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남아시아사
· ISBN : 9788974643638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5-08-30
책 소개
목차
새 책을 내면서
책머리에
제1장 미얀마의 국가개요
I. 버마와 미얀마
II. 종족과 인구
III. 국토와 지형
IV. 기 후
V. 정부 조직과 주요 도시
1. 정부 조직
2. 주요 도시
제2장 미얀마의 대외관계
I. 개 요
II. 주요 국가별 관계
1. 중 국
2. 태 국
3. 아세안
4. 미 국
5. 일 본
III. 남북한 관계
제3장 미얀마 약사(略史)
I. 초기사
II. 왕조사
1. 버강(Bagan)
2. 잉와(Innwa)
3. 버고(Bago)
4. 따웅우(Taung Oo)
5. 라카인(Rakhine)
6. 꽁바웅(Konbaung)
III. 근대사
1. 영국 식민지 통치 시기
2. 민족주의 운동의 촉발
3. 민족주의 운동의 확산과 인도의 분리
4. 떠킹(Thakin)과 국부(國父) 아웅 산(Aung San)
5. 일본의 식민통치
6. 독립의 쟁취
IV. 현대사
1. 우 누(U Nu)와 불교사회주의
2. 네윈(Ne Win)과 버마식사회주의(Burmese Way to Socialism)
3. SPDC와 아웅산수찌
제4장 애증(愛憎)의 역사 미얀마-태국관계
I. 들어가는 말
II. 미얀마-태국관계의 관계의 역사적 배경
1. 고대 국가 시기
2. 근대 국가 시기
III. 미얀마의 아세안 가입과 태국의 역할
1. 아세안의 지역구도
2. 아세안에서 태국의 입장
3. 아세안에서 미얀마의 입장
IV. 미얀마-태국 관계의 변화
1. 태국의 입장
2. 미얀마의 입장
V. 끝맺음말: 아세안 가입 이후 양국 간 관계
제5장 미얀마 현대 정치와 민주화
I. 들어가는 말
II. 네윈 정권의 특성과 발전 과정
III. 1988년 민주화 요구 시위와 1990년 5월 총선거
IV. 국가평화발전위원회의 등장과 미얀마화
V. 끝맺음말: 미얀마의 민주화 전망
제6장 미얀마 경제 개황
I. 들어가는 말
II. 우 누와 불교도경제(1948-1960)
III. 네윈과 버마식사회주의(1962-1988)
1. 혁명평의회 시기(1962-1974)
2. 버마사회주의계획당 시기(1975-1982)
3. 경제위기의 심화(1983-1988)
IV. 미얀마 신 군부의 경제정책
1. SLORC시기(1988-1996)의 경제정책과 경제성장
2. SPDC시기의 경제정책과 경제성장
3. 동아시아 경제위기 이후 미얀마 경제
Ⅴ. 끝 맺음말: 미얀마 경제의 특징과 경제개혁의 과제
1. 미얀마 경제의 특징
2. 경제개혁 과제
제7장 미얀마의 다종족 사회
I. 들어가는 말
II. 종족집단의 개념과 분류
1. 종족집단의 개념
2. 일반적 분류
III. 영국의 식민지지배와 다종족사회
IV. 독립이후 미얀마정부와 소수종족과의 관계
1. 1947년 헌법과 우 누(U Nu)정부
2. 네윈(Ne Win)의 군부정권과 버마식사회주의
3. 국가법질서회복위원회(SLORC)의 출범
V. 종족분쟁의 양상
1. 소수종족 반정부조직의 무장투쟁
2. 반정부 군사조직의 공동전선 결성
3. 종족분쟁과 마약 밀매
VI. 미얀마연방의 국민통합에 대한 전망
제8장 미얀마의 불교문화
I. 미얀마 불교의 발달과정
1. 불교의 전래
2. 여러 불교의 공존시대
3. 몽(Mon) 왕국 시대
4. 버강 왕조 시대
5. 잉와(Inwa)와 버고(Bago) 왕국 시대
6. 따웅우(Taung Oo)와 꽁바웅(Konbaung) 왕조 시대
7. 영국 식민통치 시대
8. 종교성과 불교평의회의 설치
9. 제6차 불전 결집
10. 불교의 국교화 문제와 군부의 대두
II. 미얀마 사회와 불교
1. 미얀마의 불교도
2. 국립학교에 있어서의 불교교육
3. 미얀마 불교의 종파
4. 승려의 생활과 직무
III. 미얀마 상좌부 불교의 특징
제9장 미얀마 버마족의 통과의례
I. 통과의례
1. 개 요
2. 출생과 명명식(命名式)
3. 불문(佛門)과 득도식
4. 궁합과 결혼식
5. 죽음과 장례식
II. 예 절
1. 호칭
2. 인사 예절
3. 식사 예절
4. 앉는 예절
III. 맺음말
제10장 미얀마의 토속신앙
I. 낫의 신앙 형태
II. 낫의 종류와 그 관념
III. 낫신앙과 불교와의 관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