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불교철학
· ISBN : 9788976826503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21-06-23
책 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5
I. 인식수단의 수 16
1. 인식수단은 지각과 추론의 2종뿐이다 16
2. 대론자와의 대론 97
II. 지각의 정의 166
1. ‘지각은 분별을 떠나 있다’는 (자기)지각에 의해서 알려진다 166
2. 지각무분별은 추론에 의해서 알려진다 182
III. 지각의 명칭 240
IV. 아비달마의 학설과 지각의 정의 ‘지각무분별’과의 회통 243
1. 회통 243
2. 다수가 하나의 인식에 의해서 파악될 수 없다는 비판과 반론 246
3. 하나의 인식이 다수의 형상을 갖는 것은 아니라는 비판과 반론 256
4. 집적한 극미는 인식대상이 아니라는 비판과 반론 266
5. 대론자의 설을 논파하다 267
V. 지각의 대상 274
1. 주장 274
2. 대론자의 설을 논파하다 276
VI. 지각의 종류 283
1. 의식 284
2. 즐거움 등의 자기인식 294
3. 요가수행자의 지각 328
4. 분별적 인식의 자기인식 333
VII. 사이비지각 335
1. 디그나가가 거론한 사이비지각의 분류 335
2. 디그나가가 사이비지각을 거론한 이유 338
VIII. 인식결과=인식수단 348
1. 인식결과·인식수단의 비별체설 349
2. 앎(인식)의 능취성 355
3. 대론자의 설을 논파하다 356
4. 궁극적 차원의 입장과 일상언어 차원의 입장 365
IX. 인식결과=자기인식 367
1. 유식설과 외계대상 실재론 367
2. 유식설에 있어서 인식대상과 인식수단과 인식결과 398
3. 인식의 두 개의 형상에 대한 논증 409
4. 앎의 자기인식의 논증 463
『인식론평석』 지각론 해제 578
참고문헌 601
리뷰
책속에서
본질 혹은 자기원인은 지각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다른 지각의 원인들(감관이나 주의집중)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지각되지 않을 때 어떻게 그와 같은 것(지각의 조건들이 다 갖추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지각되지 않는 것)에 존재성이 있을 수 있는가?
다르마키르티의 존재론에 의하면 궁극적으로 실재하는 것은 현실적 존재이다. 이 현실적 존재를 넘어서 다른 존재란 있을 수 없다. 저 물질성을 본질로 하는 색깔 있는 모양도 인과적 효과성을 갖기 때문에 현실적 존재이며, 또한 저 정신성을 본질로 하는 깨달은 분인 붓다도 인과적 효과성을 갖기 때문에 현실적 존재이다. 일체의 인과적 효과성을 본질로 하는 모든 존재는 현실적 존재라는 점에서 다른 것이 아니다.
우리는 푸른색이나 노란색 등의 다양한 색깔을 가진 호랑나비의 색깔을 동시에 지각한다. 만약 대론자와 같이 다양한 색깔들이 동시에 하나의 앎에 의해 지각되지 않는다면 ‘다양한 색깔’의 지각은 있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대론자는 다양한 색깔을 지닌 호랑나비는 다양한 색깔=일자이기 때문에 다양한 색깔의 호랑나비에 대해 하나의 지각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에 대해 다르마키르티는 다수의 색깔=일자라는 등식은 불가사의하다고 조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