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88964620076
· 쪽수 : 684쪽
· 출판일 : 2010-10-1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거부된 다양성
제1부 동물의 무지개
1 성과 다양성
2 성 대 젠더
3 몸 안의 성
4 성 역할
5 두 가지 젠더로 구성된 가족
6 다양한 젠더로 구성된 가족
7 암컷선택
8 동성 섹슈얼리티
9 진화론
제2부 인간의 무지개
10 배아에 관한 이야기
11 성 결정
12 성 차이
13 젠더 정체성
14 성적 지향
15 심리학적 관점
16 질병 대 다양성
17 유전공학 대 다양성
제3부 문화의 무지개
18 두 개의 영혼, 마후, 히즈라
19 유럽중동 역사상의 트랜스젠더
20 고대의 성관계
21 톰보이, 베스티다, 구에베도체
22 미국의 트랜스젠더 정책
부록: 정책 권고
옮긴이의 말
후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교미의 유일한 목적으로 정자 전달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온갖 문제점이 줄줄이 뒤따른다. 만약 수컷이 정말로 ‘바람난 아내를 두었다면’, 충실하지 못한 짝을 버려야만 한다. 그런데 수컷 큰부리바다오리는 짝을 버리지도 않고 짝이 배우자외 교미를 받아들여도 공격하지 않는다. 수컷 큰부리바다오리는 짝의 문란한 정도에 맞추어 부모로서 자신의 새끼 돌보기를 줄이지도 않는다. 왜 그러지 않을까? …(중략)… 그런 관점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짝짓기가 정자 전달만큼이나 관계 이루기에 관한 것이라고 제안한다. (182쪽)
왜 동성애가 암컷 보노보들 사이에서 진화했을까? 암컷들은 친척관계가 없는 다른 암컷과도 돈독한 우정을 지속하며, 먹이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고 수컷보다 암컷끼리 서로 먹이를 나누어 먹으며, 동맹을 맺어 수컷에게 협공을 펼치거나 심지어 상처를 입히기도 한다. 먹이를 더 잘 통제하고 수컷의 위협이 적기 때문에 암컷 보노보는 그러한 우정을 맺지 않는 암컷 침팬지보다 더 이른 나이에 번식을 시작한다. 번식을 처음 시작하는 나이가 어리니 평생토록 번식에 더 많이 성공한다. 동성 섹슈얼리티를 비롯한 이러한 사회체제에 속하지 않은 암컷은 무리의 혜택을 공유하지 못한다. 암컷 보노보는 레즈비언이 아니면 생존이 위태롭다. (223쪽)
무엇보다도 성선택 이론이 다양성을 억압한다는 점이 가장 중요하다. 성선택 이론은 수컷끼리의 경쟁을 나약한 개체를 솎아내는 활동으로 여기며, 암컷선택이란 수컷끼리의 경쟁에서 이긴 수컷와 잠자리를 함께하여 새끼들에게 훌륭한 유전자를 물려주기 위한 수단이라고 본다. 부당하게도, 이러한 퇴행적이고 엘리트주의적인 견해는 유전자 풀의 다양성이 대부분 나쁜 유전자, 즉 수컷이 반드시 제거해야 하고 암컷이 피해야 하는 유전자들로 이루어진다고 여긴다. (25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