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74114084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15-03-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논의의 개관: 조선 중·후기 국어시가와 한시의 상관관계사
17세기
2장 정훈의 시조와 한시 비교
1. 작품의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2. 시조와 한시의 주제 비교
3. 시조와 한시의 등장인물, 시어, 형식 비교
4. 정훈의 시조와 한시가 가지는 양층언어시가사적 의미
3장 박인로의 시조와 한시 비교
1. 작품의 현황과 선행연구 검토
2. 시조와 7언 절구의 주제적 경향 비교
3. 시조에 나타난 ‘읽는 시(詩)’의 특징
4. 한시에 나타난 구술성의 특징
5. 시조와 한시의 더 가까워진 거리
18세기
4장 권섭의 시조와 한시, 한역시 비교
1. 권섭의 시조, 한시, 한역시의 개관 및 선행연구 검토
2. 주제, 제재 비교를 통해 본 시조와 한시의 가까워진 거리
3. 시조의 시화(詩化): 시조의 한시적 작시 경향
4. 시조의 반경 확대
5. 절구의 가화(歌化): 절구에 국어시가의 접목
6. 기녀 가련(可憐)과의 화답 연작 한역시에 나타난 양층언어시가성
7. <고산구곡가>의 국어시가와 한역시로의 수용을 통한 양층언어문학사
8. 권섭의 양층언어시가사적 위치
5장 황윤석의 시조와 한시, 한역시 비교
1. 작품의 현황 개관
2. 시조에 나타난 변화들
3. 한시에 나타난 노래 지향적 특성
4. 국어시가의 한역(漢譯)에 나타난 ‘한국고전시가’의 인식
5. 한시의 노래화, 시조의 시(詩)로서의 인식과 기록
19세기
6장 이세보, 조황, 정현석을 통해 본 19세기의 양층언어시가
1. 19세기 양층언어작가의 시조와 한시의 창작 양상 개관
2. 표기상의 특징
3. 시조의 내용에 나타난 변화와 시(詩)로서의 시조의 위상
4. 시조 형식의 해체에 나타난 시화(詩化)의 양상
5. 근대 자유시로 가는 길목의 19세기 양층언어시가성
7장 고전시가에서 근대시로: 요약 및 남은 과제들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