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러시아사
· ISBN : 9788975818110
· 쪽수 : 387쪽
· 출판일 : 2020-01-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 1917년 러시아 10월 혁명은 사회주의적이었는가?
1. 노동자 계급과 의식
2. 노동자 계급과 행동주의
3. 온건파 임시정부와 노동자의 갈등
4. 노동자 계급의 조직 활동의 경험들
5. ‘소비에트 권력’의 의미
6. ‘노동자 관리’(Workers’ Control)의 의미
7. 볼셰비키와 노동자계급의 관계
2장 - 레닌과 프롤레타리아 국가: 민중은 과연 권력을 얻었는가?
1. 레닌의 사상의 기초
2. 레닌의 국가관과 프롤레타리아 독재
3. 10월 혁명과 ‘프롤레타리아 독재’
4. 신생 사회주의 국가에서 민중의 권력
5. 마지막 노력
3장 - 노동자 계급의 꿈은 실현되었는가?
1. 신생 사회주의 국가와 노동자 계급의 지위
2. 1921년 노동자 저항 운동의 발생
3. 네프 시기 ‘산업생산 관리’에서 노동자 계급의 역할
4. 네프 시기 노동자들의 의식과 가치관의 변화
4장 - 볼셰비키 정권과 농민의 갈등은 어떻게 끝났는가? 1925~30
1. 농촌에서의 계급투쟁
2. 네프와 사회주의 이념 문제
3. 농촌 신 질서와 농민층과의 갈등, 1925~28
4. 곡물위기와 강제적 농업집단화
5. 소비에트 농민의 지위와 사회주의 이념
5장 - 사회주의적 사랑의 신화: 알렉산드라 콜론타이와 ‘붉은 가족’
1. A. 콜론타이의 여성해방 사상의 기초
2. 볼셰비키의 성적 가치관
3. 콜론타이의 섹슈얼리티 사상과 ‘붉은 가족’
4. 소비에트 국가 대응과 보수적 성적 윤리
6장 - ‘문화혁명’과 스탈린주의 멘탈리티, 1928~32
1. ‘문화 혁명’이란 무엇인가
2. 구전문가·지식인에 대한 공격
3. 1928~32년 ‘붉은 전문가’양성
4. ‘문화혁명’노선의 반전
5. 스탈린주의 멘탈리티와 가치관
7장 - 스탈린 대숙청의 수행자는 누구였는가? 신 엘리트 간부의 등장
1. 스탈린주의란 무엇인가
2. 권력 투쟁의 전개
3. 신 엘리트-간부, 그들은 누구인가?
4. 수행자들의 행동방식
5. 대숙청의 멘탈리티
8장 - 사회주의 산업화와 여성노동 동원, ‘일하는 모성 상’
1. ‘여성 해방’과 일
2. 여성 산업노동 동원과 환상
3. ‘일하는 모성’과 차별로의 회귀
4.정치적 함의
9장 - 페레스트로이카, 여성은 해방되었는가? 고르바쵸프의 ‘모성 상’의 이중성
1. 소비에트 사회주의와 페미니즘
2. 페레스트로이카와 ‘가정으로 돌아 가시오’
3. 1993년 의회선거와 정당정치에 도전
4. 풀뿌리 여성조직의 성장과 한계
주(註)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20세기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과 공산 국가 수립의 역사는 세계사에서 최초의 실험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과정의 역사 변화 속에서 민중의 최초의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서 1917년 2월 혁명 이후 1921년 내전기 사이의 러시아 노동자들의 활동을 살필 것이다. 이들의 의식에서 나타난 미래 세계의 상에 대한 염원과 이를 쟁취하기 위한 혁명 운동부터 시작한다. 그 후 1928년 공산당의 농업 집단화의 선언에 대한 농민층의 대한 대응의 모습을 살필 것이다. 1930년대 가공할 만한 목표를 내세운 소비에트 산업화 무대에서 새로이 등장한 빈곤층 여성 노동자들 삶의 변화상, 그리고 스탈린 시대의 문화혁명과 대숙청의 배경과 결과들, 그 속에서 생겨난 내면적인 갈등들을 추적한다. 이런 역사는 강력한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도 불구하고 생겨난 이반 현상과 저항의 모습을 엿보게 한다. 마지막으로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 참담한 지위 몰락을 겪으면서도 자유를 추구하며 저항하는 세계를 놀라게 한 지적 여성들의 투쟁과 해방활동을 추적한다.
이 일련의 시련과 생존의 이야기는 역사에서 온갖 종류의 억압에 저항하며 인간답게 살기 위해 투쟁하며 자유를 갈망하는 러시아‘민중’의 모습을 상기시키는 사건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