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76828750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4-08-26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 6
옮긴이 해제_‘여기에도 신들이 있소이다’ ❖ 15
—생명과학자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
동물학의 탐구와 ‘아름답고 고귀한’ 동물 세계로의 초대 ❖ 15
아리스토텔레스는 ‘진화론자’인가?
다윈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책을 읽었을까? ❖ 21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 저작과 그 순서에 대하여 ❖ 27
생물학과 연관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에 대하여 ❖ 29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에서
생물에 대한 관심과 아리스토텔레스 동물학 ❖ 32
『동물의 부분들에 대하여』의 내용과 분석 ❖ 38
제2~4권의 구성과 내용 ❖ 44
제2~4권의 설명 방식 ❖ 48
1. 형상인과 관련된 설명 49
2. 질료인과 관련된 설명 51
3. 목적인과 관련된 설명 54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설명 방식 ❖ 60
제1권
제1장 자연과학의 방법론: 동물학 연구에서 필요한 기본 원리들 ❖ 69
1. 학적 인식과 교양의 관계 │ 2. 동물 연구에서 어떤 설명이 탐구되어야 하는가 하는 방법론에 관련된 몇 가지 논점과 논의 순서 │ 3. 발생에서의 원인들에 대한 논의 │ 4. 운동인에 대한 본질 규정과 목적의 우선성 │ 5. 자연에서의 필연과 조건적 필연 │ 6. 생성에 대한 존재의 우선성 │ 7. 질료와 형상 │ 8. 자연학에서의 혼 │ 9. 지성은 자연학의 대상이 아님 │ 10. 목적과 필연이라는 원인 │ 11. 선행 철학자 엠페도클레스와 데모크리토스에 대한 비판 │ 12. 적절한 설명의 예
제2장 2분할법의 문제점 (1) ❖ 101
1. 최종의 것 이외의 차이 특성이 불필요해진다는 문제 │ 2. 자연적인 유의 그룹이 분리된다는 문제 │ 3. 뜨거움과 차가움의 의미
제3장 2분할법의 문제점 (2)와 바람직한 분할 방법 ❖ 104
1. 결여로 분할하는 것의 문제점 │ 2. 차이 특성의 수와 최하위 종의 수 │ 3. 적절하게 분할하는 방법
제4장 동물 연구의 설명 방식 ❖ 113
1. 유를 구성하는 기준, 초과 정도에서의 차이와 유비에 따른 차이 │ 2. 종과 유
제5장 동물 연구의 권고와 그 과제 ❖ 117
1. 동물 연구의 의의 │ 2. 동물 연구의 기본 원칙
제2권
제1장 세 종류의 결합, 힘의 결합, 동질 부분과 비동질 부분 ❖ 127
1. 동물의 몸을 구성하는 결합의 세 가지 종류 │ 2. 동질 부분과 비동질 부분의 구별 │ 3. 감각 수용체는 동질 부분이고, 도구적 부분은 비동질 부분인 원인 │ 4. 심장과 내장
제2장 힘, 열과 냉 ❖ 135
1. 동질 부분과 힘 │ 2. 피의 다양성 │ 3. 열과 냉 │ 4. ‘더 뜨겁다’, ‘뜨겁다’의 다의성
제3장 힘, 건과 습(고형과 액상) ❖ 144
1. ‘말랐다’와 ‘습하다’의 다의성 │ 2. 피와 영양물
제4장 동질 부분: 피와 그 성분 ❖ 150
1. 섬유소 │ 2. 피와 동물 성격 │ 3. 혈청
제5장 동질 부분: 지방 ❖ 154
1. 연지방과 경지방 │ 2. 지방 과잉의 영향
제6장 동질 부분: 골수 ❖ 157
제7장 동질 부분: 뇌 ❖ 160
1. 골수와 뇌와의 관계 │ 2. 뇌의 냉각 기능 │ 3. 사람의 뇌
제8장 동질 부분: 살 ❖ 166
1. 살과 감각 │ 2. 살을 보조하는 골격 및 그와 유사한 것
제9장 동질 부분: 뼈 ❖ 170
1. 뼈의 구성 │ 2. 뼈의 목적 │ 3. 동물에 따른 뼈의 차이 │ 4. 뼈와 유사한 부분
제10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머리 ❖ 177
1. 몸의 전반적 구조 │ 2. 사람의 직립 │ 3. 머리의 여러 부분
제11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귀 ❖ 185
제12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청각의 구멍밖에 없는 동물 ❖ 186
