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7년 서울에서 나고 서울에서 자랐다. 1994년 『세계의 문학』 가을호에 시를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쇼핑 갔다 오십니까?』 『유리 이야기』 『당신의 텍스트』 『ㄹ』 『11월』, 산문집 『장밋빛 도살장 풍경』 『홍대 앞 새벽 세 시』 『모듈』을 냈다. 음악가로서 성기완은 밴드 3호선버터플라이의 멤버로 활동했으며 솔로 앨범 「나무가 되는 법」 「당신의 노래」 「ㄹ」 등을 발표했다. 2015년 김현문학패를 수상했다.
펼치기
김홍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브라운쉬바이크 미술대학과 뒤셀도르프 쿤스트 아카데미를 수학하였다. 현재 상명대 공연영상미술학부 교수. 아트선재센터(2004), 레드캣 갤러리(로스앤젤레스, 2004), 광주비엔날레(2002, 2006), 베니스비엔날레(2003, 2005) 등 다수의 개인전 및 그룹전을 가졌다. 대표작으로는 <러브LOVE>, <와일드 코리아>, <브레멘 음악대>, <공공의 공백> 등이 있으며, 2008년 이래 일본의 오자와 츠요시Ozawa Tsuyoshi, 중국의 첸 샤오시옹(Chen Shaoxiong)과 함께 수행성에 기반을 둔 ‘시징맨(Xijingmen, 서경인西京人)’이라는 협업적 조직을 구성하여 4개의 프로젝트를 완성하였다.
펼치기
김선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비엔날레재단 대표이사이자 큐레이터이며, 2012년부터 한반도 비무장지대(DMZ)와 관련된 정치, 사회, 문화적 이슈들을 연구하는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의 예술 감독으로도 활동 중이다. 2005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전시 커미셔너로서 《시크릿 비욘드 더 도어》를 기획하였으며 '플랫폼 서울'의 총감독(2006-2010)을 역임했다. 또한 미디어시티서울 《트러스트》 총감독(2010), 제9회 광주비엔날레 《라운드테이블》 공동감독(2012), 광주 아시아문화개발원 정보원 예술감독(2014-2015) 그리고 아트선재센터에서 1998년부터 2004년까지 부관장, 2016년부터 2017년까지 관장을 역임하였다.
펼치기
아이리스 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역사, 이론, 비평 프로그램 박사 후보생이며, 18세기 프랑스 미술, 건축과 미학, 정치 이론과 한국 현대미술 등을 관심 있게 연구하고 있다. 한국 미술비평 번역자로 활동하며, 아시아 아트 아카이브와 코리아 헤럴드에서 일하기도 했다.
펼치기
이태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회화를 전공하였고, 미디어아티스트, 웹디자이너/개발자로 활동하고 있다. , 'Sound@Media' 등에 참여하였으며, 웹 기반 문화예술 프로젝트와 웹서비스 구축에 관심이 많다. 주로 문화예술단체에서 기획자/웹 마스터로 일해왔으며, 현재는 웹 개발을 주로 하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