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언론매체 사전 : 1815-1945

동아시아 언론매체 사전 : 1815-1945

임경석 (지은이)
논형
1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0원 -5% 0원
4,280원
138,2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6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 언론매체 사전 : 1815-1945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언론매체 사전 : 1815-1945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3570068
· 쪽수 : 1640쪽
· 출판일 : 2010-07-31

책 소개

한국·중국·일본에서 발간된 신문과 잡지의 개요를 살펴볼 수 있는 동아시아학 사전. 1815년부터 1945년 사이에 세 나라의 주요 신문과 잡지 1823여 종을 뽑아 창간년도와 종간년도, 발행인과 편집인, 인쇄인, 잡지의 판형 및 정가, 소장처를 비롯한 1차 정보와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매체의 성격과 주요 필자들에 대한 정보 등을 풍부하게 담고 있다.

목차

ARS 7
The Hiogo and Osaka Herald 8
The Nagasaki Shipping List and Advertiser 9


가가야쿠(輝ク) 10
가정의 빛(家の光) 12
가나가와신문(神奈川新聞) 13
가뎡잡지(家庭雜誌) 14
가면(假面) 15
가정과학(家庭科學) 15
가정잡지(家庭雜誌) 17
가정잡지(家庭雜誌) 18
가정잡지(家庭雜誌) 19
가정지우(家庭之友) 20
가톨릭소년 21
가톨릭연구강좌 22
가톨릭청년 23
각민(覺民) 23
간도일보(間島日報) 24
갈돕 25
감리회보(監理會報) 26
강소(江蘇) 26
강학보(强學報) 27
강한일보(江漢日報) 28
개벽(開闢) 29
개성시보(開城時報) 31
개조(改造) 32
.
.
.

하니야 유타카(埴谷雄高) 138, 252
하야마 요시키(葉山嘉樹) 231
하야시 후미코(林芙美子) 736
하필원(河弼源) 653
학우회 1502
한국독립당 690
한림(韓林) 310
한상룡 1255
한성치과의사회 1297
핫토리 세이치(服部誠一) 349
해외문학연구회 184
허전(何震) 1400
헤이민샤(平民社) 103
협동예술좌(協同藝術座) 471
협화회 1558
호남학회 1568
호시 도루(星亨) 429
홍난파 672
홍병선 260
홍섭 861
홍양명(洪陽明) 897
홍언(洪焉) 887
홍원표 899
1634
홍해성(洪海星) 911
황국주 996
황런(黃人) 753
황석우(黃錫禹) 187
황성(黃勝) 1357
황스중(黃世仲) 104
황옌페이(黃炎培) 121
황위안융(黃元庸) 246
황제(黃節) 161
후쿠다 교지(福田狂二) 772
후쿠다 도쿠조(福田德三) 1349
후쿠다 히데코(福田英子) 1102
후쿠모토 가즈오(福本和夫) 420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462, 544, 1371
후타바테이 시메이(二葉亭四迷) 1347
휘문고등보통학교 1594

저자소개

임경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한국근대사 전공.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구 코민테른 문서보관소의 한국 관련 자료와 조선총독부 고등경찰 기록을 비교․검토하는 연구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2003), 《이정 박헌영 일대기》(2004),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2008), 《모스크바 밀사》(2012), 《독립운동 열전》(전2권,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중국 .일본의 최초의 언론매체
동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출간된 근대 언론매체는 무엇인가? 이 사전은 이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 준다. 학계의 연구성과에 따르면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간행된 언론매체는 1815년 영국 선교사들이 말레이시아 말라카에서 발행한 <찰세속매월통기전(察世俗每月統記傳)>이다. 이 매체는 중국어로 간행되었는데, 기독교 교리를 중국 사회에 전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잡지였다. 이 잡지는 중국인들에게 서양 근대과학 지식을 소개하는 데에도 역점을 두었다. 중국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중국 역사상 최초로 표점을 사용했고, 지명과 인명을 사용할 때에는 따옴표를 사용했다. 이는 신식 표점부호 제정의 기원이 됐다.
일본에서 간행된 최초의 언론매체는 <재팬 헤럴드 (The Japan Herald)>이다. 개항장인 요코하마에서 영국인 저널리스트가 발행한 주간 영자신문으로, 개항장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주된 독자층으로 삼았기 때문에, 무역, 통상, 요코하마 항국의 출입항 선박 등에 관한 정보가 게재되었다. 한편 일본어로 발간된 최초의 언론매체는 1871년에 요코하마에서 간행된 <요코하마마이니치신문(橫浜每日新聞)>이다. 가나가와현에서 자금을 댄 이 신문은 지방정부의 시책을 주민에게 전달하는 기관지였다.
한국 최초의 언론매체는 1883년에 간행된 <한성순보>이다. 김옥균을 비롯한 개화파가 발간을 주도했으며, 근대적 형태를 갖춘 최초의 신문이다. 월 3회 발행됐으며 원래는 국한문 혼용체를 사용하고자 했으나, 활자여건상 순한문으로 표기하였다. 한성순보의 영향을 받아서 이후에 다수의 민간신문이 속출하게 됐다.
3국을 비교해보면 한국의 근대 언론매체가 가장 더디게 발간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한성순보>는 조선시대에 수백 년간 발간되던 <조보(朝報)>의 전통과 잇닿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전통시대에 오랫동안 언론매체의 역할을 해 오던 <조보>의 내재적 발전의 연장선상에서 근대 언론매체가 출현한 점에서 이채로운 특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한국.중국.일본을 넘나드는 시대정신, <신사회>
동아시아 3국에서는 같은 시기에 시대정신의 공유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일본, 중국에서 1910~20년에 발간된 <신사회>가 그 좋은 예이다. 서세동점의 거대한 조류에 임하여 동아시아 각 민족은 새로운 사회의 도래에 대한 강렬한 열망을 공유했다. 일본에서는 1915년에 <신사회>라는 명칭의 평론잡지가 저명한 사회주의자 사카이 도시히코(堺利彦)의 손으로 발간되었고, 중국에서는 같은 명칭의 잡지가 1919년에 베이징기독청년회에 의해 발간되었다. 한국에서는 1926년에 동일한 제호의 잡지가 서울에서 발간됐다. 이 잡지는 민족 간의 적대심을 극복한 새로운 이상사회의 도래를 갈구하는 사회문제 종합지였다. 비록 발간주체는 사회주의자, 기독교도 등으로 나뉘지만 그들 내부에는 이상사회를 전망하는 공통 요소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