제13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눈꺼풀 ❖ 188
1. 눈꺼풀의 목적 │ 2. 새의 순막 │ 3. 어류, 곤충류, 갑각류의 눈꺼풀
제14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속눈썹 ❖ 193
1. 속눈썹의 목적 │ 2. 갈기, 꼬리털 │ 3. 사람 머리에 털이 많은 이유
제15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눈썹과 속눈썹 ❖ 196
1. 눈썹과 속눈썹의 목적 │ 2. 속눈썹이 나는 필연성(질료적 요인)
제16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코와 입술 ❖ 198
1. 코 만들기 │ 2. 코끼리 코의 특이한 기능 │ 3. 새의 코에 비유적인 부분 │ 4. 입술
제17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혀 ❖ 204
1. 혀의 목적(미각과 음성) │ 2. 동물에 따른 혀의 차이
제3권
제1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이빨 ❖ 211
1. 이빨의 목적 │ 2. 각 동물에 대한 자연의 부분 할당 방법 │ 3. 물고기의 이빨 │ 4. 입의 작용 │ 5. 부리
제2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뿔 ❖ 218
1. 뿔의 목적 │ 2. 뿔이 생기는 필연성(질료적 요인)
제3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목 ❖ 225
1. 후두와 식도의 목적 │ 2. 후두와 기관 만들기 │ 3. 후두개의 목적과 그것을 가진 동물 질료적 요인 │ 4. 후두와 숨통의 위치
제4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심장 ❖ 231
1. 내장에 대하여 │ 2. 심장이 있는 이유 │ 3. 심장이 혈관의 시원일 것 │ 4. 심장이 운동이나 감각의 시원일 것 │ 4. 심장과 간장 │ 5. 심장의 구성
제5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혈관 ❖ 242
1. 혈관의 시원이 하나이고 몸 전체에 둘러쳐져 있는 이유 │ 2. 땀의 형성 │ 3. 대혈관과 아오르테의 교차
제6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폐 ❖ 248
1. 폐 및 아가미의 목적(냉각 기능) │ 2. 동물에 따른 폐의 차이
제7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간과 비장 ❖ 252
1. 내장의 쌍을 이루는 경향 │ 2. 간과 비장은 쌍을 이룸 │ 3. 비장의 필요성
제8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방광 ❖ 257
1. 폐가 있는 동물에게 방광이 있는 이유 │ 2. 거북이의 방광
제9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콩팥(신장) ❖ 259
1. 콩팥이 없는 동물 │ 2. 콩팥 만들기와 목적 │ 3. 콩팥이 지방질인 이유
제10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횡격막 ❖ 264
1. 횡격막의 목적 │ 2. 횡격막이 생겨야 하는 필연성(질료적 요인)
제11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내장의 막 ❖ 269
제12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동물에 따른 내장의 차이 ❖ 270
제13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내장과 살의 차이 ❖ 272
제14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위와 장 ❖ 273
1. 위의 목적 │ 2. 동물에 따른 차이가 생기는 원인 │ 3. 겹위 │ 4. 모이주머니(소낭) │ 5. 물고기의 소화기관 │ 6. 개와 돼지의 장의 차이. │ 7. 장(腸)
제15장 겹위 동물의 위에 있는 퓨에티아(응유효소) ❖ 282
제4권
제1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뱀, 물고기, 거북이의 내장이나 위장 ❖ 285
