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46073395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11-30
책 소개
목차
01 미디어 산업과 미디어 경영의 이해 _이상우
02 미디어 시장의 융합과 경쟁 _이상원
03 미디어 상품과 서비스의 이해: 이윤, 상품주기, 혁신, 위험 _홍성철
04 미디어 경영의 경제학적 기초 _장병희
05 미디어 기업 전략 _이문행
06 미디어 기업의 인수·합병과 글로벌화 _박주연
07 미디어 기업의 조직 및 인적자원 관리 _곽규태
08 미디어 기업의 재무관리 _김성철
09 미디어 기업의 마케팅 관리 _정윤혁
10 미디어 기업의 기술 경영 _모정훈
11 디지털 전환과 미디어-커머스 연계 _김민기
12 미디어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 _송지희
저자소개
책속에서
공익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해 나아갈 수 있는 시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정책 당국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 어느 국가들보다 미디어 시장에 대한 규제가 강하다. 군사정권 시절부터 답습해 온 공익에 기반한 규제 논리가 여전히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공익이라는 모호한 논리는 미디어 시장을 정책 당국의 입맛에 맞게 요리할 수 있는 더없이 좋은 논거가 되어왔다. 그러나 정책 당국이 미디어에 대한 전문성이 없는 다양한 이해 집단들의 주장에 이리 저리 휘둘리게 된다면 기업이 아무리 혁신하고 노력한다 해도 미디어 시장의 발전은 지체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01 미디어 산업과 미디어 경영의 이해”
한편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와 같은 글로벌 동영상 OTT 사업자의 성장과 글로벌 동영상 OTT 사업자에 의한 K-콘텐츠 유통은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가져올 가능성도 있다. 글로벌 동영상 OTT 사업자의 콘텐츠 유통을 통해 한류가 확산되고 해외시장 매출이 확대될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는 반면 글로벌 동영상 OTT 사업자를 통한 콘텐츠 유통 의존도가 커질 경우 장기적으로 국내 콘텐츠 사업자의 협상력 약화라는 부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한편으로는 글로벌 OTT를 통한 해외 콘텐츠 유통을 하나의 플랫폼이 아닌 여러 플랫폼으로 다변화하는 동시에 국내 OTT 플랫폼들이 해외에 공격적으로 진출해 K-콘텐츠 공급의 일부를 담당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02 미디어 시장의 융합과 경쟁”
수직적 통합 구조를 유지해 오던 국내 지상파방송사들이 1991년 외주 제작 의무 사항 준수를 위해 프로덕션을 자회사로 분리시킨 사례나,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한 경영상 필요로 제작 및 관련 기능(미술 및 시설 등)을 외부화해 규모를 축소한 사례들을 들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지상파방송사들이 제작 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문 제작사 신설에 적극 나서고 있다. SBS는 지상파방송사중 가장 먼저 ‘더스토리웍스’라는 드라마 전문 제작사를 설립했다. 초기에는 자사 제작물 외에 다른 방송사 제작물 수주도 계획했으나, 실질적으로는 자사 드라마 제작에 그치고 있다. MBC는 2011년 기존의 MBC 프로덕션과 MBC 미디어텍을 합병해 ‘MBC C&I’를 설립했고, KBS는 2016년에 설립된 ‘몬스터유니온’을 통해 드라마를 전문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했다. “05 미디어 기업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