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ICT 생태계

ICT 생태계 (큰글씨책)

전경란, 김대호, 이상우, 김도연, 심용운, 안재현, 김성철, 최선규, 신동희, 이재신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960원
31,0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ICT 생태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ICT 생태계 (큰글씨책)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07111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10명의 연구자가 ICT 생태계의 의미와 개념부터 모바일 미디어 생태계, 스마트 융합, 콘텐츠까지 ICT 생태계의 실재를 다방면에서 살펴본다.

저자소개

전경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의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전공 부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상호작용성과 서사성의 충돌과 타협”으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 연구원, 문화방송 전문연구위원, 게임물등급위원회 등급위원, 지역발전위원회 전문위원, 교육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2017년 현재 게임문화재단 이사로 활동 중이다. 디지털로 변화하는 인간의 소통 방식과 사회관계 그리고 문화 의식 등에 관심이 있다.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디지털 콘텐츠, 다양한 디지털 문화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2015), <디지털 게임이란 무엇인가>(2014), <ICT 생태계>(2014), <콘텐츠>(2013) 등이 있으며,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 다큐멘터리의 진화”(2016), “디지털 시대의 네트워크 지식과 지식생산의 의미에 대한 고찰”(2014), “디지털 만화에 대한 학술연구의 동향과 함의”(2013) 등의 연구논문을 저술했다.
펼치기
김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며 사회과학대학 학장으로 일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버밍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일본 와세다대학교 등 해외 여러 대학의 방문교수를 역임했고,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등 정부의 여러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한국방송광고공사 등 공공기관에서 비상임이사로 일했다. KT 이사, SBS 이사 등으로 일했다. 한국이 자유민주주의를 증진하고 디지털 전환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국가가 되도록 하는 거버넌스를 마련하는 데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저서로 『자유시장주의 미디어 거버넌스』(2022), 『AI시대에 가치 있는 것들』(2021), 『한국의 미디어 거버넌스』(2020), 『블록체인 거버넌스』(2019), 『Media governance in Korea 1980∼2017』(2018), 『인공지능 거버넌스』(2018), 『공유경제』(2017), 『4차 산업혁명』(2016), 『인터넷 거버넌스』(2015), 『Who owns the world’s media?: Media concentration and ownership around the world』(공저, 2015) 등이 있고, 국내외 학술지에 수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다. 미디어·콘텐츠·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의 이해, ICT·미디어·콘텐츠 산업론, 뉴미디어 세미나 등을 강의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방송 산업과 방송통신 융합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수립에 기여했다.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정보통신정책학회 책임편집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고, 현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편집이사,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디어 다양성』(공저, 2011), 『미디어 생태계』(공저, 2011), 『소셜미디어』(공저, 2012),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공저, 2014) 등이 있고, Journal of Media Economic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등의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펼치기
이상우의 다른 책 >
김도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언론학전공 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옛 신문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텍사스대학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미국 텍사스대학 방문교수를 역임하였고,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정보학회의 연구이사, 한국방송학보·정보통신정책학보 편집위원 등을 지냈다. 보편적시청권보장위원회, 방송통신규제심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저서로 『미디어 생태계』(공저, 2011), 논문으로 “시청자 접근 및 채널 경영 면에서 본 공익채널 제도의 성과”(2014), “텔레비전 포맷을 통해 본 콘텐츠의 글로벌화와 현지화”(공저, 2013)가 있다.
펼치기
김도연의 다른 책 >
심용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SK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이다. 영국 웨스트민스터대학교에서 정보통신정책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SK텔레콤 정책연구팀장, 컨버전스연구팀장, 방송위원회 연구원을 역임했다. 정보사회학회, 미디어경영학회, 언론학회, 방송학회에서 이사 및 감사, ≪정보사회와 미디어≫와 ≪방송통신연구≫ 등 학술지 편집위원,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전파진흥원 자문 및 심의조정위원 등 학계와 산업계에서 폭넓게 활동하고 있다. 『마르퀴스후스후(Marquis Who’s Who)』(2018년판)에 등재되었고 2018년도에 앨버트닐슨마르퀴스평생공로상(Albert Nei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2014), 『ICT 생태계』(2014), 『콘텐츠』(2013), 『소셜미디어』(2012), 『미디어 생태계』(2011), 『미디어의 미래』(2008), 『컨버전스 2.0시대의 비즈니스』(2007) 등 10여 권의 공저가 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Telecommunications Policy를 포함한 SSCI 국제 학술지에 1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안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미국 스탠퍼드대학 경영과학 박사(1993), 의사결정분석 전공 서울대학교 산업공학 석사(1986) 서울대학교 산업공학 학사(1984) 주요 경력 KAIST 경영대학 교수(https://www.business.kaist.ac.kr/), 1998~현재 한국경영과학회 회장, 2020 KAIST 경영대학 경영공학부장, 2019~2021 KAIST 최고경영자과정(AIM) 책임교수, 2015~2019 KAIST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 원장, 2011~2013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2010 아산 KAIST Medical Management Program 과정 책임교수, 2010~2012 미국 USC Marshall 경영대학원 방문교수, 2008~2009 KAIST 텔레콤 MBA 책임교수, 2005~2007 KAIST 정보미디어 최고경영자과정(ATM) 책임교수, 2004~2006 미국 뉴저지 럿거스(Rutgers) 주립대학교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1997~1998 미국 뉴저지 AT&T 연구소, 선임연구원(member of technical staff), 1993~1998 미국 캘리포니아 EPRI, 컨설턴트, 1990~1993 저서 『뉴미디어와 정보사회』(공저), 제3판, 나남출판(2020) 『콘텐츠』(공저), 커뮤니케이션 북스(2013) 『미디어 생태계』(공저), 커뮤니케이션 북스(2011) 주요 논문 Management Science, MIS Quarterly, ISR, Journal of MIS, EJOR,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Decision Support System 등 국내외 탑 저널에 다수 발표
펼치기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에서 미디어경영과 뉴미디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이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SK에서 13년간 정보통신 분야 신규 사업을 담당하였고 개방형 직위인 서울특별시 정보시스템 담당관을 거쳐 카이스트(구 한국정보통신대학교) 경영학부 부학부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초빙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창업기획: 창업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2014,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최선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다.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ICU 경영학부 교수를 지냈다. 저서로 『BBC 미래 전략』(공저, 2010)이 있고, 논문으로 “Broadband Boom in Korea: What sets Korea apart?”(2007), “융합미디어의 규제정책: 네트워크 규제와 서비스 규제를 중심으로”(2009), “Media Convergence: Drivers, Impact and Regulatory Challenge” (2010), “뉴스시장의 경쟁과 미디어 편향성”(공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신동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교수이자 학과장이다. BK21플러스사업단장으로 일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의 우수학자로 선정되었고(2014), 한국언론학회, 한국HCI학회, 미디어경영학회, 정보통신정책학회, 한국정보사회학회에서 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Telecommunications Poli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s, Information Technology and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Communications, Info, Human-Computer Interaction 등의 국제저널 편집위원이다.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미디어, 정보통신 정책·경영, 스마트 콘텐츠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재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와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공업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학 석사, 코넬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R&I 멀티미디어 대표, 싱가포르 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스쿨 교수를 지냈다. 저서로는 <감정과 느낌으로서의 위험: 뇌 과학과 생물학적 접근>(2018), <뇌과학과 커뮤니케이션>(2015) 등이 있으며 “유료 OTT 서비스 추천 콘텐츠 시청의도의 영향 요인 탐구” (2021), “국내 지상파 방송사 웹사이트 디자인의 시기별 변화에 대한 탐구”(2020)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기술영향평가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인터넷자율규제기구(KISO)에서 정책위원, 검색어검증위원장, 인공지능 신기술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ICT를 둘러싼 환경이 복잡 다기화되고 여타 산업이나 서비스와 결합이 증가하면서 ICT를 둘러싼 분야를 보는 데 생태계적 관점이 필요하게 되었다.
_ <1장 ICT 생태계 패러다임> 중에서

