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디어 경영론 5.0

미디어 경영론 5.0 (양장)

한국미디어경영학회, 박주연, 장병희, 이상우, 이상원, 홍성철, 이문행, 곽규태, 김성철, 모정훈, 김민기, 송지희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350원
3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디어 경영론 5.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디어 경영론 5.0 (양장)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46073395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11-30

책 소개

미디어 경영의 핵심 이론과 최신 경향, 사례 벤치마킹과 미래 연구를 균형 있게 배분해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고 있는’ 미디어 기업들과 관련 분야에 체계적인 미디어 경영 이론과 사례를 제공한다.

목차

01 미디어 산업과 미디어 경영의 이해 _이상우
02 미디어 시장의 융합과 경쟁 _이상원
03 미디어 상품과 서비스의 이해: 이윤, 상품주기, 혁신, 위험 _홍성철
04 미디어 경영의 경제학적 기초 _장병희
05 미디어 기업 전략 _이문행
06 미디어 기업의 인수·합병과 글로벌화 _박주연
07 미디어 기업의 조직 및 인적자원 관리 _곽규태
08 미디어 기업의 재무관리 _김성철
09 미디어 기업의 마케팅 관리 _정윤혁
10 미디어 기업의 기술 경영 _모정훈
11 디지털 전환과 미디어-커머스 연계 _김민기
12 미디어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 _송지희

저자소개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이며 미디어산업과 뉴미디어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미디어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SK에서 정보통신분야 신규사업을 담당했고 개방형 직위인 서울특별시 정보시스템담당관을 거쳐 카이스트(구-한국정보통신대학교) IT 경영학부 부학부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초빙연구원, 고려대학교 부설 정보문화연구소장, 고려대학교 도서관장,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한국정보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지능정보기술과 사회문제 연구센터와 미디어산업 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급변하는 지능정보사회의 문제와 미디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략과 정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다. 미디어·콘텐츠·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의 이해, ICT·미디어·콘텐츠 산업론, 뉴미디어 세미나 등을 강의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방송 산업과 방송통신 융합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수립에 기여했다.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정보통신정책학회 책임편집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고, 현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편집이사,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디어 다양성』(공저, 2011), 『미디어 생태계』(공저, 2011), 『소셜미디어』(공저, 2012),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공저, 2014) 등이 있고, Journal of Media Economic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등의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펼치기
이상우의 다른 책 >
홍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대학교 언론미디어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 과정에서는 정치 커뮤니케이션과 저널리즘을 전공으로, 언론법을 부전공으로 공부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문화일보≫에서 10년간 기자 생활을 하면서 경제부, 국제부, 사회부, 산업부 등을 거쳤다. 저서로는 <유곽의 역사>(2007), 논문으로는 “Do cultural values matter?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third-person effect and support for the regulation of violent video games”(2015), “Copyright protection v. public morality: The copyright protection dilemma of pornography in a global context”(2013) 등이 있다.
펼치기
홍성철의 다른 책 >
박주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학부와 대학원에서 미디어 산업론, 디지털미디어정책,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론을 강의하고 있다.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을 지냈고,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시장 경쟁상황평가위원회, 공익채널평가위원회 등 다양한 정책영역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미디어 관련 다양한 학회에서 활동 중이다. 연구 관심분야는 미디어산업정책과 콘텐츠 영역이다.
펼치기
박주연의 다른 책 >
이문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원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불문학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프랑스 파리2대학에서 방송 산업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 연구 분야는 방송 경영과 콘텐츠 유통이다. 한국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의 자문교수이며, 서울방송과 제일기획, CJ미디어에서 근무했고, MGM Korea 대표이사로 재직했다. 미디어경영학회, 언론학회, 방송학회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이문행의 다른 책 >
곽규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순천향대학교 글로벌문화산업학과 교수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영상학 석사를 수료한 후, 정보학 석사,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KBI),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에서 근무했고, 순천향대학교 글로벌경영대학 글로벌문화산업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콘텐츠비즈니스, 플랫폼생태계, 미디어경영경제와 관련한 다양한 저서와 논문을 집필하였으며, 현재 한국정보사회학회·한국미디어경영학회의 공동 학술지인 <정보사회와 미디어> 편집위원장을 거쳐, 현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부회장, 한국방송학회 수석총무이사, 정보통신정책학회 책임편집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곽규태의 다른 책 >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KMMA _Korea Media Management Association 한국미디어경영학회는 미디어 경영에 관련된 제반 학술연구와 교육 활동, 워크숍 등을 수행하고, 국내 및 해외 산학연 관련 기관과 협력, 교류하여 한국의 미디어 산업 발전과 진흥 그리고 미디어 산업 전문가들의 이익과 친목 도모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2002년 9월에 설립되었습니다. 현재의 10대 집행부에 이르기까지 한국미디어경영학회는 정기 학술대회, 매월 조찬 세미나, 미디어 경영 아카데미, 토크콘서트 등의 행사를 주관하고 미디어경영총서를 발간하는 등 우리나라 미디어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면서 양적.질적인 성장을 해왔습니다. 2015년 하반기부터는 한국정보사회학회와 함께 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정보사회와 미디어≫를 발간하게 되었고 미디어 경영 교과서도 출간하게 되어 미디어 산업을 선도하는 학술단체로서의 모습을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펼치기
이상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6년 출생, 일본 나가사키국제대학 국제관광학과를 졸업 후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박사과정을 졸업했다. 논문으로는 「일본어동사의 재귀성에 관한 고찰」(2009), 「「再帰構文」の態構文における動作主体の機能」(2010), 「所有関係を表す「再帰構文」の一考察」(2011), 「所有関係を表す両構文の比較分析」(2012) 등이 있다.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중이다.
펼치기
모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에서 EECS 석사, IEOR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AT&T Bell연구소와 실리콘 밸리 벤처 기업에 근무했다. 관심 분야는 경영과학, 미디어와 기술, 빅데이터/인공지능, 게임이론 등이다. 경영과학회와 미디어 경영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했다.
펼치기
김민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카이스트 경영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1년에 카이스트 경영대학 교수로 부임해 혁신 경쟁, 빅데이터 기반 애널리틱스와 인공지능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JMR, JCR, QME, IJRM, JBR 등 국내외 유수 저널에 38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현재 대통령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위원, 한국경영학회, 정보통신정책학회, 산업조직학회, 미디어경영학회, 데이터법정책학회, JBR, AMJ 등에서 편집위원,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송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다.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세부전공: 재무관리)를 취득했으며,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마케팅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뉴미디어 마케팅, 인터렉티브 마케팅, Martech 분야에서 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Journal of Marketing, Marketing Letter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등의 저널에 관련 논문을 게재했다. 현재 Asia Marketing Journal 편집위원장, 정보통신정책학회 총무이사, 한국 미디어경영학회 이사를 맡고 있으며, 한국마케팅학회, 한국소비문화학회, 한국창업학회 이사를 역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공익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해 나아갈 수 있는 시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정책 당국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 어느 국가들보다 미디어 시장에 대한 규제가 강하다. 군사정권 시절부터 답습해 온 공익에 기반한 규제 논리가 여전히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공익이라는 모호한 논리는 미디어 시장을 정책 당국의 입맛에 맞게 요리할 수 있는 더없이 좋은 논거가 되어왔다. 그러나 정책 당국이 미디어에 대한 전문성이 없는 다양한 이해 집단들의 주장에 이리 저리 휘둘리게 된다면 기업이 아무리 혁신하고 노력한다 해도 미디어 시장의 발전은 지체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01 미디어 산업과 미디어 경영의 이해”


