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2012년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강상현, 마동훈, 김영주, 이광석, 임정수, 나보라, 이호규, 임영호, 김수아, 김은미, 박선희, 윤태진 (지은이), 한국언론학회 (엮은이)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10-14
  |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책 정보

· 제목 :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2012년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4061879
· 쪽수 : 410쪽

책 소개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정치, 사회, 문화의 상관관계를 추적한다.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 미디어, 그리고 새롭고도 진화한 미디어 플랫폼. 우리 사회의 무엇을 바꾸었나? 커뮤니케이션 방식 자체다. 정보와 지식, 이슈는 디지털 미디어에서 상호작용을 거쳐 대량생산된다.

목차

발간사

I 한국 사회의 디지털화와 정치 사회 변동

1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 - 강상현
서론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의 관계
한국 사회의 미디어 디지털화 추이와 디지털 미디어 현황
한국 사회 미디어 디지털화와 디지털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
미디어 디지털화와 한국 사회 변동의 이론적 함의
결론

2 한국 정치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정치의 역설 - 박선희
들어가며
한국 정치의 디지털화
한국 디지털 정치의 역설: 정치의 디지털화와 아날로그 정치
나오며

3 1990년대 이후 청년 세대들의 미디어 문화 정치 - 이광석
1990년대 이후 사회 참여의 변화
디지털 세대의 형성과 사회·문화적 세대 구분
1990년대 이후 디지털 세대들의 세대별 문화 정치적 국면들
웹 2.0 시대 디지털 세대의 문화 정치

4 한국 사회 사이버 공간과 젠더 정치 - 김수아
들어가며
사이버 공간과 젠더에 대한 개념화
한국의 사이버 ‘공간’
여성의 사이버 공간 참여를 위한 대응
사이버 공간과 젠더
결론

II 한국 미디어의 디지털화와 사회적 수용

5 한국 신문과 디지털 테크놀로지: 뉴스 미디어 지평의 확대 혹은 축소 - 김영주
디지털과 함께한 한국 신문의 과거와 미래
신문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수용의 역사
디지털 기술의 발전 vs 뉴스 생산 시스템의 지체
디지털 테크놀로지 확산과 신문 위기 극복의 과제
새로운 디지털 기술과의 결합 가능성: 소셜 & 모바일 미디어의 활용
결론에 대신하여

6 한국에서의 이동전화 수용의 사회·문화적 의미 - 이호규
들어가는 말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의 관계에서 본 한국 이동전화의 현주소
일상생활의 변화와 이동전화의 관계
한국인의 연줄망 강조 문화와 이동전화의 관계
한국 사회 산업 구조의 변화와 이동전화의 관계
이동전화 수용의 사회·문화적 의미
나가면서: 이동전화는 한국 사회에서 어떠한 매체인가?

7 소셜 미디어형 소통 방식과 인간관계의 변화 - 임영호·김은미
머리말
소통의 사회 이론 측면에서 바라본 소셜 미디어
SNS형 소통과 인간관계의 변화
SNS와 한국 사회의 진화

III 한국 사회의 디지털 문화와 콘텐츠 생산

8 네트워크 시대의 지식 생산 패러다임 - 마동훈
지식 체계의 존재 양식 변화
지식의 ‘유동적 지속 가능성’
지식의 ‘불확실한 합의’
지식 재생산 구조의 ‘비선형성’
네트워크 지식 체계와 권력, 그리고 우리의 미래

9 한국 디지털 게임의 역사: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 윤태진·나보라
게임, 문화, 역사
디지털 게임의 전사(前史): 전자오락실의 사회적·문화적 의의
콘솔/PC 게임: 가정용 오락의 부침
온라인 게임: 디지털 문화와 게임 산업의 만남
요약 및 논의: 한국 게임 문화사의 재구성

10 한국 미디어 플랫폼 진화와 콘텐츠 생산 양식 - 임정수
빠른 진화, 총체적 접근
지상파방송의 콘텐츠 생산자 역할과 한계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과 호혜적 생태계
함의 및 결론

