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후, 문화 그리고 인간

기후, 문화 그리고 인간

(한국 선사시대 사회문학적 변화에 대한 고고학, 기후학, 공간정보학의 학제적 연구)

김범철, 신숙정, 박정재, 최진무, 이기성, 손준호, 조윤재, 하시노 신페이 (지은이)
진인진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900원
27,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후, 문화 그리고 인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후, 문화 그리고 인간 (한국 선사시대 사회문학적 변화에 대한 고고학, 기후학, 공간정보학의 학제적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63474663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1-05-31

책 소개

한국 기후(변동) 고고학 개설 연구서. 기후위기가 인류문명 존립을 위협하는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동북아시아, 한반도 선사시대 사회 문화에 기후가 끼친 영향을 명확히 인식하려는 작업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목차

서문 | 김범철 003

목차 007
그림목차 009
표목차 012

서론: 한국 선사시대 ‘기후변동고고학’ | 김범철 014

Ⅰ부 한국 선사·고대 ‘기후변화-사회문화변동’ 관계 이해의 토대 030

1. 한국 선사고고학의 (고)환경 인식 | 신숙정 032
2. 한국 선사시대 생계전략의 변화와 기후 | 김범철 066

Ⅱ부 한국 선사·고대의 기후변화 이해를 위한 방법적 시도 084
3. 홀로세 기후변화와 한반도 과거 사회 | 박정재 086
4. 고고자료 관리를 위한 GIS 활용 | 최진무 106

Ⅲ부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와 기후 136
5. 한일 선사시대 목제도구 조성의 이해 | 이기성 138
6. 청동기시대 석기 조성비 비교 | 손준호 162

Ⅳ부 시야의 확장: 기후와 문화변동에 대한 중·일 고고학의 이해 180
7. 중국 西漢 묘제 변천과 기후변화 | 조윤재 182
8. 日本列島への水?農耕?播をどう-明するのか:
考古?における?候?動デ?タ適用の試み | 端野晋平 210
일본열도로의 수도작 전파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고고학에서의 기후변동자료 적용 시도 | 하시노 신페이[이민영 옮김] 228

총론: 한국 선사시대 기후변동 연구의 미래 | 신숙정 246

참고문헌 257
발표논문목록 305
그림출처 307
찾아보기 311

저자소개

조윤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교수 및 문화유산융합연구소장. 중국 남경대학과 북경대학에서 한·위진남북조고고학으로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무덤과 도성을 통한 중국 고대 통치 계층의 상장 의례와 사회적 영향을 탐색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최근에는 고대 중국의 제국 시스템과 그 주변부의 물질자료에서 보이는 상호 연관성에 주목하고 있다. 관련 연구를 위해 교통로를 통한 동서교류와 베트남 북부지역에 대한 실지조사와 발굴을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범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펼치기
신숙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강문화재연구원장
펼치기
박정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펼치기
최진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펼치기
이기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융합고고학과 부교수
펼치기
손준호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와 문화재학과에서 고고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동 대학교 고고환경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책임연구원을 역임하고, 현재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고고미술사학 전공 부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청동기시대 마제석기 연구(서경, 2006년)』, 『도구론(서경, 공저, 2014년)』, 『무기형 석기의 비교 고고학(서경, 공저, 2018년)』, 『일본 문화의 기원 송국리문화(진인진, 공저, 2021년)』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야요이시대의 석기(서경, 2007년)』가 있다.
펼치기
하시노 신페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도쿠시마대학 매장문화재조사실장·준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기후, 문화 그리고 인간
한국 선사시대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한 고고학, 기후학, 공간정보학의 학제적 연구

환경복원에 치중한다고 하여, 그러한 저작과 사업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환경결정론을 전제하지는 않는다.
다만, 환경 또는 기후변화라는 불가항력적 영향을 '공정하게' 평가해야 한다는 점은 공통적으로 (최소한 표면적으로나마) 인식하는 듯하다. 이 책의 저자들도 그런 인식을 공유한다. 다만, 인류사의 흐름에 있어 기후 또는 환경이 미친 영향의 정도, 특히 인과성을 평가하는 데에는 다소의 차이가 있다. 그렇다고 우리 선사·고대문화의 흐름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없어도 된다거나 현재 그 영향력이 공정하게 평가받거나 충분히 탐구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
그래서 동북아시아의 맥락에서 고고학 및 여타 분야의 조사를 통해 획득된 기후자료를 취합하여 해상도 높은 기후궤적 및 (시대별) 기온등치선을 복원하고 이를 우리 선사시대 문화상, 특히 (생산)도구상의 변화와 비교하면서 생계전략의 변화를 그려볼 목적으로 한·중·일 고고학의 전문가, 기후학 전문가, 공간정보학 전문가가 포함된 협업체가 구성되었다.
...
기후(지리)학 전공 동료의 홀로세 기후궤적 복원은 우리 작업의 한 축을 든든하게 해주었다. 한편, 방대한 양의 석기자료를 집성하여 그 변천이나 지역성을 파악함으로써, 당초 목표했던 다른 한 축도 마련되었다. 이러한 양축을 비교해가며 나름의 그림을 그리게 되었고 3년간 총 18편의 전문학술지 논문에 반영되었다.
<서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