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91366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2-06-27
책 소개
목차
서문: 농촌 교육의 현실과 변화를 위한 과제
01 소멸하는 농촌, 학생 수 감소의 진실
이 책의 ‘농촌’ 개념
우리나라 인구 구조의 변화와 특징
지역별 학생 수 감소 실태
농촌 지역의 학생 수 감소
학생 수 감소 ‘심각’ 지역 분류
소결: 지역별로 다른 학생 수 감소 현상
02 부안군 이야기
위기: 인구 감소와 학교의 현실
더 큰 학교로 떠나는 아이들
작은 학교의 현실
지역사회의 대응
소결: 지역이 함께 학생들의 삶을 돌보다
03 군위군 이야기
위기: 인구 소멸과 학생 수 감소
더 ‘좋은’ 교육을 찾아서
작은 학교의 수업, 학생, 교사
지역사회의 정책 대응
소결: 작은 학교의 딜레마를 넘어
04 청양군 이야기
위기: 고령화와 학생 수 감소, 그리고 읍 지역 인구 집중
더 나은 교육 환경을 찾아가는 아이들
농촌 학교 학생과 교사의 교육 활동
지역사회의 정책 대응
소결: 소통과 공감을 통한 ‘좋은 교육’ 만들기
05 농촌 학생 수 감소,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문제의 재인식
새로운 접근법
프로그램 디자인 매트릭스의 적용
농촌 학교 교육 혁신의 과제
문제의 진정한 해결
06 대담: 일상화된 위기의 시대, 희망은 농촌 교육에 있다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해결책은 무엇인가?
당장의 처방은 없는가?
코로나 시대, 농촌 교육의 가능성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급한 것은 농촌 지역의 ‘학생 수 감소’ 현상을 정책적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다. 학생이 없는 곳에 교육이 있을 수 없다. 역으로 말하면, 학생이 1명이라도 있다면 그곳에 교육이 있어야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농촌 지역의 학생 수 감소 현상은 ‘저출산’이라는 자연적 요인 위에 학령인구의 ‘도시 지역으로의 이동’이라는 사회적 요인이 겹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농촌의 학생 수 감소 현상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의 복잡성을 인식하고 문제를 새롭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는 지역의 정주 여건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단적으로 말해 학교가 없는 지역에 인구가 유입될 수 없다. 역으로, 학교의 폐쇄는 그 지역에 시한부 선고를 내리는 것과 같다. 인구가 유입되지 않는 지역의 미래는 곧 소멸이기 때문이다.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의 폐기는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