찾아보기

저자소개

강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로,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 디지털 방송론, 레토릭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아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국언론정보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회장, 디지털방송활성화위원회 실무위원장,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 공동위원장,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장과 커뮤니케이션대학원장,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책으로는 《정보 통신 혁명과 한국 사회: 뉴 미디어 패러독스》, 《크리스티안 푹스의 초국적 정보자본주의 비판》,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공저), 《모바일 미디어》(공저), 《공영방송의 이해》(공저), 《디지털 방송론》(공저), 《디지털 시대, 미디어의 이해와 활용》(공편), 《시민이 열어가는 지식 정보 사회》(공저), 《지배 권력과 제도 언론》(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마동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리즈대(The University of Leeds) 커뮤니케이션학과와 사회학과에서 문화생산 실증연구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03년부터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로 재직하였다. 미디어 문화와 역사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 고려대에서 〈고대신문〉 주간, 대외협력처장, 미디어학부장 겸 미디어대학원장, 미래전략실장으로 일했다. 2005년에는 미국언론학회(ICA)의 영상연구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영국 맨체스터대와 미국 텍사스대(Austin) 방문교수로 강의했으며, 우간다크리스찬대 초빙교수로 강의와 학과 설립 일을 맡았다. 터키,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정부의 미디어 교육과 문화 다양성 분야 컨설턴트로도 초청되어 일했다. 국내 주요 학회의 학술저널인 〈한국언론학보〉, 〈한국방송학보〉, 〈언론과사회〉 편집장을 역임했다. 2011년부터 중앙일간지에 고정필진으로 대학∙교육∙미디어∙정치 분야를 중심으로 평론을 써왔다. 2022년 고려대에서 대학과사회 연구회를 만들어 대표를 맡고 있다.
펼치기
김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이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 전문위원, KBS 시청자 평가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국 미디어 산업의 변화와 과제』(2010, 공저), 『미디어의 미래』(2008, 공저),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이용』(2006, 공저), 『2010 국민의 뉴스소비』(2010)가 있으며, 논문으로 “Factors affecting e-book reader awareness, interest, and intention to use”(e-book 단말기에 대한 인지, 관심,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New media Society, 2011), “미디어 소비지출의 상대적 불변: 1989~2008”(2010) 등이 있다.
펼치기
이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테크놀로지, 사회, 생태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에 비판적 관심을 갖고 연구, 비평 및 저술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전공 교수이며,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의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문화 연구, 커먼즈, 플랫폼, 기술 생태정치학, 자동화 사회 등에 걸쳐 있다. 《디지털 폭식 사회》, 《피지털 커먼즈》, 《포스트디지털》, 《디지털의 배신》, 《데이터 사회 미학》, 《데이터 사회 비판》, 《뉴아트행동주의》, 《사이방가르드》, 《디지털 야만》, 《옥상의 미학 노트》, IT development in Korea: A Broadband Nirvana?를 썼다. 직접 기획하고 엮은 책으로 《불순한 테크놀로지》,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사물에 수작 부리기》 등이 있고, 그 외 다수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광석의 다른 책 >
임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학사, 석사)하고, 케이블 네트워크 DSN에서 프로듀서로 근무했으며,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09년 UCLA 방송영화학과에서 방문 교수를 지냈다. 콘텐츠산업과 정책, 테크놀로지 사회학, 미디어 이용자 조사와 분석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디지털시대의 미디어 산업』, 『영상미디어 산업의 이해』, 『미드: 할리우드 텔레비전 드라마 생산 이야기』,『디지털 미디어와 광고』(공저), 『디지털 시대의 방송편성론』(공저), 『컨버전스와 다중 미디어 이용』(공저),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공저)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는 「텔레비전 콘텐츠 VOD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와 속성변인의 컨조인트 분석」, 「역대 방송관련법령에서 ‘다양’과 ‘선택’의 의미 사용에 관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나보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에서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면서 게임학(Game Studies)를 접했다. 2006년에 <게임플레이 경험에 대한 연구: 디지털 게임 장르를 중심으로>로 석사학위를, 2016년에는 <‘게임성’의 통사적 연구: 한국 전자오락사의 이론적 고찰>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게임의 이론》(2019), 《81년생 마리오》(2017),《뉴미디어포비아》(2013),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2011) 등을 통해 게임 관련 연구를 발표했고, 역서로는 《한류: 역사, 이론, 사례》(2019), 《신한류: 소셜미디어 시대의 초국가적 문화권력》(2017), 《디지털을 읽는 10가지 키워드》(2011), 《비디오게임》(공역,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호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한국 소비자 연맹 이사, 남북한 방송통신교류추진위원회 위원,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회장, 통일부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어린이 어깨동무 운영위원을 담당하고 있으며, (포럼) 평화 공감 대표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테크놀로지와 낭만주의>(2014), 역서로는 <커뮤니케이션 편향>(2018), 논문으로는 <존 스튜어트 밀의 개별성 제고를 위한 대화 형식으로서의 토론의 자유>(2020), <모든 의견은 들려야 한다: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와 표현의 자유에 관한 연구>(2021),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 개념에 관한 논의>(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임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명예 교수로, 저널리즘, 문화연구, 이론의 지식사 등을 연구해 왔다. 서울대학교 신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석사,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왜 다시 미디어 정치경제학인가》, 《지식의 장, 학문의 제도화: 한국 언론학의 정체성 탐색》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문화와 사회를 읽는 키워드: 레이먼드 윌리엄스 선집》,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스튜어트 홀 선집》, 《위기 관리: 노상강도, 국가, 법과 질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수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글쓰기 강의교수다. “동아시아 텔레비전 드라마가 재현한 가족과 가족 관계”, “저널리즘과 여성의 이중 재현”, “ 남성 정체성(들)의 재생산과 사이버 공간”, “사이버 공간에서의 힘 돋우기 실천”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사이버 공간과 문화, 온라인 커뮤니티와 정체성, 젠더 이슈와 미디어 재현 분석 등이 주요 연구 분야다. sooah@snu.ac.kr
펼치기
김은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부교수이며 정보문화 연합전공 주임교수를 맡고 있다. 저서로 「우리는 마이크로 소사이어티로 간다」(공저), 「방송편성론」(공저), 「SNS 혁명의 신화와 실제: 토크 플레이 러브의 진화」(공저)가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의 진화와 효과, 미디어 리터러시 등을 주제로 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eunmee@snu.ac.kr
펼치기
박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정치인의 퍼스널 커뮤니티와 네트워크 공론장으로서 트위터의 가능성”, “인터페이스 감각 양식이 사회적 현존감 및 온라인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탈육화 담론의 비판으로서 육화이론”,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인터넷 대안언론의 영향력”, “인터넷 정치뉴스의 이용”, “인터넷 신문의 뉴스 특성과 대안언론의 가능성”, “컴퓨터 매개 정치의 패러독스”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인터넷과 정치커뮤니케이션, 멀티미디어와 사이버커뮤니케이션, 그리고 HCI 연구가 주요 관심 분야다. parksh@chosun.ac.kr
펼치기
윤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이자 게임과학연구원 원장이다. 미국 미네소타대학에서 미디어문화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귀국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 한류, 웹툰 등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활동들”에 대해 글을 쓰고 강의를 해왔다. 최근에는 후배 연구자들과 함께 게임 및 이스포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결과물로 포스트-코로나 게임 문화, 중장년 게이머 등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펴냈다. 『디지털 게임문화연구』라는 책을 펴낸 바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미디어들이 누구에 의해 어떤 목적으로 개발되고 보급되고 이용되고 있는가를 묻게 되면 대답은 달라진다.
-강상현

