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디어 생태계

미디어 생태계

(2012년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김영주, 김대호, 김성철, 이상우, 김도연, 심용운, 안재현, 최선규, 김은미, 최준호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690원
22,3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400원 -10% 920원 15,640원 >

책 이미지

미디어 생태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디어 생태계 (2012년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4061756
· 쪽수 : 218쪽
· 출판일 : 2011-09-07

책 소개

미디어 생태계가 다변화되고 있다. 미디어 산업 또는 미디어 섹터라는 개념에서 요즘은 ‘미디어 생태계’라는 개념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 개념은 기존의 미디어 산업과 달리 상생과 공존, 열린 구조가 특징이다. 변화하는 미디어 생태계의 의미와 개념을 정리한 책이다.

목차

서문 v

1부 미디어 생태계란?

미디어 생태계의 의미와 전망 · 김대호
왜 미디어 생태계인가?
미디어 생태계의 특징은 무엇인가?
개방적이고 글로벌한 미디어 생태계
미디어 생태계 참여자의 증가
소셜 미디어 생태계로의 변화
참고문헌

미디어 생태계 연구의 역사와 방향 · 이상우
미디어 생태계란 무엇인가?
산업적 관점의 미디어 생태계 연구
디지털 환경에서 미디어 생태계 연구의 방향
미디어 생태계의 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
참고문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 · 최준호
소통의 미디어와 미디어의 소통
미디어 생태계 변화의 키워드
20대 80의 법칙?
빨리 망하는 길, 늦게 망하는 길
이문을 남기지 말고 사람을 남겨라
정보 허브 vs. 소셜 허브
포스트 미디어 생태계
참고문헌

미디어 생태계의 인간, 정보, 정보관계망 · 김은미
왜 정보관계망인가?
관계가 정보교류의 토대인가, 정보의 교류가 관계의 토대인가
정보 개념의 변화
정보 개념의 변화는 새로운 것인가?
정보 교환을 통한 관계 맺기: 미디어와 인간관계의 변화
지식 생산과 협동: 협동하는 인간의 탄생?
우리는 무엇을 질문해야 할 것인가?
참고문헌

비주류 이동통신사업자의 등장에 따른 모바일 생태계의 변화 · 김성철
누가 모바일 생태계에 파란을 일으키고 있는가?
디즈니 모바일의 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 사례
월마트의 선불이동통신서비스 사례
세이프링크 와이어리스의 라이프라인 서비스 사례
블릭의 무료 이동통신서비스 사례
이동통신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은 계속될 것인가?
참고문헌

2부 미디어 생태계의 실제는?

스마트TV의 등장에 따른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 전망 · 심용운
스마트TV시대의 개막
스마트TV에 대한 이해
스마트TV를 둘러싼 경쟁 구도의 재편
스마트TV 등장에 따른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
스마트TV의 성공전략
참고문헌

미디어 생태계에서의 플랫폼 전략 · 안재현
미디어 빅뱅의 시작
플랫폼의 의미
플랫폼 수명주기 관리를 통한 플랫폼 전략과 오픈 이노베이션
멀티 플랫폼에서의 OSMU 사례
플랫폼 경쟁의 우위를 차지하는 요소는?
참고문헌

모바일 시대 신문 생태계의 변화와 전략 · 김도연
가짜 위기, 진짜 위기, 그리고 모바일 시대
신문산업의 위기 양상
모바일 환경의 변화
모바일 환경에 대처하는 국내외 언론사
신문의 모바일 전략 방향
참고문헌

모바일 미디어 생태계에서 소비자의 혁신 저항 · 김영주
혁신 저항이란 무엇인가?
왜 혁신저항에 관심을 가져야 할까?
혁신저항의 개념적 정의와 초기 연구들
모바일 뱅킹(혁신저항 사례 1)
영상통화(혁신저항 사례 2)
모바일 오피스(혁신저항 사례 3)
혁신 저항도 혁신 확산의 한 과정
참고문헌

모바일 미디어 생태계 정책 · 최선규
아이폰 이전의 국내 이동통신시장
아이폰 출시 후, 국내 주요 사업자들 상황
모바일 인터넷 정책의 기본방향
정책 제언

