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가능성의 정치신학

불가능성의 정치신학

(정치적 우상의 신학적 기원)

손기태 (지은이)
그린비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가능성의 정치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가능성의 정치신학 (정치적 우상의 신학적 기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76826916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2-09-23

책 소개

클리나멘 총서 11권. 『불가능성의 정치신학』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은 현대 정치철학과 바울의 급진적인 정치신학이 이러한 ‘탈신성화’의 기획 속에서 어떻게 만날 수 있었는가에서 출발한다.

목차

서문 탈신성화의 정치신학을 위하여 5

1부 현대 정치철학과 정치신학 13

1장 현대 정치철학은 어째서 신학에 주목하는가? 15
다시 소환되는 정치신학 15•현대 정치철학자들이 신학에 주목한 이유: 발터 벤야민과 칼 슈미트의 정치신학 23•종교 비판 이후에 과연 신학은 가능한가? 32•현대 정치철학과 신학과의 만남: 바울의 소환 41

2장 고대 이스라엘이라는 상상적 기원 45
고대 이스라엘 역사와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45•‘고백’으로서의 역사: 성서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53•고대 이스라엘 민족은 어디서 유래하였는가? 60•이스라엘 종교는 가나안 종교에 대해 배타적인가? 67

2부 성서의 정치신학과 메시아주의 75

3장 이스라엘 왕정 수립과 두 가지 정치신학 77
고대 이스라엘의 표준적 역사와 두 가지 정치신학 77•지파 동맹 체제의 탈국가적 정치신학 79•통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왕정 신학 88•이스라엘 왕국의 분열과 패망 98•왕정 신학의 실패에 대한 반성 101

4장 ‘디아스포라’ 시대의 메시아주의 103
디아스포라의 시대가 시작되다 103•이스라엘 패망에 대한 평가와 메시아 사상 104•포로기 이후의 메시아주의 111•예수 시대의 메시아주의 115•메시아의 도래와 하나님의 나라 126•예수, 메시아를 해체한 메시아 133

5장 바울의 정치신학과 메시아주의 139
유대 사회와 디아스포라의 공동체들 141•바울과 예루살렘 공동체와의 관계 144•바울이 추구한 공동체 156•하나님의 나라와 로마 제국 169•새로운 피조물, 혹은 메시아적 삶 173

3부 탈신성화의 정치신학 179

6장 근대 국가론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정치신학 181
근대 국가론, 그리고 홉스를 다시 불러낸 슈미트 181•칼 슈미트의 근대 국가론 비판 187•주권자와 국가의 외부 192•슈미트의 주권 독재에 대한 벤야민의 비판 196•진정한 예외상태와 벤야민의 메시아주의 199•슈미트의 정치신학과 벤야민의 메시아주의 207

7장 탈신성화, 혹은 아무것도 아닌 자들의 정치신학 211
바디우의 바울: 보편주의와 평등을 향한 투사 212•데리다의 ‘메시아주의 없는 메시아적인 것’ 219•아감벤: 탈신성화로서의 메시아적 삶 227•성서의 정치신학: 탈신성화와 케노시스 236

맺으며 241
참고 문헌 245

저자소개

손기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학과 종교학을 공부하였다. ‘수유너머 104’에서 공부하고 글을 쓰고 강의하면서 공동체에 대한 오랜 관심을 이어 가고 있다. 스피노자를 만나면서 본격적으로 철학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바울, 벤야민, 칼 슈미트, 데리다, 아감벤 등 정치신학으로 관심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고요한 폭풍, 스피노자』, 『성서, 삶의 진실을 향한 무한 도전』이 있으며, ‘수유너머’의 동료들과 함께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다』, 『불온한 인문학』, 『욕망, 고전으로 생각하다』 등을 썼다.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강사로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여기서 유의할 것은 벤야민이 말하는 ‘신학’이나 ‘메시아’라는 단어가 기존의 주류 신학적 전통과는 매우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래 ‘메시아’라는 단어는 주변 강대국에 의해 패망한 이스라엘에 민족적 독립을 가져올 새로운 왕을 뜻하는 단어였고, 이스라엘의 독립 가능성이 희박해질수록 왕정 이데올로기와 배타적 유대 민족주의에 의해 그러한 의미가 더욱 강화되어 갔다. 반면, 기존의 왕정 이데올로기와 배타적 유대 민족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던 묵시적 예언자들에게서 메시아는 기존의 질서를 중단시키면서 억압받고 버려진 자들에게 해방과 구원을 선사하는, 지상에 ‘낯선’ 질서를 도입하는 존재였다. 이스라엘 민족의 옛 메시아 개념을 해체하는, 달리 말하면 메시아에 반(反)하는 메시아였던 것이다. 벤야민이 언급하는 메시아는 후자에 더 가까운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키르케고르는 헤겔의 이러한 기획에 결코 동의할 수 없었다. 삶이란 헤겔의 변증법처럼 연속적이고 단선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무수한 단절과 비약으로 이루어지는 이질적이고 불연속적인 어떤 것이었다.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관계도 마찬가지였다. 헤겔이 절대정신 안에 놓인 인간의 정신을 말할 때, 키르케고르는 하나님 앞에 홀로 선 단독자로서의 인간을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는 절대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하나님은 인간에게 ‘절대적인 타자’일 수밖에 없다. 인간이 하나님과 마주한다는 것은 무한한 질적 비약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바울의 사례처럼, 역사적인 사건들이 그것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어떠한 기억을 남기며, 또한 그로부터 어떠한 주체들이 만들어지는지 찾아보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이를테면, 4·19 혁명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그것의 성패 여부는 어떤 역사적인 통계자료나 정치적인 언사로 판단되지 않는다. 겉으로 이뤄 낸 성과보다는 대중 자신의 손으로 독재정권을 끌어내렸다는 기억이 훨씬 강렬하게 남아 있으며, 자신을 그 시대가 불러낸 주체로, 이른바 4·19 세대로 여기면서 살아가도록 만든다. 5·18 항쟁, 87년 민주화 운동과 노동자 대투쟁 등을 경험한 사람들도 이와 다르지 않다. 그런 점에서 주체가 사건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사건에 의해 주체가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