온라인 정치 활동을 실제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기존 정치 질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은 부재한 상황이다.
-박선희

사회 변화의 주요 동력이 되었던 디지털 세대들의 활동에 주목하는 것은, 결국 세대론의 핵심적 사안을 관통하는 방식이자 생활 정치를 제도 정치만큼이나 핵심 영역으로 끌어올리는 방도이기도 하다.
-이광석

일반 여성의 삶 속으로 들어가지 못한 여성주의 미디어와 여성주의 커뮤니티들은 어떤 실천을 통해 상업적 여성 커뮤니티와 공존하며 사이버 공간상의 젠더 질서를 구성, 재구성해나가게 될 것인가.
-김수아

이미 오래전부터 신문은 디지털 기술과 공존하고 공진화하는 기술을 습득해야 할 기로에 서 있다.
-김영주

속도와 흐름의 한국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시간과 공간에 흩어져 있는 사람들과 사물들을 통합 조정할 필요가 생겼다.
-이호규

SNS라는 새로운 현상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과거 올드 미디어에서 변하는 부분과 변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고찰이 모두 필요하다.
-임영호·김은미

근대적 권력 구조가 조성한 불평등 사회 구조와 일상의 문제가 더욱 가속화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네트워크 지식 구조가 반전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인가.
-마동훈

게임의 역사를 통해 드러나는 지금의 (온라인) 게임 문화의 특질이 지금의 디지털 문화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라 이해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
-윤태진·나보라

참여와 개방의 정신이 반영된 온라인 미디어 플랫폼의 활성화는 지속 가능한 미디어 산업의 생태계 회복의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생태계는 잠시도 변화와 대응을 멈추지 않으므로, 어떤 한 상황이 확정적일 수는 없다.
-임정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