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광주ㆍ전남 지역경제현황과 지속가능한 발전방향

광주ㆍ전남 지역경제현황과 지속가능한 발전방향

나주몽, 홍성흡, 김원기, 이상호, 조수미, 김일태, 김봉진, 박경석, 구재운, 정봉현 (지은이)
전남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광주ㆍ전남 지역경제현황과 지속가능한 발전방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광주ㆍ전남 지역경제현황과 지속가능한 발전방향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68498091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21-02-26

책 소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기에 대응하여 지역경제현황을 진단하고 광주ㆍ전남 지역경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지역정책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정리한 연구서이다.

목차

서문 / _5

제1장 경제성장, 경기변동 및 구성 / 15
1-1지역 총생산 및 구성 / 16
1-2고용 / 23
1-3물가 / 27
1-4생산성 / 29
1-5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 36

제2장 산업구조와 산업정책 / 39
2-1서론 / 40
2-2국내외 산업구조의 변화 / 43
2-3광주ㆍ전남의 산업구조 / 49
2-4광주ㆍ전남의 신성장 산업정책 / 61
2-5결론 및 정책적 제언 / 80

제3장 지방재정과 지역경제 / 85
3-1서론 / 86
3-2광주ㆍ전남 재정구조 및 특성 / 88
3-3지방재정지출의 경제적 효과 / 106
3-4결론 및 시사점 / 120

제4장 무역현황과 전망 / 127
4-1서론 / 128
4-2무역현황 / 131
4-3수출전망 및 정책제언 / 149
4-4결론 / 165

제5장 노동시장 구조 변화 및 정책적 시사점 / 169
5-1서론 / 170
5-2광주지역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 / 171
5-3전남지역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 / 183
5-4광주ㆍ전남 노동수급 분석 / 194
5-5정책적 시사점 / 212

제6장 환경 및 에너지 분야 현황과 과제 / 217
6-1서론 / 218
6-2환경 분야 현황 / 220
6-3에너지 분야 현황 / 227
6-4녹색기술 현황 / 249
6-5환경 및 에너지 분야 과제 / 259

제7장 광주ㆍ전남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금융의 역할 / 265
7-1경제 발전을 위한 금융의 역할 / 266
7-2광주ㆍ전남의 금융 현황 / 271
7-3금융발달과 경제성장: 광주ㆍ전남을 중심으로 / 281
7-4결론 및 정책 제언 / 284

제8장 생활SOC 실태와 발전방향 / 289
8-1서론 / 290
8-2생활SOC의 이론적 고찰 / 292
8-3광주ㆍ전남 생활SOC의 동향과 실태 / 300
8-4생활SOC 전망과 발전적 정책방향 / 311
8-5결론 / 322

제9장 균형발전정책의 변천과정과 광주ㆍ전남지역정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 / 327
9-1서론 / 328
9-2균형발전정책의 변천 특징과 평가 / 331
9-3균형발전정책에 따른 광주ㆍ전남지역 현주소 / 337
9-4광주ㆍ전남 균형발전정책의 발전방향과 과제 / 357

저자소개

홍성흡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인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일본 동경대학 문화인류학연구실의 연구원을 거쳐 1998년부터 전남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일본문화, 농민, 조직과 개인, 전통과 정체성 등이다. 저서로는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공저),『한일사회조직의 비교연구』(공저),『지역전통과 정체성의 문화정치』(공저) 등 여러 권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일본 산촌의 지역 활성화운동에 나타난 전통의 재생 양상」, 「벼에서 국화재배로―산업농 체계하에서의 일본 전업농의 적응 전략」, 「유통시장의 새로운 분화와 중소상인의 대응―광주 말바우시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 정기시장의 변화과정과 지역사회―장성 황룡장을 중심으로」 등 여러 편이 있다.
펼치기
구재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워싱톤대학교(세인트루이스 소재)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경제학회 호남지회장, 한국금융학회 부회장, 그리고 한국은행과 KDI의 자문 교수를 역임하였다. 기업투자, 금융 자유화, 지역금융, 지역소득, 소득분배 등에 관한 연구로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시카고학파의 경제학』, 『지역경제와 지역산업구조의 개편방향』 등을 공저하였다.
펼치기
조수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대표실적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strategic trade policy: An endogenous timing gam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Austrian Economic Papers, 58(4), 2019. 『사회적경제의 정책과 실천』,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공저)
펼치기
이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산업경영학 박사 (현)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대표실적 “Effects of integration with a consumer-friendly firm in a Cournot duopoly”, Journal of Industry, Competition and Trade, 20(4), 2020. 『사회적경제의 정책과 실천』,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공저) 『Firms Strategic Decisions: Theoretical and Empirical Findings』, Bentham Science Publishers, 2018.
펼치기
김일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출생: 1956년 12월 07일(음력) 연락처: iltkim@hanmail.net ■ 학력 1969.03~1972.02 광주서중학교 1972.03~1975.02 광주제일고등학교 1976.03~1980.02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학사) 1980.03~1982.02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공학석사) 1982.09~1984.08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석사) 1986.09~1989.12 미국 조지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박사)
펼치기
정봉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봉현 영국 셰필드대학교 도시?지역계획학 박사 (현)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대표실적 『사회간접자본(SOC)의 개발?관리정책 방향』,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공저) 『사회간접자본과 지역발전?호남권 교통현안과 대책』, 전남대학교출판부, 2010.
펼치기
김원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Texas A&M University 경제학박사 (현)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조교수 대표실적 “Impacts of RMB Devaluation on China’s Trade Balances: A Time-Varying SVAR Approach”, Applied Economics, Vol.52(45) pp.4952?4966, 2020. “Government Spending Policy Uncertainty and Economic Activity: U.S. Time Series Evidence”, Journal of Macroeconomics, Vol.61 103124, 2019.
펼치기
김봉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경제학박사 (현)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 대표실적 “전남 철강산업의 전후방 연관구조와 정책적 시사점”, 광주전남연구, 17, 2020. (공저) “호남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의 방향 탐색”, 한국지역경제연구, 9(1), 2011. (공저)
펼치기
박경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Paris I 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대표실적 “광우병 위기 이후 도입된 유럽연합의 식품안전정책에 대한 평가 : 사회후생 및 정치경제적 관점”, 국제지역연구, 제22권 제3호, 2018. “왜 도하개발아젠다 협상은 타결이 어려운가? GATT 및 WTO 무역자유화 협상에서의 의사결정”, 무역학회지, 제36권 제5호, 2011.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경제성장, 경기변동 및 구성

