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74255183
· 쪽수 : 620쪽
· 출판일 : 2008-02-2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왕도는 군주의 실체다-왕도군체(王道君體)
군주의 마음가짐
군주의 기본 통치 원칙
2장 현자를 찾아 등용하다-구현임능(求賢任能)
군주의 계책이 되는 제상
인재등용의 중요성
3장 간언을 채택해 나라를 다스리다-납간치국(納諫治國)
군주의 간언 채택 기술
현명한 군주의 간언 채택법
4장 관리를 심의하다-심핵관리(審核官吏)
관리의 목적
현명한 군주의 관리선발법
치국의 안정을 도모하는 지혜로운 신하
5장 상벌의 기준을 정하다-상벌유도(賞罰有渡)
군주의 정치 전략
상벌의 공정성
6장 간신을 없애 평안하게 하다-거참안방(去讒安邦)
국가의 악, 소인배
충신과 소인배의 간언
영명한 군주의 간언 채택술
7장 농업에 힘써 백성을 편안하게 하다-무농안민(務農安民)
국가통치의 근간이 되는 농업
군주의 품행 원칙
8장 군을 정비하여 위험에 대비하다-열무방위(閱武防危)
9장 검소함을 중히 여겨 부국을 이룬다-숭검부국(崇儉富國)
태평성세를 이룬 성군의 함량
국가 번영의 초석, 근검절약
국가의 막강한 권력자, 군주
10장 절제하고 경계해야 민심을 얻는다-계영득심(誡盈得心)
군주의 절제와 백성의 상관관계
군주의 향락은 나라의 패망
리뷰
책속에서
“좋은 군주가 되고 싶으면 반드시 먼저 백성을 살펴야 한다. 가령 백성을 착취해 자신의 배를 채운다면 허벅지 살을 떼어 배에 붙이는 것과 같아서 배는 부르지만 몸이 축나게 된다. 천하를 안정시키려면 우선 낮 자신을 바로잡아야 한다. 자신을 바로 하지 않으면 위에서 다스린다고 애를 쓰지만 아래에서는 혼란해집니다.”-본문 중에서
“그대의 말이 맞도다. 군주는 어질고 충성스런 신하의 보좌를 받아야만 나라를 평안하게 잘 다스릴 수 있다. 수나라 양제 곁에는 충신이 없었고, 그 자신도 잘못을 나무라는 바른 소리를 듣지 못했기 때문에, 날로 죄악을 쌓아 그로 인해 스스로가 화를 입게 된 것이다! 군주의 행위가 잘못되었을 때 이에 대해 훈계하고 바로잡아 주지 않고 오히려 아첨이나 한다면,
그 군주는 사리분별에 더욱 어두워지고 나라는 머지않아 위기에 처할 것이다. 이제 짐은 그대들과 함께 충정을 다해 함께 국사를 논의하고, 치국의 도를 이루고자 한다. 그대들도 충심을 다하여, 나의 부족한 점을 바로잡아 주어야 할 것이다. 그대들의 직언이 나의 의중에 거슬린다고 하여 화를 내거나 그대들을 나무라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 -본문 중에서
“민심의 안정은 국가의 안정으로 군주 뜻에 달려 있다. 군주가 욕심을 버리고 무위로 정치하면 백성이 즐겁고 군주가 욕심을 부리고 가혹하게 굴면 백성이 힘들어진다. 짐은 감정을 절제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사리사욕을 줄이고 끊임없이 수양하여 스스로를 독려할 것이다.”-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