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식불교의 이해

유식불교의 이해

목경찬 (지은이)
불광출판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30원
13,77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5,9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200원 -10% 560원 9,520원 >

책 이미지

유식불교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식불교의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74797676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2-03-20

책 소개

일체유심조와 만법유식, 즉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들고[一切唯心造] 오직 식뿐[萬法唯識]임을 밝히는 것이 유식사상이다. 마음에 의해 펼쳐진 이 세상은 인연화합에 의해 드러난 것인데, 사람들은 ‘보는 나’와 ‘보이는 세상’이 마음 밖에 실제로 있다고 집착한다. 이렇게 집착된 세상은 결코 있지 않다. 그러나 인연화합에 의해 마음으로부터 언제나 펼쳐진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 1 장 - 유식의 의미

01.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마음먹기 나름?

02. 오직 마음만 있고 대상은 없다[唯識無境]
1. 세상은 내가 본 것처럼 그렇게 있지 않다
2. 세상은 마음이 만들었다
3. 왜 오직 식뿐이고 대상은 없다고 하는가?
4. 유식 논사들의 주장에 반문해 본다

제 2 장 - 식이 전변한 세상 [식전변]

01. 식이 나타낸 아(我)와 법(法)
1. ‘보는 나’가 있고 ‘보이는 세상’이 있다.
2. 아와 법은 식이 그럴 듯하게 나타낸 것
3. 나에 대한 집착[我執], 법에 대한 집착[法執]
4. 무아(無我)와 윤회
5. 유식(唯識)과 법공(法空)
6. 부파불교에서도 법공을 이야기한다?

02. 아와 법을 나타낸 식
1. 세 가지 능변식[삼능변식]
2. 두 종류의 능변, 종자와 식

제 3 장 - 첫 번째 능변식, 제8식

01. 제8식이 등장하는 이유, 상식으로 생각하기

02. 제8식의 여러 가지 이름
1. 첫 번째 능변식의 세 가지 모습
2. 위치에 따른 제8식의 여러 이름

03. 종자와 훈습
1. 종자와 훈습, 그리고 현행
2. 본래 있는 종자, 새롭게 생긴 종자
3. 종자의 조건[種子六義]
4. 소훈과 능훈의 조건

04. 이숙식의 대상[소연]과 요별 작용[행상]
1. 이숙식의 대상[소연] : 기세간, 종자, 유근신
2. 이숙식의 요별 작용[행상] : 견분

05. 아뢰야식은 폭류처럼 흐른다
06. 제8식이 있는 이유, 증명하기
1. 경전 말씀에 의한 증명[敎證]
2. 이치에 의한 증명[理證]

제 4 장 - 두 번째 능변식, 제7식

01. 제7식이 등장하는 이유, 상식으로 생각하기

02. 제7식이 제8식을 나[我]라고 헤아리다
1. 제7식의 이름
2. 제7식의 특징은 헤아림[사량]
3. 제8식에 의지하고 제8식을 헤아리다

03. 제7식은 번뇌와 함께한다

04. 집착하는 제7식이 사라지는 단계
1. 염오 말나식의 단멸과 조복
2. 수행 단계에 따른 제7식의 여러 모습

05. 제7식이 있는 이유, 증명하기
1. 경전 말씀에 의한 증명[敎證]
2. 이치에 의한 증명[理證]

제 5 장 - 세 번째 능변식, 전6식

01. 전6식, 요별경식의 모습
1. 전6식의 이름
2. 전6식은 대상을 요별한다
3. 전6식과 선·악·무기의 성품

02. 전6식의 일어남과 사라짐
1. 전6식이 일어날 때
2. 전6식이 일어나지 않을 때
3. 8식이 동시에 일어남의 여부

03. 심소법의 의미와 분류
1. 심소법의 의미
2. 심소법의 분류

제 6 장 - 세상의 모습 [삼성과 삼무성]

01. 유식과 삼성
1. 변계소집성
2. 의타기성
3. 원성실성
4. 유식과 삼성의 관계

02. 유식과 삼무성
1. 삼성과 삼무성
2. 유식성으로서 승의무성

제 7 장 - 대승 보살의 길

01. 보살의 수행 단계

02. 수행의 다섯 단계[五位]
1. 자량위
2. 가행위
3. 통달위
4. 수습위
5. 구경위

글을 마치며

저자소개

목경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뒤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유식철학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번역 사업에 참여하였으며, 현재 여러 불교대학에서 불교 교리 및 불교 문화를 강의하고 있다. 불교 문화 대중화를 위해 한겨례문화센터에서 ‘사찰 기행’ 강좌를 열었고, 인터넷 카페 ‘저 절로 가는 사람(cafe.daum.net/templegoman)’에서 사찰 문화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저서로는 『사찰, 어느 것도 그냥 있는 것이 아니다』, 『부처님께 다가가는 방법』, 『유식불교의 이해』, 『연기법으로 읽는 불교』, 『대승기신론 입문』, 『도표로 읽는 천수경 입문』, 『정토, 이야기로 보다』, 『관음신앙, 33개의 나침반』, 『지장보살, 원력에 스며들다』, 『절에는 이야기가 숨어 있다』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4791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