1-1지역 총생산 및 구성
본 장에서는 과거 30년간의 광주ㆍ전남지역의 생산, 고용, 물가 상황을 살펴본다. 다른 주요 도시 및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광주ㆍ전남지역 경기변동의 특징을 살펴본다. 또한 2000년 이후 광주ㆍ전남지역의 생산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향후 광주ㆍ전남지역의 경제성장에 대한 함의를 논의한다.
광주ㆍ전남지역의 전반적인 경제상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광주 및 전남지역의 지역 총생산 및 그 구성요소를 우선 살펴보았다. 표 1-1-1에 1989년부터 2017년까지 대략 30년간의 광주ㆍ전남지역의 2010년 가격기준 실질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가 나타나 있다. 1989년 380조 가량이었던 한국의 실질 GDP는 2017년에 1500조가 넘는 규모로 지난 30년 동안 5배가량 성장한 것을 볼 수 있다. 광주의 경우 1989년 대략 9조의 실질 GDP를 기록하였고, 2017년에는 30조 가량으로 대략 3배정도를 성장하였다. 전남의 경우 1989년 대략 22조의 실질 GDP를 기록하였고 2017년에는 68조 가량의 실질 GDP를 기록하면서 대략 3배정도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수치에서 볼 수 있듯이 광주와 전남은 한국의 GDP가 5배 성장하는 동안 3배가량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전국의 성장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순조로운 성장을 보여주던 광주ㆍ전남 지역은 외환위기 기간 동안 GDP가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1998년 광주의 실질 GDP는 10% 이상 감소하며, 한국전체의 GDP 감소분 (6%)보다 훨씬 큰 감소폭을 보여 피해가 컸음을 볼 수 있다. 외환위기 이후 다시 성장세를 보이던 GDP는 2007-08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 동안 성장세가 주춤하였으며, 이후 조금씩 회복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림 1-1-1에는 광주ㆍ전남 지역의 실질 GDP성장률이 나타나 있다. 지난 30년 기간 동안 한국의 GDP성장률은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90년대에는 5~10% 구간에서 성장률이 형성되었으나 외환위기 기간에 급격한 하락을 겪은 후 추세적으로 성장률이 낮아진 모습을 볼 수 있다. 광주ㆍ전남지역도 예외는 아니어서 전반적인 성장률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볼 수 있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 광주ㆍ전남의 성장률은 지속적으로 한국 GDP성장률 수준을 하회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광주ㆍ전남지역의 GDP성장이 한국 전체 GDP증가분에 미치지 못하는 것의 큰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 1-1-2는 주요 광역시의 실질 GDP성장률이 나타나 있다. 이를 통해 광주ㆍ전남지역의 성장률과 여타 대도시의 성장률의 움직임을 비교할 수 있다. 외환위기 이후 많은 광역시의 실질 GDP성장률이 한국의 성장률을 하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인천의 경우 전국 평균 및 여타 광역시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다만 인천의 경우는 성장률의 변동폭이 여타 광역시보다 훨씬 큰 것으로 볼 때 경기에 영향을 받는 업종이 인천의 GDP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좀 더 세분화된 분석을 위해 광주 및 전남지역의 총생산을 주요 요소별로 분해해 보았다. 표 1-1-2는 1995년 이후 광주ㆍ전남지역의 GDP구성요소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표에서 볼 수 있듯 한국은 전반적으로 민간소비 및 투자 (고정자본형성)의 비중이 낮아지고 있으며 순수출이 음에서 양으로 전환된 것을 볼 수 있다. 민간소비 및 투자의 비중이 낮아졌다는 것은 공공부분 (정부지출)의 비중이 그만큼 커졌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순수출은 2000년 중반이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음에서 양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전반적인 수출호조세와 더불어 수입의 감소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