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독일철학
· ISBN : 9788964476512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1-05-31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박찬국)
책머리에 들어가는 말
I부 후설에서 하이데거로
1. 지향성의 역사
1. 잃어버린 고리 2. 관점 의존성 3. 데 딕토 데 레 4. 지향적 대상 5. 가능세계6. 지향적 문맥 7. 환원 8 .노에마 9. 인지주의 10. 초월성
2. 후설과 하이데거: 차연
1. 부친살해 2. 만남 3. 전복 4. 이중 회기 5. 세계대전6. 브리태니커 7. 황제의 반격 8. 다이하드 9. 산종
II부 하이데거와 비트겐슈타인
3. 고고학적 언어철학
1. 형식과학과 고고학 2. 인과, 논리, 의미 이해 3. 억압의 철학사 4. 하이데거의 사전
5. 고고학적 의미 지평에 서서
4. 수리논리학 비판
1. 자연언어와 형식언어 2. 논리학에 앞서는 존재 3. 논리학과 언어 4. 반시대적 고찰
III부 도구, 진리, 과학
5. 도구와 사용
1. 바벨 2세 2. 은어 낚시 3. 부메랑 4. 추수림 5. 실향 6. 발견 7. 사용
6. 진리와 과학
1. 예수의 침묵 2. 종횡사해 3. 진리의 장소 4. 비원 5. 밀고 당김6. 역사기행 7. 보이지 않는 손 8. 존재의 진리
IV부 기술철학
7. 기술에 대한 물음
1. 정의 2. 물음 3. 본질 4. 도구주의 5. 원인6. 포이에시스 7. 테크네 8.도발적 요청 9. 몰아세움 10. 은폐와 탈은폐11. 표상 12. 오해와 이해
8. 정보, 매체, 기술
1. 정보 2. 타자기 3. 거리없앰 4. 텔레비전 5. 휴대전화기6. 핀버그 7. 드라이푸스와 스피노사 8. 보그만
9. 허무주의
V부 토론
10. 형식언어와 테크네
1. 논평 (김희봉) 2.답론
11. 존재와 언어
12. 진리와 상대성
1. 진리와 진리론의 층위 (임일환) 2. 논평 (노양진) 3. 임일환 교수에 대한 답론 4. 노양진 교수에 대한 답론
13. 기술개념의 철학적 분석
14. 인문학의 위기
1. 논평(여건종) 2. 답론 3. 토론 4. 가톨릭관동대 교수들과의 토론 5. 싱가포르에서의 토론
15. 『크로스오버 하이데거』와 분석철학
1. 논평(이유선) 2. 답론 3. 토론
16. 『크로스오버 하이데거』와 현상학
부록: 서평과 답론
정대현 | 윤동민 | 김재철 | 정은해
참고문헌 주제색인 인명색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유로부터 비롯되는 깨우침의 힘, 깨달음의 힘은 보이거나 들리지도 않는다. 그러나 사유가에게는 그것만큼 심금을 울리는 절실한 것도 없다. 사유가는 그 힘의 경천동지驚天動地할 대진동을 온 마음과 온몸으로 느낀다. 파르메니데스는 일찍이 존재와 사유를 같은 것으로 보았다. 하이데거의 사유가 존재로 방향이 잡혀 있다는 사실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에게 사유는 존재사건Ereignis과 동근원적同根源的이다. 존재는 사유를 통해서 사유가에게 말을 건넨다.
우리는 이 책에서 전개하려는 사유의 작업에 적합한 이름을 찾았다. 바로 ‘크로스오버cross over’이다. ‘크로스오버cross over’는 ‘건너가다’라는 의미의 동사이지만 붙여 쓸 때는(crossover) 크로스오버 음악의 경우처럼 이질적인 것들의 교차, 융합을 의미하기도 한다. 하이데거의 사유에 대한 우리의 사유는 이 모든 의미에서 크로스오버를 지향한다.
초월성으로 이해된 하이데거의 지향성은 인간을 세계로부터 차단시키기보다는 인간이 세계 내에, 세계의 대상들과 함께 머무르는 존재임을 부각시킨다. 따라서 인간은 탈자적 존재이자 세계-내-존재In-der-Welt-sein이다. 이는 세계가 없는 후설의 순수 의식과 분명하게 대비되는 새로운 인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