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야기/디자이너/디자인 실기
· ISBN : 9788970595405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08-20
책 소개
목차
『글짜씨 20』을 만든 사람들
학회 규정
인사말
논고
디지털 시대에 개인정보 보호의 인식 제고를 위한 「ZXX」 활자체 디자인 | 문상현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가독성과 판독성의 정의 유형 분석 | 석재원, 구자은
작업 재해석된 글자들
「정체」의 라틴 문자: 더 쓰기좋게, 더 조화롭게 | 김초롱
「ST-RD」: 콘크리트 정글에서 잃어버린 미지의 서체 | 피비쿵
「구명조(KuMincho)」와 『LOLOSOSO』: 디테일로 쌓아가기 | 막카이항
「호코(Hoko)」: 이중 언어 도시의 타이포그래피 | 포층
기록 타이포잔치 사이사이 2020–2021: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타이포그래피와 여러 가지 것들 사이에서 | 이재민
뉴닉은 어떻게 뉴스를 살아 숨 쉬게 했나 | 양수현
생명은 발신한다 | 박영신
대화
경제학 관점에서 폰트 시장 분석 | 한석진
비평
오늘부터 우리는: 그래픽 디자이너의 시간 쓰기와 사물 읽기 | 남선우
tat*—오리기, 풀칠하기, 붙이기 | 권준호
수집 뒤집어 보기
안마노, 박철희, 김현진, 박신우, 신건모,
장수영, 김영선, 박진현, 이화영·황상준,
하형원, 마리아 도렐리, 이재민
저자소개
책속에서
다음 『글짜씨 21』에 실릴 논문을 모집합니다. 그것이 어떤 형식의 논문이던 어떤 주제를 다루던 논문편집위원회는 항상 열려있습니다. 작은 씨앗이 있다면 싹을 틔워 주십시오. 주위에 씨앗이 보인다면 알려주셔도 좋습니다. 인사말을 부드럽게 꺼내고자 했으나 마음이 급했는지 할 말이 먼저 튀어나옵니다. 그래도 제게 허락된 지면을 통해 먼저 이 말씀은 꼭 드리고 싶었습니다.
인사말
본 프로젝트는 ‘어떻게 사람의 생각을 인공지능과 인공지능을 사용하고 배포하는 사람 혹은 기관으로부터 숨길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했다. 그리고 뒤이어 ‘정치적·사회적으로 활용된 디자인은 어떻게 대중의 사고를 체계화 혹은 탈체계화시킬 수 있는가’ ‘드러내는 혹은 표현하는 양식으로서의 디자인이 아닌 감춤이 곧 본질인 디자인이란 어떤 것인가’ ‘디자인이 어떻게 프라이버시를 강화해줄 수 있을 것인가’ ‘프라이버시라는 의제에 대하여 현재와 미래의 주도적 태도를 보일 수 있는 디자인의 방법이란 어떻게 가능한가’ 등 심화한 문제 인식으로 이어졌다.
디지털 시대에 개인정보 보호의 인식 제고를 위한 「ZXX」
가독성과 판독성은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빈번히 언급되는 용어이다. 타이포그래피의 본질적인 기능이자 목표와 관계된 용어로 중요하게 의미를 살펴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도 타이포그래피 전공 서적에서조차 두 용어의 구분 기준은 모호하다. 두 용어는 서로 유사하지만, 동의어로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구분 없이 사용하거나 일관되지 않은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잦아 소통의 혼란이 발생한다.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가독성과 판독성의 정의 유형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