디지털 융합의 이전 단계에서 콘텐츠 유형별로 수직적으로 구성되어 있던 가치 사슬이 하나의 가치 사슬로 통일되면서 각 콘텐츠가 다양한 전송 경로와 다양한 디바이스를 거쳐 제공되기 시작하는 가치 사슬의 재구조화가 진행되고 있다.
_ <2장 디지털 융합과 ICT 생태계> 중에서

ICT 생태계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소비자와 그 하위 차원의 사업자들이 모두 상생하는 것이 진정한 공생이며 이것이야 말로 미래 ICT 생태계가 추구해야 할 공생이다.
_ <3장 ICT 생태계에 대한 생물학적 접근> 중에서

스마트 생태계는 스마트 기기와 이에 따른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케 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네트워크다. 스마트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주체는 바로 사용자다.
_ <4장 스마트 생태계에서의 인간-ICT 상호작용> 중에서

가치 공동 창출은 기업과 소비자가 공동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과정이고, 발생되는 문제도 같이 해결해 나가는 접근방법이다. 가치 공동 창출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소비자와 기업의 상호작용을 통한 소비자 경험이다.
_ <5장 가치 공동 창출을 통한 콘텐츠 생태계의 발전> 중에서

콘텐츠는 그 유형과 범위에서 매우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콘텐츠 산업은 다양한 문화산업 및 여러 세부 콘텐츠 산업 간의 관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기타 ICT 산업의 복잡한 상황 속에 위치한다.
_ <6장 콘텐츠 생태계의 지형과 특징> 중에서

거대 플랫폼 사업자들이 지배하는 환경에서 수많은 콘텐츠 사업자들의 창작 유인을 보장해 주고 고품질의 다양한 콘텐츠가 시장에 나올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무엇보다 시급한 때다.
_ <7장 방송 콘텐츠 산업 생태계> 중에서

플랫폼은 생태계 내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때 생태계 내에서 정보를 걸러 내거나 선택할 뿐만 아니라 활발한 자료의 축적과 가공, 새로운 포장을 통해 가치를 더할 수 있다.
_ <8장 모바일 생태계와 모바일 플랫폼의 진화> 중에서

N스크린 서비스로 미디어 생태계는 그 이전에 비해 미디어 이용자가 콘텐츠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플랫폼과 단말기가 서로 교차되고 연계되며 통합되는 매우 복잡한 환경을 낳고 있다.
_ <9장 ICT 생태계와 N스크린> 중에서

이제는 자동차와 정보통신의 융합추세로 새로 개화되고 있는 스마트카 생태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해야 할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_ <10장 ICT 생태계의 확장: ICT와 자동차의 만남>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