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중앙아시아사
· ISBN : 9788971395844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3-09-17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일본과 몽골
제1장 대곡광서大谷光瑞와 『신서역기新西域記』_산전신부田信夫
1. 대륙을 향한 꿈에 홀린 거인 대곡광서
2. 대곡탐험대
3. 『신서역기』
제2장 머나먼 유라시아 몽골의 땅을 향해 : 일본의 몽골·중앙아시아 연구사_산전신부
1. 제1기(1930년 이전)의 몽골 연구
2. 제1기(1930년 이전)의 중앙아시아 연구
3. 제2기(1930~1945년)의 몽골과 중앙아시아 연구
4. 제2기(1930~1945년)의 고고학·역사학 연구
5. 제3기(1945년 이후 10년)의 몽골과 중앙아시아 연구
제2부 중국과 몽골
제1장 중국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적용 : 중화 민족의 탄생과 21세기 중화 제국_우실하
1. 머리말
2.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등장과 세 차례의 대토론 내용 정리
3. 2000년 이후 주요 학자들의 논리
4.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주변국 역사 침탈 논리
5.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기본 논리에 대한 비판
제2장 중국과 북방공정 : 코빌라이칸의 꿈을 빼앗긴 몽골_박원길
1. 머리말
2. 북방공정의 필요성
3. 중화인민공화국의 몽골 역사 왜곡: 북방공정의 논리적 전개 과정
4. 북방공정에 대한 몽골국의 대응과 우려
5.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 왜곡에 대한 대응 방안
6. 맺음말
제3부 한국과 몽골
제1장 한국사와 북방사 : 한국사를 넘어 유라시아 대륙으로_박원길
1. 머리말
2. 한국 역사학계의 북방사 연구 현황과 문제점
3. 북방사 연구의 방향과 제언
4. 맺음말
제2장 한반도와 몽골의 21세기 꿈_구해우
1. 머리말
2. 한반도와 몽골의 관계에 대한 역사학적 인식
3. 근·현대 시기의 한반도와 몽골의 교류·협력
4. 한반도 신통일전략으로서의 남·북·몽골 3자 연방통일국가
5.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