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창

창(創)으로 보는 팀 문제해결

최유현, 이진우, 임윤진, 이은상, 김동하, 이동원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10,7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4,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창(創)으로 보는 팀 문제해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직업교육/사회교육
· ISBN : 9788975995927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16-08-31

책 소개

미래 인재가 지녀야 할 창의성, 팀 문제해결에 관한 이론 및 실천서. 팀워크에 기반을 둔 창의적 문제해결의 이론과 체험적, 실천적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창으로 보는 팀 문제해결’이란 책명에서 알 수 있듯이 팀 기반의 문제해결 스트레칭 및 프로젝트가 주된 내용이다.

목차

創1 창맹(創盲) 탈출하기
창의력 스트레칭 : 이진우
창(創) 열기
견맹(見盲) 탈출하기
준비 운동 | 우리는 견맹(見盲) _ 014
스트레칭 1 | 디지털카메라 발상법 _ 015
스트레칭 2 | 칼라 배스(color bath) _ 017
스트레칭 3 | 보이는 것은 모두 사실일까? _ 019
숨고르기 | 손정의 사장의 발명아이디어 발상법 _ 020

청맹(聽盲) 탈출하기
준비 운동 | 목소리로 와인잔 깨기 _ 021
스트레칭 1 | 두 눈 없이 앞을 보는 소년 _ 022
스트레칭 2 | 타코마 브리지는 왜 무너졌을까? _ 023
스트레칭 3 | 소리로 불을 끌 수 있다? _ 024
숨 고르기 | 소리로 읽는 세상 _ 025

감맹(感盲) 탈출하기
준비 운동 | 시 vs 창의력 _ 026
스트레칭 1 | 박성우 시인의 『난 빨강』 _ 027
스트레칭 2 | 나태주 시인의 『풀꽃』 _ 028
스트레칭 3 | 반칠환 시인의 『새해 첫 기적』 _ 029
숨 고르기 | 두 바퀴로 가는 자동차 _ 030

문맹(問盲) 탈출하기
준비 운동 | 질문과 창의력 _ 031
스트레칭 1 | G20 기자회견 _ 032
스트레칭 2 | 질문 실험 _ 033
스트레칭 3 | X-프로젝트 _ 034
숨 고르기 |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의 토론식 수업 _ 035

변맹(變盲) 탈출하기
준비 운동 | 발명품속의 창의력 _ 036
스트레칭 1 | Magic 3D Pen _ 037
스트레칭 2 | 실내 구름 _ 038
스트레칭 3 | 음식 보관용기 _ 039
숨 고르기 | 발명관련 신문기사 찾아보기 _ 040

관맹(觀盲) 탈출하기
준비 운동 | 광고와 창의력 _ 041
스트레칭 1 | 칸 광고제 대상 수상작 _ 042
스트레칭 2 | DHL 광고 _ 043
스트레칭 3 | 제일기획 Look at me 광고 _ 044
숨 고르기 | 어느 여중생의 창의력 엿보기 _ 045

독맹(讀盲) 탈출하기
준비 운동 | 책에서 길 찾기 _ 046
스트레칭 1 | 사피엔스 _ 047
스트레칭 1 | 교수대 위의 까치 _ 048
스트레칭 3 | 데미안 _ 049
숨 고르기 | 독서 프로젝트 _ 050

기맹(技盲) 탈출하기
준비 운동 | 인공지능 기술 _ 051
스트레칭 1 | 우주청소 인공위성 _ 052
스트레칭 2 | 태양광 비행기 솔라 임펄스 _ 053
스트레칭 3 | 불가능은 없다 다이슨 _ 054
숨 고르기 | 창조기업 IDEO _ 055
창(創) 닫기

創2 팀워크 이론과 리더십
: 최유현
창(創) 열기
1. 팀의 의미와 발달
(1) 팀의 의미 _ 062
(2) 팀이 갖는 특성 _ 064
(3) 팀의 유형 _ 066
(4) 팀의 발달 과정 _ 067
팀워크 계발 활동 - 팀 공통성 _ 071
학습 내용 정리 _ 072

2. 팀 수행과정과 구성하기
(1) 팀 수행 과정 _ 074
(2) 팀 목표 설정: 팀 강령 세우기 _ 076
팀워크 계발 활동 - 우리 팀 슬로건 _ 088
학습 내용 정리 _ 089

3. 팀 리더십
(1) 팀 리더십 기술 개발하기 _ 090
(2) 팀 구성원의 갈등 관리 _ 094
팀워크 계발 활동 - 혼자서 해보는 리더의 역량 계발 _ 103
학습 내용 정리 _ 110
생각해 볼 문제 _ 112
창(創) 닫기

