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문명/문화사
· ISBN : 9788971398203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11-11-28
책 소개
목차
| 들어가는 말 | 점화본능을 일깨우는 화덕의 시대
| 제1장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기술, 화덕
화덕의 시대 | 좋은 화덕의 조건 | 나무 연소의 비밀
| 제2장 | 세계의 개량 화덕들
전통 화덕들 | 아프리카의 개량 화덕 | 중남미의 개량 화덕 | 아시아의 개량 화덕
| 제3장 | 숲과 사람을 생각하고 만든 화덕
밥할 나무도 귀하던 시절 | 삽 한 자루로 만드는 벵갈 구덩이화덕 | 거꾸로 타는 시멘트블록화덕 | 진흙반죽 단열화덕 | 초간단 단열깡통화덕 | 위나르스키 박사의 로켓화덕
| 제4장 | 땔감 걱정 없는 가마솥화덕
GTZ의 두 구멍 대형 화덕 | 무여농원의 부뚜막 아궁이 가마솥화덕 | 말라위의 희망화덕 | 산마을고교 학생들과 만든 가마솥화덕 | 스와질란드의 대형 사자화덕 | 열기고리를 장착한 가마솥화덕
| 제5장 | 연기 없는 조리용 화덕
솥자리가 여러 개인 다구 화덕 | 벽돌조적 다구 화덕 만들기 | 빵 굽는 함석오븐화덕 | 나무로 만든 가구형 화덕 | 싱거화덕 | 2차 공기주입구를 가진 포그비화덕 | 전국귀농운동본부 벽돌 철판화덕 | 막돌과 기와로 만든 철판화덕 | 자연과 건강을 돌보는 팟사리화덕 | 남미의 다양한 철판화덕들 | 부담 없는 드럼통 철판화덕 | 필립스 디자인의 조립 점토판화덕 | 전통 부뚜막과 아궁이
| 제6장 | 버너처럼 타오르는 나무가스풍로
나무는 가스가 되어야 불이 붙는다 | 나무가스풍로의 원리 | 깡통으로 만드는 나무가스풍로 | 강제 송풍식 나무가스풍로 | 단열 개량 화덕과 나무가스풍로의 만남 | 남아프리카의 조왕화덕 | 베트남의 TLUD 왕겨가스풍로 | 솜씨 좋게 나무가스풍로에 불 피우기 | 나무가스화 이론을 응용한 숯 만들기
| 제7장 | 화목난로를 손에 쥐다
철제난로의 기본 구조 | 오븐 장착 화목난로 | 거꾸로 타는 난로
| 제8장 | 화목난로의 3박자, 열복사·대류·열전도
열복사·대류·열전도 | 열복사·대류·열전도를 이용한 난로 만들기
| 제9장 | 알고 있던 벽난로 그 이상
커다란 몸체, 은근한 열기 | 벽난로 그 속을 들여다보면
| 제10장 | 장작꽂이 종탑형 벽난로
자연대류식 종탑형 벽난로 | 간단한 장작꽂이 종탑형 벽난로 | ‘J’형 로켓 연소실을 장착한 벽난로 | 연통 모래축열 장작꽂이 벽난로
| 제11장 | 벽난로와 구들의 결합, 그 아름다운 만남
벽난로와 구들의 결합 | 위나르스키 박사의 깡통난로구들
| 제12장 | 깡통난로구들을 만들기 위한 준비
만드는 순서 | 필요한 자재들 | 만들기 위한 준비
| 제13장 | 깡통난로구들의 크기와 비율
연소부 각 부위의 크기와 영향 | 정확히 지켜야 할 크기와 비율
| 제14장 | 로켓엘보 연소부 만들기
로켓엘보 벽돌 쌓기 | 장작투입구보호와 화구 만들기 | 연소기둥과 발열 드럼통 얹기 | 연소부와 축열부 연결하기 | 연소부 단열처리 하기
| 제15장 | 축열부 흙침대 만들기
따뜻한 흙침대 몸체 만들기 | 흙침대 밑에 수평연통 깔기 | 축열부, 구들 침대 만들기 | 배출 연통 만들기
| 제16장 | 솜씨 좋게 불 다루기
불 때기 5단계 | 깡통난로구들의 문제 해결
| 제17장 | 국내 시공 사례
창원 다빈치님의 로켓깡통난로 | 무안 감풀마을 도서관의 로켓연통구들 | 인제 진동리의 하문기 씨 로켓구들 | 영천 도기호 씨의 깡통난로 의자 | 부산 경상공방의 깡통난로구들 흙침대 | 화천 공연예술텃밭 배요섭 씨의 깡통난로구들 흙침대 | 제주도 깡통난로구들 방과 깡통난로구들 의자 | 전남 장흥 적당채의 벽돌난로구들 흙침대 | 만나 생태마을의 벽난로 연통구들
| 제18장 | 구들 구조의 이해
전통 구들의 구조 | 전통 구들 용어 | 연소부-아궁이와 함실 구조 | 축열부-구들장과 고래구조와 개자리 | 배연부-연도(내굴길), 굴뚝개자리, 굴뚝 | 서양의 고급 구들
| 제19장 | 전통 구들을 다시 생각하다
구들 함실과 로켓연소부 | 방 구들과 축열 흙침대 | 냉습을 제어하는 구조
참고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