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난중일기

난중일기

이순신 (지은이), 박종평 (옮긴이)
글항아리
6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8,500원 -10% 0원
3,250원
5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난중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난중일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88967355074
· 쪽수 : 1232쪽
· 출판일 : 2018-03-30

책 소개

총 5부로, 제1부에서 이순신의 일기(난중일기와 일기 속 메모), 제2부 이순신의 보고서(장계), 제3부 이순신의 편지(서한첩), 그리고 제4부 이순신의 조카 이분이 쓴 이순신 전기(이충무공행록)와 제5부 참고 자료로 이루어져 있다.

목차

서문 이순신 장군 순국 7주갑, 420주년을 맞이하며
일러두기

제1부 이순신의 일기
Ⅰ. 난중일기
1592년(임진년) 『이충무공전서』 「친필본」
1593년(계사년) 「친필본」
1594년(갑오년) 「친필본」
1595년(을미년) 『이충무공전서』 「을미일기」, 『충무공유사』 「일기초」 「을미일기」
1596년(병신년) 「친필본」
1597년(「정유년 Ⅰ」) 「친필본」
1597년(「정유년 Ⅱ」)
1598년(무술년) 「친필본」, 『이충무공전서』 「무술일기」, 『충무공유사』 「일기초」 「무술일기」

Ⅱ. 일기 속 메모
1. 편지 관련 글
2. 감결 관련 글
3. 장계 관련 글
4. 독후감 1597년(「정유년 Ⅰ」) 10월 8일 일기 뒤
5. 독서 관련 글
6. 시 관련 글
7. 기타 메모

제2부 이순신의 장계
- 전략가·행정가·경영자 이순신의 땀과 피, 눈물, 승리의 기록 -

Ⅰ. 『임진장초』 『이충무공전서』 속 공통 장계
Ⅱ. 『충민공계초』 『이충무공전서』 속 공통 장계
Ⅲ. 『임진장초』에만 있는 장계
Ⅳ. 『이충무공전서』에만 있는 장계
Ⅴ. 『선조실록』 『선조수정실록』에만 있는 장계
Ⅵ. 『선조실록』 『선조수정실록』 속 이순신이 쓰지 못한 노량해전 장계
Ⅶ. 이분의 『이충무공행록』과 최유해의 『(이충무공)행장』 속 장계
Ⅷ. 이순신 전사 관련 기록

제3부 서한첩 이순신의 편지
- 시인 이순신, 친구 이순신, 장수 이순신의 편지 -

제4 부 이충무공행록 조카 이분이 저술한 최초의 이순신 전기
- 탄생부터 노량의 별이 될 때까지, 삶의 모든 기록 -

제5부 참고 자료
1. 이순신에 대한 평가
2. 판옥선
3. 조선과 일본의 주력 함선 전투력 비교
4. 이순신의 주요 해전 일람표
5. 거북선
6. 조선시대 관직표와 오늘날 관직 비교
7. 이순신의 척자점擲字占
8. 불멸의 삶, 이순신의 날들
9.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순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45년 3월 8일 문반 가문의 셋째로 태어났다. 1576년에 병과로 급제해 함경도 동구비보 권관, 훈련원 봉사, 충청 병사 군관, 발포 수군만호, 함경도 건원보 권관, 훈련원 참군, 사복시 주부, 조산보 만호 겸 녹둔도 둔전관, 전라순찰사 군관 겸 조방장 등을 거쳤다. 이어 1589년 정읍 현감으로 지방관 생활을 했으며, 1591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로 임명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포해전, 적진포해전, 사천해전, 당포해전 등에서 전승해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1593년 8월에 삼도수군통제사에 최초로 임명되어 1594년에도 장문포해전, 영등포해전 등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1597년 1월 조정을 기망한 죄로 통제사직에서 파직되어 투옥되었다. 출옥 후 도원수 권율 밑에서 백의종군했다. 1597년 7월 원균이 이끌던 조선 수군이 칠천량해전에서 대패하자 삼도수군통제사에 재임명되었다. 9월 16일 남은 12척의 배와 120명의 군사로 130여 척의 왜선과 맞서 명량해전을 대승으로 이끌었다. 1598년 명의 수군과 연합해 왜선 500여 척과 싸우다 노량해전에서 11월 19일 새벽에 전사했다. 1604년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되었고, 1643년에는 ‘충무(忠武)’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1793년에는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펼치기
박종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 칼럼니스트이자 이순신 연구가. 서강대 정치외교학과와 고려대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수학했다. 아리랑TV 기획실과 대외협력팀에서 일했고, 국회의원 보좌관, 출판사 대표를 지냈다. 이순신 장군에 대해 연구해오던 중 ‘다할 진盡’의 자세로 이 책의 번역 작업에 매달렸다. 이순신 장군 7년간의 전쟁 기록을 온전히 살피기 위해 『난중일기』 『임진장초』 『서한집』 『이충무공행록』 등을 모두 이 책에 담아냈다.
펼치기