創3 문제해결 스트레칭
: 이동원
창(創) 열기
1. 공감 문제해결
(1) 현대인에게 휴식을 _ 121
(2) 국경을 넘어서 _ 123
(3) 당신의 감정 그리고 실패에 찬사를 _ 125
(4) 웃지 않는 당신에게 웃음을 _ 127

2. 즉석 문제해결
(1) 말랑말랑 구조물 만들기 _ 130
(2) 안전하게 짐을 옮겨라 _ 133
(3) 민속놀이를 활용한 골드버그장치 _ 137
(4) 바쁘다, 바빠! _ 140
(5) 공든 탑 쌓기 _ 143
(6) 굴러라 굴러라 _ 146
(7) 옮기고, 굴리고 _ 149

3. 디자인 문제해결
(1) 재미있는 광고 만들기 _ 153
(2) 나만의 명함 만들기 _ 155
(3) 지켜라? 지키자! _ 159

4. 융합 문제해결
(1) 그 남자와 그 여자의 암호 _ 164
(2) 나 혼자 산다! _ 167
(3) 내가 CEO라면? _ 171
창(創) 닫기

創4 창의적 문제해결
: 임윤진
창(創) 열기
1. 창의성
(1) 창의성의 개념과 요소 _ 178
(2) 창의성의 종류 _ 181
(3) 창의성의 기능 _ 183
(4) 창의성 개발하기 _ 186
(5) 창의성 죽이기 _ 191
학습 내용 정리 _ 193

2.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1) 문제의 개념과 요소 _ 196
(2) 문제의 종류 _ 197
(3) 문제해결과정 _ 199
(4) 문제해결과 사고 _ 202
(5) 문제해결 전문가의 특징 _ 204
(6)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정 _ 208
학습 내용 정리 _ 213
토론 및 성찰 _ 214

3. 창의적 사고기법
(1) 문제를 확인하는 사고 기법 _ 216
(2) 확산적 사고 기법 _ 218
(3) 수렴적 사고 기법 _ 224
토론 및 성찰 _ 229
창(創) 닫기

創5 발명 문제해결 프로젝트
: 김동하
창(創) 열기
1. Road Master
(1) 문제 확인 _ 236
(2) 미로 만들기 _ 237
(3) 아이디어 발상(개인 또는 팀별) _ 238
(4) 아이디어 평가 _ 242
(5) 문제해결을 위한 실행 계획 수립 _ 244
(6) 실행(제작) _ 245

2. 인간중심의 기술 적정기술 프로젝트
(1) 문제 확인 _ 246
(2) 문제 정의하기 _ 248
(3) 아이디어 발상 _ 249
(4) 문제해결을 위한 실행 계획 수립 _ 250
(5) 실행(제작) _ 251
(6) 테스트 및 종합평가 _ 252

3. 아이디어를 창업으로
(1) 아이디어를 창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첫 걸음
– 특허출원하기 _ 257
(2) 특허출원의 핵심 – 명세서(출처 : 특허로) _ 262
창(創) 닫기

創6 공학 설계 프로젝트
: 이은상
창(創) 열기
1. 계란 보호 자동차 만들기 프로젝트
(1) 문제 확인하기 ① - 문제의 개요 _ 280
문제 확인하기 ② - 문제 상황 제시 _ 281
(2) 아이디어 탐색 _ 282
(3) 아이디어 선정 _ 283
(4) 설계 _ 284
(5) 제작 및 테스트 / 소감 작성 _ 285
(6) 평가 _ 286
(7) 제작 참고 자료 _ 287
(8) 관련 정보 _ 288

2. 더블클립 자동차 만들기 프로젝트
(1) 문제 확인하기 ① - 문제의 개요 _ 290
문제 확인하기 ② - 문제 상황 제시 _ 291
(2) 아이디어 탐색 _ 292
(3) 아이디어 선정 _ 293
(4) 설계 _ 294
(5) 제작 및 테스트 / 소감 작성 _ 295
(6) 평가 _ 296
(7) 제작 참고 자료 _ 297
(8) 관련 정보 _ 300

3. 사이펀 보트 만들기 프로젝트
(1) 문제 확인하기 ① - 문제의 개요 _ 302
문제 확인하기 ② - 문제 상황 제시 _ 303
(2) 아이디어 탐색 _ 304
(3) 아이디어 선정 _ 305
(4) 설계 _ 306
(5) 제작 및 테스트 / 소감 작성 _ 307
(6) 평가 _ 308
(7) 제작 참고 자료 _ 309
(8) 관련 정보 _ 312

