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종교와 군대

종교와 군대

(군종, 황금어장의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강인철 (지은이)
현실문화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종교와 군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종교와 군대 (군종, 황금어장의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6564199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7-09-15

책 소개

군종에 관한 국내 최초의 비판적 연구서인 <종교와 군대: 군종, 황금어장의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졌나?>는 한국 군종제도의 역사와 정당성을 성찰하고 있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군종이 도입된 이래, 각 교단은 군대에 진입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고 진입한 뒤에도 군대 내 선교에 공을 들였다.

목차

머리말 … 8

1장 서장: 군종의 역사성과 보편성 … 13
2장 독점에서 준(準)독점으로: 특권으로서의 군종 … 29
1. 독점: 그리스도교 독주 체제 … 35
2. 교파적 다원화: 개신교 … 49
3. 준독점 혹은 과점: 불교의 참여 … 55
4. 다원화로의 첫걸음: 원불교의 군종제도 진입 … 67
5. 여전히 멀고 험한 여정 … 73
3장 공동운명체: 교단과 군종의 관계 … 85
1. 역사적 개관 … 88
2. 교단의 재정 지원: 종교시설 건축을 중심으로 … 95
3. 맺음말 … 108
4장 동질화에서 이질화로: 한국과 미국의 비교 … 113
1. 동질화 단계: 1950~1960년대 … 116
2. 이질화 단계: 1970년대 이후 … 123
3. 맺음말 … 142
5장 압축성장과 무성찰성 … 145
1. 모방에 의한 압축성장 … 147
2. 무성찰성 … 157
3. 맺음말 … 176
6장 황금어장의 신화: 도구주의, 종교경쟁, 정교유착 … 179
1. 도구주의(1): 교세 확장 수단으로서의 군종 … 183
2. 도구주의(2): 종교적 특권, 정치적 이득 … 199
3. 종교 경쟁과 갈등 … 208
4. 군대의 대변인 역할과 정교유착 … 214
5. 맺음말 … 219
7장 몇 가지 성찰의 쟁점들 … 223
1. 군종의 합헌성(1): 종교의 자유와 차별 … 228
2. 군종의 합헌성(2): 정교분리 … 237
3. 신학적 딜레마: 평화주의의 이중적 도전 … 243
4. 윤리적 딜레마들 … 247
5. 맺음말 … 258
8장 한국에서 ‘새로운 유형의 군종’이 출현할 수 있을까? … 261
1. 규범과 현실의 충돌 … 264
2. 에필로그: 실천적 제언들 … 277

부록 열광 대 무관심: 한국의 군종 연구 … 289
1. 내부: 열광, 혹은 연구의 과잉 풍요 … 295
2. 외부: 무관심, 혹은 연구의 과잉 빈곤 … 303
3. 새로운 가능성으로서의 군종사 연구 … 309
4. 대안: 비교연구, 평화학적 지향, 조직-제도적 접근 … 316

미주 … 319
참고문헌 … 356

저자소개

강인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4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1997년부터 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시민종교, 전사자 숭배, 한국의 종교정치, 군종제도, 종교와 전쟁, 양심적 병역거부, 종교사회운동, 종교권력, 개신교 보수주의, 한국 천주교, 북한 종교, 민중 개념사 등을 탐구해왔다. 현재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역사를 다루는 2부작을 집필 중이다. 이번에 나온 『민중』 2부작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모두 18권의 단독저서를 출간했다. 광주항쟁 40주년을 맞는 2020년 5월에 『5ㆍ18 광주 커뮤니타스』를, 그리고 2019년 초에는 ‘한국 시민종교 3부작’을 이루는 『시민종교의 탄생』, 『경합하는 시민종교들』, 『전쟁과 희생』을 동시에 내놓았다. 2017년에는 『종교와 군대』를, 2012~2013년에는 ‘한국 종교정치 5부작’인 『한국의 종교, 정치, 국가』, 『종속과 자율』, 『저항과 투항』, 『민주화와 종교』, 『종교정치의 새로운 쟁점들』을 선보였다. 그 밖에 『종교권력과 한국 천주교회』(2008), 『한국의 개신교와 반공주의』(2007), 『한국 천주교회의 쇄신을 위한 사회학적 성찰』(2007), 『한국 천주교의 역사사회학』(2006), 『전쟁과 종교』(2003), 『한국 기독교회와 국가, 시민사회: 1945~1960』(1996)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지금까지 한국에서 군종에 관한 연구는 ‘열광 대(對) 무관심’으로 양극화되어 있었다. 한편엔 전·현직 군종장교들과 신학자들이 잔뜩 운집해 있다. 거기엔 열띤 흥분이 넘쳐난다. 군종 활동과 관련된 세계 유일의 ‘학회’(한국군선교신학회)가 한국에 있을 정도이다. (…) 그러나 다른 한편에는 거대한 무관심의 심연이 시커먼 입을 벌리고 있다.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고, 따라서 읽어볼 만한 연구 성과도 좀처럼 나오질 않는다. 그저 무관심한 채 먼지가 쌓이는 시간만 흘러가는 형국이다. 그런 세월이 수십 년이어서 이젠 괴괴한 느낌마저 풍긴다. 이처럼 한편으론 난감하기도 하고 한편으론 안타깝기도 한 상황에서 이 책이 태동했다.
- 머리말


군종제도가 창립되던 1950년대 초에 불교는 단연 한국사회 최대의 종교였다. 따라서 한국 군종 역사에서 가장 납득하기 어려운 미스터리 중 하나는 제도 창립 당시 왜 불교가 참여자격을 얻지 못했는가 하는 점이다. (…) 대체 왜 이런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상황이 조성되었을까? 아마도 이 제도의 창립 과정 안에 비밀스런 해답이 숨겨져 있을지 모른다.
- 2장. 독점에서 준(準)독점으로: 특권으로서의 군종


미국 군종에게 1970년대가 베트남전쟁을 계기로 불붙은 격렬한 ‘논쟁과 개혁의 시간’, 나아가 ‘위기의 시간’이었다면, 한국 군종에게는 전군신자화운동으로 대표되는 ‘축복과 은혜의 시간’이자 ‘기적을 만들어내는 경이로운 시간’이었다. 전군신자화운동은 1970년대 전반기에 가장 활발했으나, 적어도 공식적으로는 1970년대 내내 진행되었다. 전체 군인을 종교 신자로 만들겠다는 이 운동이 전체 경찰관과 유치인들, 나아가 전체 교도관과 재소자들마저 신자로 만들겠다는 운동으로 들불처럼 번져나가는 동안, 교단 내부에서도 행복감과 기쁨, 감격이 교차했다. 이런 엄청난 기적을 선물해준 장군들, 그리고 역시 장군 출신인 대통령에게는 찬사가 쏟아졌다.
- 4장. 동질화에서 이질화로: 한국과 미국의 비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