책속에서

1595년 1월 1일
맑았다. 촛불을 밝히고 홀로 앉았다. 나랏일을 생각하니, 나도 모르게 눈물이 주르르 흘러내렸다. 또 80세의 병드신 어머님 생각에 애태우며 밤을 새웠다.


1597년 8월 5일
맑았다. 아침을 먹은 뒤, 옥과 땅에 도착했더니, 피란하는 사람들이 도로를 가득 메웠다. 기가 막힐 일이다. 기가 막힐 일이다. 말에서 내려 앉아 알아듣게 타일렀다.


1597년 9월 16일 (「정유년 Ⅱ」)
맑았다. 이른 아침에 특별히 높은 곳에서 적을 감시하는 군사가 나와서 보고하는 내용에, “얼마나 되는지 셀 수도 없을 만큼 많은 적선이 명량으로 들어와 진을 치고 있는 곳으로 바로 향하고 있다”고 했다. 곧바로 여러 배에 명령을 내려, 나무닻을 올리고 바다로 나갔더니, 적선 130여 척 이 우리의 여러 배를 둘러쌌다. 여러 장수 등은 스스로 적은 수로 많은 적과 싸우는 상황이라고 계산하고, 편안히 살고자 회피할 계획이었다. (…) 나는 부드럽게 논하며 설명하면서 말하기를, “적선이 비록 많아도 직접 덤비기 어려우니, 조금도 불안에 떨지 말라! 더욱 온 정성과 힘을 다해 적을 쏘고, 적을 쏘아라!”라고 했다. 고개를 돌려 여러 장수의 배를 보았더니, 물러나 먼 바다에 있었다. ‘배를 돌리라’고 군령을 내리고 싶었으나, 여러 적이 물러나는 틈에 기어오를 수 있었다. 오도 가도 못하는 난처한 상황이었다. (명령을 내린다는 의미의) 각(소라)을 불게 하고, 중군에게 명령을 내리는 깃발을 세우게 했고, 또 (장수들을 불러 모으도록) 초요기를 세우게 했더니, 중군장 미조항 첨사 김응함의 배가 점차 우리 배로 가까이 왔다. 거제 현령 안위의 배가 먼저 도착했다. 나는 배 위에 서서 직접 안위를 불러 말하기를, “안위야! 군법에 죽고 싶으냐? 안위야! 군법에 죽고 싶으냐? 도망간들 어디서 살 수 있겠느냐?” 안위가 몹시 당황해 허둥지둥 적선 속으로 돌격해 들어갔다. 또 김응함을 불러 말하기를, “너는 중군인데도 멀리 피해 대장을 구하지 않는구나. 그 죄를 어찌 벗을 수 있겠느냐? 처형하고 싶으나 적의 상황이 또한 급하니, 먼저 공이라도 세워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