한편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와 같은 글로벌 동영상 OTT 사업자의 성장과 글로벌 동영상 OTT 사업자에 의한 K-콘텐츠 유통은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가져올 가능성도 있다. 글로벌 동영상 OTT 사업자의 콘텐츠 유통을 통해 한류가 확산되고 해외시장 매출이 확대될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는 반면 글로벌 동영상 OTT 사업자를 통한 콘텐츠 유통 의존도가 커질 경우 장기적으로 국내 콘텐츠 사업자의 협상력 약화라는 부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한편으로는 글로벌 OTT를 통한 해외 콘텐츠 유통을 하나의 플랫폼이 아닌 여러 플랫폼으로 다변화하는 동시에 국내 OTT 플랫폼들이 해외에 공격적으로 진출해 K-콘텐츠 공급의 일부를 담당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02 미디어 시장의 융합과 경쟁”


수직적 통합 구조를 유지해 오던 국내 지상파방송사들이 1991년 외주 제작 의무 사항 준수를 위해 프로덕션을 자회사로 분리시킨 사례나,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한 경영상 필요로 제작 및 관련 기능(미술 및 시설 등)을 외부화해 규모를 축소한 사례들을 들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지상파방송사들이 제작 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문 제작사 신설에 적극 나서고 있다. SBS는 지상파방송사중 가장 먼저 ‘더스토리웍스’라는 드라마 전문 제작사를 설립했다. 초기에는 자사 제작물 외에 다른 방송사 제작물 수주도 계획했으나, 실질적으로는 자사 드라마 제작에 그치고 있다. MBC는 2011년 기존의 MBC 프로덕션과 MBC 미디어텍을 합병해 ‘MBC C&I’를 설립했고, KBS는 2016년에 설립된 ‘몬스터유니온’을 통해 드라마를 전문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했다. “05 미디어 기업 전략”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