대체적 분쟁 해결』, 『위험불통사회』 등이 있다. 또한 『한국사회의 소통 위기』, 『디지털 시대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외 다수의 국내외 공저서 및 번역서가 있고, 200여 편 이상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연구 관심 분야는 광범위한 위험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 맥락에서의 주목의 상품화, 디지털 감시, 디지털 프로모션 등에 대한 정치경제학 차원의 해석과 디지털 공유지 복원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는 한국언론학회 과학보건환경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회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이희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미국 아이오와대학교(University of Iowa)에서 미디어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 미디어 테크놀로지, 영상 커뮤니케이션, 일상의 삶과 윤리적 가치의 문제 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유튜브의 기술문화적 의미에 대한 탐색”(2019), “AI는 왜 여성의 목소리인가”(2018) 등이 있다. 저서로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문화』(공저, 2012), 역서로는 『미디어 알고리즘의 욕망』(2021), 『자연과 미디어』(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희은의 다른 책 >
이용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모빌리티, 이주, 인구,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인구와 사회》, 《모빌리티인문학의 적용과 모델링》(공저),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공저), 《모빌리티 생활세계학》(공저), 《글로벌 이주: 이동, 관계, 주변화》 등이 있다.
펼치기
김수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디어문화 연구자로 현재 한양대학교, 연세대학교 등에서 디지털 미디어와 대중문화에 대하여 가르치고 있다. 미디어 기술의 기술문화적 측면에 주목하면서 도시 공간, 모빌리티, 대중문화, 문화산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그 결과를 다수의 국내외 학술저 널에 출판했다. 주요 저역서로는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공저, 2020),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2019), 『마르크스, TV를 켜다: 마르크스주의 미디어 연구의 쟁점과 전망』(공역,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정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경희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화경관, 사회적 배제 공간, 관광지리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은 책으로 《지리학자의 공간읽기》, 《지리를 알면 보이는 것들》, 《지리학자의 국토읽기》(공저), 《답사 소확행》(공저), 《호모트래블쿠스의 지리답사기》(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A theoretical study on the landscape of the Korean DMZ and its spatial significance> 등이 있다.
펼치기
고민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이주와 글로벌 모빌리티 증대에 따른 사회 공간의 변화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가정 너머 불안정성>, <이주 중개인을 통해서 본 이주 인프라의 형성 과정>, <모빌리티를 통해 본 이주자 밀집지역의 역동성 탐구> 등이 있다.
펼치기
백일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선임연구원. 경계를 넘나드는 행위자와 경계가 만들어 내는 공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 《한반도의 신지정학》,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공저), 《한반도 평화와 개성 공단의 미래》(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파라 셰이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소아스런던대학에서 중동지역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며, 문화인류학을 중심으로 무슬림 소수자, 인종, 젠더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저서로 《Muslims, Trust and Multiculturalism: New Directions》(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Exploring “Korean Islam” in a Climate of Exclusion and Islamophobia> 등이 있다.
펼치기
이병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럿거스대학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New Brunswick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다양성의 시대, 환대를 말하다: 이론, 제도, 실천》(공저), 《중간선거의 정치학: 오바마, 공화당, 그리고 미국정치》(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글로벌 이주 거버넌스 2.0의 등장>(2019), <환대 개념과 이민정책: 이론적 모색>(2017), <한국과 일본의 이민자 통합정책: 국가-사회 관계의 관점에서>(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090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