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조선 후기의 차 문화 - 산문)

유홍준, 정해렴 (지은이), 송재소 (옮긴이)
돌베개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조선 후기의 차 문화 - 산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71993422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9-06-22

책 소개

'한국의 차 문화'가 담겨 있는 다양한 옛글을 번역한 책. 조선 후기 차 문화와 관련한 기록들을 모아 번역하고, 시와 산문으로 나누어 각각 1권과 2권으로 수록하였다. 2권에서는, 이익의 '다식'에서부터 서유구의 <임원경제지>까지, 29명의 차에 관한 글과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에서 뽑아낸 차에 관한 기록을 담았다.

목차

이익, 1681∼1763
다식 / 다시

신유한, 1675∼1728
일본의 다례

이광사, 1705∼1777
내도재기

이상정, 1710∼1781
도언 김종덕에게 답하다

신광수, 1712∼1775
성천 생원 원형에게

안정복, 1712∼1791
수다설

이덕리, 1728∼?
기다

황윤석, 1729∼1791
부풍향다보

홍대용, 1731∼1783
중국의 음식 문화 / 조선의 음식 문화

유득공, 1748∼1807
차의 대용품

유만주, 1755∼1788
중국에서 황제에게 바치는 납차·중국 차의 유래와 종류·순채국과 차

빙허각 이씨, 1759∼1824
다품

정약용, 1762∼1836
차의 생산과 판매 / 승려 아암에게 차 주기를 청하는 편지 / 혜장의 병풍에 쓴다 / 차의 명칭 / 차의 전매 제도 / 차의 전매와 민고 / 다신계 절목 / 윤종삼·윤종진에게 말해주노라

윤형규, 1763∼1840
다설

서유구, 1764∼1845
차 / 다공 / 다구

이학규, 1770∼1835
감찰다시

혜장, 1772∼1811
금호에게 보낸 답장

정학연, 1783∼1859
차의 재배와 저장

초의, 1786∼1866
홍현주에게 바친다 / 완당 김정희에게 바치는 제문 / 다신전

김정희, 1786∼1856
이재 권돈인에게(제17신) / 오경석에게(제4신) / 초의에게 /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1신) /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3신)

김명희, 1788∼1857
찻잎을 따서 덖는 방법

김경선, 1788∼1853
음식

이규경, 1788∼1856
도다변증설 / 차, 율무, 청양을 심는 것에 대한 변증설 / 개다와 죽로차

이상적, 1803∼1865
용단승설을 적다

최한기, 1803∼1879
음식의 훈증

조재삼, 1808∼1866
황차 / *황차 관련 기록

이유원, 1814∼1888
다시청

신헌구, 1823∼1902
해다설

김윤식, 1835∼1922
차 주발 / 이홍장과의 담화 / 정약용과 강진 차 / 내아문 포시

승정원일기
흑색 작설차를 봉납한 일 / 청차와 우전차의 효능 / 우전차의 효능 / 작설차의 효능 / 삼남의 작설차 / 작설차의 복용법

조선왕조실록
중국 작설차를 봉진함 / 다례에 쓰던 인삼차 / 인정전에서 행하던 다례 / 대마도 사람들의 차 애호 / 사적으로 차를 거래하는 것에 대한 법령

저자소개

유홍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미학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박사)를 졸업했다.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한 뒤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민족미술인협의회 공동대표, 제1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셔너 등을 지냈다. 1985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과 대구에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공개강좌를 10여 차례 갖고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대표를 맡았다. 영남대학교 교수 및 박물관장, 명지대학교 교수 및 문화예술 대학원장과 석좌교수, 문화재청장을 역임했고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관장으로 있다. 미술사 저술로 《모두를 위한 한국미술사》, 《안목》, 《국보순례》, 《명작순례》,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전 6권), 《추사 김정희》, 《조선시대 화론 연구》, 《화인열전》(전 2권), 《완당평전》(전 3권), 평론집으로 《80년대 미술의 현장과 작가들》, 《다시, 현실과 전통의 지평에서》, 《정직한 관객》, 답사기로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시리즈, 《국토박물관 순례》(전 2권) 등이 있다. 간행물윤리위 출판저작상(1998), 제18회 만해문학상(2003)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정해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9년 경기도 파주에서 출생하여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64년부터 교학도서·신구문화사·을유문화사 편집부에서 근무했고, 1976년부터 창작과비평사 편집부장·대표·고문, 1997년부터 현대실학사 대표를 역임했다. 출판계에 입문한 이후 1,000여권의 책을 편집·교정·편역했다. 정약용의 대표적인 저술인 일표이서와 실학·문학 저서를 완역하거나 편역하고, 『지봉유설』 『성호사설』 등 조선 실학자들의 주요 저작을 편역했다. 또한 홍기문·김태준·문일평·안확·신채호 등의 주요 저술을 정리해 총서로 간행하기도 했다. 저서로 『편집·교정 반세기』 등이 있다.
펼치기
송재소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43년 경북 성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영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다산 문학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한문학회 회장을 지냈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정년을 맞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퇴계학연구원 원장, 실시학사 연구원장이자 다산연구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다산 정약용의 학문과 문학세계를 알리는 데 오랫동안 힘써 왔고, 우리 한문학을 유려하게 번역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지은 책으로 『다산시 연구』, 『한시 미학과 역사적 상상력』, 『한국 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주먹바람 돈바람』, 『몸은 곤궁하나 시는 썩지 않네』, 『한국 한시작가 열전』, 『시로 읽는 다산의 생애와 사상』, 『중국 인문 기행』(1-4권), 『당시 일백수』, 『주시 일백수』, 『차시 일백수』, 『인문학의 뿌리로서의 한국한문학』이 있고, 옮긴 책으로 『다산시선』, 『다산의 한평생』, 『역주 목민심서』(공역), 『한국의 차문화 천년』(1-7권, 공역) 등이 있다. 2002년 제3회 다산학술상 대상, 2015년 제5회 벽사학술상, 2023년 제15회 임창순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