저자소개

김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이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 전문위원, KBS 시청자 평가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국 미디어 산업의 변화와 과제』(2010, 공저), 『미디어의 미래』(2008, 공저),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이용』(2006, 공저), 『2010 국민의 뉴스소비』(2010)가 있으며, 논문으로 “Factors affecting e-book reader awareness, interest, and intention to use”(e-book 단말기에 대한 인지, 관심,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New media Society, 2011), “미디어 소비지출의 상대적 불변: 1989~2008”(2010) 등이 있다.
펼치기
김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며 사회과학대학 학장으로 일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버밍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일본 와세다대학교 등 해외 여러 대학의 방문교수를 역임했고,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등 정부의 여러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한국방송광고공사 등 공공기관에서 비상임이사로 일했다. KT 이사, SBS 이사 등으로 일했다. 한국이 자유민주주의를 증진하고 디지털 전환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국가가 되도록 하는 거버넌스를 마련하는 데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저서로 『자유시장주의 미디어 거버넌스』(2022), 『AI시대에 가치 있는 것들』(2021), 『한국의 미디어 거버넌스』(2020), 『블록체인 거버넌스』(2019), 『Media governance in Korea 1980∼2017』(2018), 『인공지능 거버넌스』(2018), 『공유경제』(2017), 『4차 산업혁명』(2016), 『인터넷 거버넌스』(2015), 『Who owns the world’s media?: Media concentration and ownership around the world』(공저, 2015) 등이 있고, 국내외 학술지에 수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이며 미디어산업과 뉴미디어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미디어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SK에서 정보통신분야 신규사업을 담당했고 개방형 직위인 서울특별시 정보시스템담당관을 거쳐 카이스트(구-한국정보통신대학교) IT 경영학부 부학부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초빙연구원, 고려대학교 부설 정보문화연구소장, 고려대학교 도서관장,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한국정보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지능정보기술과 사회문제 연구센터와 미디어산업 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급변하는 지능정보사회의 문제와 미디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략과 정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다. 미디어·콘텐츠·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의 이해, ICT·미디어·콘텐츠 산업론, 뉴미디어 세미나 등을 강의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방송 산업과 방송통신 융합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수립에 기여했다.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정보통신정책학회 책임편집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고, 현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편집이사,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디어 다양성』(공저, 2011), 『미디어 생태계』(공저, 2011), 『소셜미디어』(공저, 2012),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공저, 2014) 등이 있고, Journal of Media Economic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등의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펼치기
이상우의 다른 책 >
김도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언론학전공 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옛 신문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텍사스대학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미국 텍사스대학 방문교수를 역임하였고,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정보학회의 연구이사, 한국방송학보·정보통신정책학보 편집위원 등을 지냈다. 보편적시청권보장위원회, 방송통신규제심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저서로 『미디어 생태계』(공저, 2011), 논문으로 “시청자 접근 및 채널 경영 면에서 본 공익채널 제도의 성과”(2014), “텔레비전 포맷을 통해 본 콘텐츠의 글로벌화와 현지화”(공저, 2013)가 있다.
펼치기
김도연의 다른 책 >
심용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SK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이다. 영국 웨스트민스터대학교에서 정보통신정책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SK텔레콤 정책연구팀장, 컨버전스연구팀장, 방송위원회 연구원을 역임했다. 정보사회학회, 미디어경영학회, 언론학회, 방송학회에서 이사 및 감사, ≪정보사회와 미디어≫와 ≪방송통신연구≫ 등 학술지 편집위원,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전파진흥원 자문 및 심의조정위원 등 학계와 산업계에서 폭넓게 활동하고 있다. 『마르퀴스후스후(Marquis Who’s Who)』(2018년판)에 등재되었고 2018년도에 앨버트닐슨마르퀴스평생공로상(Albert Nei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2014), 『ICT 생태계』(2014), 『콘텐츠』(2013), 『소셜미디어』(2012), 『미디어 생태계』(2011), 『미디어의 미래』(2008), 『컨버전스 2.0시대의 비즈니스』(2007) 등 10여 권의 공저가 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Telecommunications Policy를 포함한 SSCI 국제 학술지에 1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안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미국 스탠퍼드대학 경영과학 박사(1993), 의사결정분석 전공 서울대학교 산업공학 석사(1986) 서울대학교 산업공학 학사(1984) 주요 경력 KAIST 경영대학 교수(https://www.business.kaist.ac.kr/), 1998~현재 한국경영과학회 회장, 2020 KAIST 경영대학 경영공학부장, 2019~2021 KAIST 최고경영자과정(AIM) 책임교수, 2015~2019 KAIST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 원장, 2011~2013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2010 아산 KAIST Medical Management Program 과정 책임교수, 2010~2012 미국 USC Marshall 경영대학원 방문교수, 2008~2009 KAIST 텔레콤 MBA 책임교수, 2005~2007 KAIST 정보미디어 최고경영자과정(ATM) 책임교수, 2004~2006 미국 뉴저지 럿거스(Rutgers) 주립대학교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1997~1998 미국 뉴저지 AT&T 연구소, 선임연구원(member of technical staff), 1993~1998 미국 캘리포니아 EPRI, 컨설턴트, 1990~1993 저서 『뉴미디어와 정보사회』(공저), 제3판, 나남출판(2020) 『콘텐츠』(공저), 커뮤니케이션 북스(2013) 『미디어 생태계』(공저), 커뮤니케이션 북스(2011) 주요 논문 Management Science, MIS Quarterly, ISR, Journal of MIS, EJOR,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Decision Support System 등 국내외 탑 저널에 다수 발표
펼치기
최선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다.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ICU 경영학부 교수를 지냈다. 저서로 『BBC 미래 전략』(공저, 2010)이 있고, 논문으로 “Broadband Boom in Korea: What sets Korea apart?”(2007), “융합미디어의 규제정책: 네트워크 규제와 서비스 규제를 중심으로”(2009), “Media Convergence: Drivers, Impact and Regulatory Challenge” (2010), “뉴스시장의 경쟁과 미디어 편향성”(공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은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부교수이며 정보문화 연합전공 주임교수를 맡고 있다. 저서로 「우리는 마이크로 소사이어티로 간다」(공저), 「방송편성론」(공저), 「SNS 혁명의 신화와 실제: 토크 플레이 러브의 진화」(공저)가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의 진화와 효과, 미디어 리터러시 등을 주제로 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eunmee@snu.ac.kr
펼치기
최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에서 디지털콘텐츠 & UX 트랙 담당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했고, 뉴욕주립대학교 버펄로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 유통의 관계망 분석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 주요 연구 분야다. 주요 논문으로 “Facets of simplicity for the smartphone interface: A structural model”(공저, 2012)과 “Transitions in the film trade among OECD countries”(공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