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일 사회조직의 비교

한일 사회조직의 비교

권숙인, 문옥표, 한경구, 김양주, 히데무라 킨지, 홍성흡, 이토 아비토, 시마 무츠히코, 혼다 히로시, 수에나리 미치오 (지은이)
아연출판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일 사회조직의 비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일 사회조직의 비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515227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02-07-20

책 소개

이 책은 `조직과 개인`이라는 대주제 아래 한국과 일본의 사회와 문화-가족, 기업, 촌락, 도시근린조직, 종교조직, 집단주의 문제 등-를 비교하여 다루고 있다. 한국 학자는 일본의 사례를, 일본 학자는 한국의 사례를 교차 연구함으로써 양국 사회와 문화를 서로 이해하려는 진지한 시도가 돋보인다.

목차

제1장 일본사회의 조직과 개인: 임의결사(任意結社)를 중심으로(문옥표)

제2장 일본의 이에.친족의 특징과 그 문화적 함의: 한국사회와의 비교검토(권숙인)

제3장 일본의 촌락조직과 개인의 위상(홍성흡)

제4장 지역사회와 종교문화의 현황: 나카무라시의 종교적 거점을 중심으로(김양주)

제5장 일본 근대조직의 발전과 한계: '이에'형 조직과 운명공동체(한경구)

제6장 한국의 임의 참가조직: 지방 출신자의 결사를 중심으로(이토 아비토)

제7장 도시화 속의 친족집단: 대구시의 사례검토(시마 무츠히코)

제8장 목사와 장로를 둘러싼 갈등: 한국교회의 분쟁(히데무라 겐지)

제9장 한국 지역사회의 지연성과 공동성: 남원 지역의 사례에서(혼다 히로시)

제10장 베트남 거울을 통해 본 한일의 사회조직(수에나리 미치오)

저자소개

권숙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숙명여대 일본학과를 거쳐 현재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변부 집단의 정체성, 이주와 이산, 여성과 이주,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재일 한인, 지역재생과 새로운 공동체 만들기 등의 주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재일한인의 인류학』(2021, 공저), 『일과 생활세계: 1세들의 공간·노동·젠더』(2020, 공저) 등이, 논문으로는 “韓?人類?の日本?究: 1980年代から現在まで”(2022), “일본에 돈 벌러 간 이야기: 1910~20년대 일본 방직산업의 조선여공”(2019) 등이 있다.
펼치기
문옥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서울대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 인류학과에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 『From Paddy Field to Ski Slope: The Revitalisation of Tradition in Japanese Village Life』, 『동아시아 문화전통과 한국사회』(공저), 『조선양반의 생활세계』(공저), 『교토 니시진오리의 문화사』 등이, 역서로 『문화의 해석』 등이 있다.
펼치기
한경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국사학과에서 수학했다. 외무부에 근무했고 해군 장교로 병역을 마쳤으며 일본에서 장기 현지조사를 수행하여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강원대 인류학과와 국민대 국제학부를 거쳐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편집위원장,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장, 한국이민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공동체로서의 회사』, 『세계의 한민족: 아시아·태평양』등의 저서, 『인류학 민족지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등의 공저서가 있고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등을 책임 편집했으며 『국경을 넘는 방법: 문화, 문명, 국민국가』 등을 공역했다.
펼치기
히데무라 킨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메이세이대학 조교수.
펼치기
홍성흡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인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일본 동경대학 문화인류학연구실의 연구원을 거쳐 1998년부터 전남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일본문화, 농민, 조직과 개인, 전통과 정체성 등이다. 저서로는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공저),『한일사회조직의 비교연구』(공저),『지역전통과 정체성의 문화정치』(공저) 등 여러 권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일본 산촌의 지역 활성화운동에 나타난 전통의 재생 양상」, 「벼에서 국화재배로―산업농 체계하에서의 일본 전업농의 적응 전략」, 「유통시장의 새로운 분화와 중소상인의 대응―광주 말바우시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 정기시장의 변화과정과 지역사회―장성 황룡장을 중심으로」 등 여러 편이 있다.
펼치기
이토 아비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3년 도쿄 태생. 1970년부터 도쿄대학 교양학부 조수, 동 대학 동양문화연구소 조수, 하버드대학교 객원 연구원, 도쿄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를 거쳐 영국 런던대학의 SOAS 상급연구원, 서울대학교 초빙교수를 지냈다. 2006년 3월 도쿄대학교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교수를 정년퇴임한 후 도쿄대학교 명예교수, 류큐대학교 교수를 지내고, 현재 와세다대학교 아세아연구기구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의 민속학에 대한 관심에서 동아시아 사회의 문화인류학·민족학으로 전환하여, 1971년부터 한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각 지역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도·진도·안동·서울에서 친족조직, 신앙과 의례, 계 등의 상호부조조직, 농촌진흥과 새마을운동, 유교와 교육, 역사인식, 도시이주, 축제의 창조와 지역 활성화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의료인류학·도시인류학·개발인류학 등의 응용인류학 또는 실천적인 연구 외에 시민참가로 이루어지는 ‘요사코이 마쓰리’와 지역활성화 등에 관여하고 있다. 1978년 일본민족학진흥회의 시부사와 상, 2002년 대한민국의 문화훈장을 수상했다.
펼치기
시마 무츠히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호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학과 교수.
펼치기
혼다 히로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경대학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준교수. 1980년대 후반부터 전북 남원에서 필드워크를 수행하고 있다. 함께 쓴 책으로 《東アジアにおける文化の多中心性》, 《社會空間の人類學》 등이 있다.
펼치기
혼다 히로시의 다른 책 >
수에나리 미치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요대학 사회학부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