4. 종이 골판지 의자 만들기 프로젝트
(1) 문제 확인하기 ① - 문제의 개요 _ 314
문제 확인하기 ② - 문제 상황 제시 _ 315
(2) 아이디어 탐색 _ 316
(3) 아이디어 선정 _ 317
(4) 설계 _ 318
(5) 제작 및 테스트 / 소감 작성 _ 319
(6) 평가 _ 320
(7) 제작 참고 자료 _ 321
(8) 관련 정보 _ 322
창(創) 닫기

부록
창으로 보는
팀 문제해결 보고서 _ 327
프롤로그
–Team Chart(팀 강령) 세우기
1. 문제 확인하기
2. 대안 탐색하기(1): 브레인스토밍 또는 브레인라이팅
대안 탐색하기(2): 확산적 사고 기법 활용 - 스캠퍼(SCAMPER)
3. 특허정보 검색하기 – 발명 문제해결의 경우
4. 대안 평가하기(1): ALU에 기반한 평가행렬표
5. 대안 구체화하기: 설계 및 구체적 계획, 팀역할 분담
6. 실행하기
7. 평가하기

에필로그
–Team Reflection (팀 성찰) 하기
- 팀구성원 에세이

저자소개

최유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저자 최유현은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기술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경인교육대학교 부교수, 교육부 정책자문위원, 한국기술교육학회장, 충남대 사범대학 학장, 교육대학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 주요 연구분야는 기술교육학, 공학교육, 발명교육, 문제해결, 디자인 씽킹 등으로 220 여편의 관련 분야 연구 업적이 있다. ● 주요 저서로는 디자인 씽킹과 교육혁신(충남대출판문회원, 2022) 외 90 여권이 있다. ● 교육에세이집으로 디지털시대에 배움을 살리는 아날로그 교육을 꿈꾸다(2018, 마루비)를 펴냈다.
펼치기
이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육부 교육연구관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창의성 교육, 발명교육 교사들을 위한 창의성 교육 길라잡이 외 20여권
펼치기
임윤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전 전민고등학교 교사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Ph.D) 기술교육, 발명교육, 기술적 문제해결,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성 기술적 문제해결 검사도구 개발 외 논문 20여편
펼치기
이은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전 관저중학교 교사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Ph.D) 기술교육, 발명교육, 공학교육, 공학설계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천재교과서) 외 3권
펼치기
김동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전 갑천중학교 교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수료 기술교육, 발명교육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외 다수
펼치기
이동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교육대학교 조교수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Ph.D) 초등 기술교육, 발명교육 발명과 지식재산 교육론(2015, 박문각) 외 10여편
펼치기

책속에서

준비 운동|우리는 견맹(見盲)
색각이상이라고도 불리는 색맹이란 망막 원뿔세포의 선천적 기능 이상 또는 후천적인 망막 원뿔세포의 손상이나 시각 경로의 이상으로 색깔을 정상적으로 구분하지 못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색맹증상을 가진 환자는 자신들이 보는 세상이 진짜 세상이라 믿고 있다. 세상이 그렇게 보이기 때문이다.

유투브(Youtube)에서 딸의 눈동자 색깔을 처음으로 제대로 본 아빠가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담긴 영상이 인기다. 색맹(color blindness)인 아빠가 색맹을 교정해주는 안경인 엔크로마 안경(Enchroma glass)을 이용해 딸의 모습을 보고 감동해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나온다.
아빠가 눈물을 흘렸던 까닭은 아름다운 딸의 눈동자를 제대로 보지 못했던 지난 시간들에 대한 아쉬움 때문이 아니었을까?

보지도 듣지도 못했던 헬렌 켈러가 썼던 <사흘만 볼 수 있다면 Three Days to See>은 20세기 최고의 에세이라는 찬사를 듣고 있다. 다음은 에세이 중 일부를 발췌한 내용이다. ‘제대로 보는 것’의 중요성과 의미를 생각하며 다음 에세이를 읽어보자.

내가 만약 대학총장이라면 ‘눈을 사용하는 법’이란 강의를 필수과정으로 개설했을 겁니다. 사람들이 아무 생각 없이 지나치는 것들을 진정으로 볼 수 있다면 삶이 얼마나 즐거울지를 알게 해주는 강의가 되겠지요. 말하자면 나태하게 잠들어 있는 기능을 일깨우는 겁니다.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박응현 · 강창래(2009)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