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68498091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21-02-26
책 소개
목차
서문 / _5
제1장 경제성장, 경기변동 및 구성 / 15
1-1지역 총생산 및 구성 / 16
1-2고용 / 23
1-3물가 / 27
1-4생산성 / 29
1-5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 36
제2장 산업구조와 산업정책 / 39
2-1서론 / 40
2-2국내외 산업구조의 변화 / 43
2-3광주ㆍ전남의 산업구조 / 49
2-4광주ㆍ전남의 신성장 산업정책 / 61
2-5결론 및 정책적 제언 / 80
제3장 지방재정과 지역경제 / 85
3-1서론 / 86
3-2광주ㆍ전남 재정구조 및 특성 / 88
3-3지방재정지출의 경제적 효과 / 106
3-4결론 및 시사점 / 120
제4장 무역현황과 전망 / 127
4-1서론 / 128
4-2무역현황 / 131
4-3수출전망 및 정책제언 / 149
4-4결론 / 165
제5장 노동시장 구조 변화 및 정책적 시사점 / 169
5-1서론 / 170
5-2광주지역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 / 171
5-3전남지역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 / 183
5-4광주ㆍ전남 노동수급 분석 / 194
5-5정책적 시사점 / 212
제6장 환경 및 에너지 분야 현황과 과제 / 217
6-1서론 / 218
6-2환경 분야 현황 / 220
6-3에너지 분야 현황 / 227
6-4녹색기술 현황 / 249
6-5환경 및 에너지 분야 과제 / 259
제7장 광주ㆍ전남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금융의 역할 / 265
7-1경제 발전을 위한 금융의 역할 / 266
7-2광주ㆍ전남의 금융 현황 / 271
7-3금융발달과 경제성장: 광주ㆍ전남을 중심으로 / 281
7-4결론 및 정책 제언 / 284
제8장 생활SOC 실태와 발전방향 / 289
8-1서론 / 290
8-2생활SOC의 이론적 고찰 / 292
8-3광주ㆍ전남 생활SOC의 동향과 실태 / 300
8-4생활SOC 전망과 발전적 정책방향 / 311
8-5결론 / 322
제9장 균형발전정책의 변천과정과 광주ㆍ전남지역정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 / 327
9-1서론 / 328
9-2균형발전정책의 변천 특징과 평가 / 331
9-3균형발전정책에 따른 광주ㆍ전남지역 현주소 / 337
9-4광주ㆍ전남 균형발전정책의 발전방향과 과제 / 357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1장 경제성장, 경기변동 및 구성
1-1지역 총생산 및 구성
본 장에서는 과거 30년간의 광주ㆍ전남지역의 생산, 고용, 물가 상황을 살펴본다. 다른 주요 도시 및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광주ㆍ전남지역 경기변동의 특징을 살펴본다. 또한 2000년 이후 광주ㆍ전남지역의 생산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향후 광주ㆍ전남지역의 경제성장에 대한 함의를 논의한다.
광주ㆍ전남지역의 전반적인 경제상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광주 및 전남지역의 지역 총생산 및 그 구성요소를 우선 살펴보았다. 표 1-1-1에 1989년부터 2017년까지 대략 30년간의 광주ㆍ전남지역의 2010년 가격기준 실질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가 나타나 있다. 1989년 380조 가량이었던 한국의 실질 GDP는 2017년에 1500조가 넘는 규모로 지난 30년 동안 5배가량 성장한 것을 볼 수 있다. 광주의 경우 1989년 대략 9조의 실질 GDP를 기록하였고, 2017년에는 30조 가량으로 대략 3배정도를 성장하였다. 전남의 경우 1989년 대략 22조의 실질 GDP를 기록하였고 2017년에는 68조 가량의 실질 GDP를 기록하면서 대략 3배정도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수치에서 볼 수 있듯이 광주와 전남은 한국의 GDP가 5배 성장하는 동안 3배가량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전국의 성장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순조로운 성장을 보여주던 광주ㆍ전남 지역은 외환위기 기간 동안 GDP가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1998년 광주의 실질 GDP는 10% 이상 감소하며, 한국전체의 GDP 감소분 (6%)보다 훨씬 큰 감소폭을 보여 피해가 컸음을 볼 수 있다. 외환위기 이후 다시 성장세를 보이던 GDP는 2007-08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 동안 성장세가 주춤하였으며, 이후 조금씩 회복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림 1-1-1에는 광주ㆍ전남 지역의 실질 GDP성장률이 나타나 있다. 지난 30년 기간 동안 한국의 GDP성장률은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90년대에는 5~10% 구간에서 성장률이 형성되었으나 외환위기 기간에 급격한 하락을 겪은 후 추세적으로 성장률이 낮아진 모습을 볼 수 있다. 광주ㆍ전남지역도 예외는 아니어서 전반적인 성장률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볼 수 있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 광주ㆍ전남의 성장률은 지속적으로 한국 GDP성장률 수준을 하회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광주ㆍ전남지역의 GDP성장이 한국 전체 GDP증가분에 미치지 못하는 것의 큰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 1-1-2는 주요 광역시의 실질 GDP성장률이 나타나 있다. 이를 통해 광주ㆍ전남지역의 성장률과 여타 대도시의 성장률의 움직임을 비교할 수 있다. 외환위기 이후 많은 광역시의 실질 GDP성장률이 한국의 성장률을 하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인천의 경우 전국 평균 및 여타 광역시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다만 인천의 경우는 성장률의 변동폭이 여타 광역시보다 훨씬 큰 것으로 볼 때 경기에 영향을 받는 업종이 인천의 GDP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좀 더 세분화된 분석을 위해 광주 및 전남지역의 총생산을 주요 요소별로 분해해 보았다. 표 1-1-2는 1995년 이후 광주ㆍ전남지역의 GDP구성요소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표에서 볼 수 있듯 한국은 전반적으로 민간소비 및 투자 (고정자본형성)의 비중이 낮아지고 있으며 순수출이 음에서 양으로 전환된 것을 볼 수 있다. 민간소비 및 투자의 비중이 낮아졌다는 것은 공공부분 (정부지출)의 비중이 그만큼 커졌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순수출은 2000년 중반이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음에서 양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전반적인 수출호조세와 더불어 수입의 감소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