제2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담낭 ❖ 287
1. 동물에 따른 담낭(담즙)의 차이 │ 2. 담즙이 무엇 때문에 있는 것이 아님 │ 3. 간장과 담낭(담즙)의 관계
제3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막 ❖ 292
제4장 유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장간막 ❖ 294
제5장 무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체내의 여러 부분 ❖ 296
1. 무혈동물에 내장이 없을 것 │ 2. 연체동물[두족류]의 입 │ 3. 유절동물[곤충류]의 입 │ 4. 각피동물[조개류]의 소화기관 │ 5. 연체동물의 몸 만들기 │ 6. 껍데기(각피)동물의 몸 만들기 │ 7. 성게, 멍게, 홍어, 말미잘, 불가사리의 특이한 점 │ 8. 심장과 유비적인 부분 │ 9. 곤충류의 소화기관
제6장 무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곤충류의 외적 부분 ❖ 314
1. 곤충류의 발 │ 2. 날개와 바늘
제7장 무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껍데기(각피)동물의 외적 부분 ❖ 319
제8장 무혈동물의 비동질적인 부분: 연각동물의 외적 부분 ❖ 321
1. 연각동물의 집게 │ 2. 꼬리 │ 3. 다리 │ 4. 아가미 같은 부분
제9장 무혈동물의 비동질 부분: 연체동물의 외적 부분 ❖ 325
1. 연체동물 소화기관의 특이한 점 │ 2. 다리 │ 3. 오징어의 두 개의 긴 다리 │ 4. 빨판 │ 5. 지느러미
제10장 태생 유혈동물의 외적 부분 ❖ 331
1. 목 │ 2. 인간 이외의 동물은 ‘난쟁이’일 것 │ 3. 손 │ 4. 흉부 │ 5. 유방 │ 6. 배설 부분 │ 7. 엉덩이와 꼬리 │ 8. 다리
제11장 난생 유혈동물의 외적 부분 ❖ 351
1. 난생의 유혈동물의 머리 부분 │ 2. 흉부 │ 3. 카멜레온의 특이한 점
제12장 새에 특징적인 외적 부분 ❖ 357
1. 새의 날개 │ 2. 머리의 여러 부분 │ 3. 목 │ 4. 부리 │ 5. 날개 │ 6. 발과 다리
제13장 물고기에 특징적인 외적 부분 ❖ 367
1. 물고기의 지느러미 │ 2. 아가미 │ 3. 입 │ 4. 고래류의 분출공 │ 5. 고래류, 바다표범, 박쥐가 다른 동물류의 특징을 겸비한 것
제14장 타조에 특징적인 외적 부분(날개와 발굽) ❖ 376
참고문헌 ❖ 377
찾아보기 ❖ 386
책속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청강생들에게 신성한 화덕에 대한 어린 시절의 혐오감을 극복하도록 격려한다 . 또한 그는 더 경이로운 동물 , 그리고 궁극적으로 신성한 것으로 평가되고 연구할 가치가 있는 별을 포함하여 자연의 다른 것뿐만 아니라 동물들에게도 놀라운 것이 있다고 말함으로써 더 비천한 동물을 고찰하는 것에 대한 어린애와 같은 혐오감을 극복하도록 자신의 청강생들을 격려하고 있다 . 물론 ‘ 놀라운 것 ’ 은 전체 자연계에 골고루 스며들어 있고 , 기술로 만들어진 것에 대한 ‘ 아름다움 ’(to kalon) 에 대응되는 ‘ 목적성 ’ 이다 . 그렇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청강생들에게 특정 종류의 동물에 대한 혐오감을 버리고 , 자신이 내놓고 있는 동물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와 설명에 마음을 열도록 권고하고 있는 셈이다 .
1879년 2월 12일로 기록된 어떤 편지에는, 어떤 사람(J. A. Crawley)이 다윈에게 헬라스 원문으로 된 아리스토텔레스 생물학에 관해 무언가를 물어본 것으로 보인다. 다윈은 이렇게 답장을 보낸다. “어떤 정보도 드릴 수 없어서 죄송합니다. 나는 한때 알고 있던 얼마 안 되는 헬라스어조차 잊어버렸습니다. 말하기는 좀 부끄럽지만, 또한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을 읽어 본 적도 없습니다. 발췌본을 통해 본 바로, 나는 그에게 무한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위대한 관찰자(생물학자)는 아니더라도 지금까지 살았던 가장 위대한 관찰자 중 한 사람으로서 말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앞선 철학자들 중에도 생물에 대한 관심을 갖고 그 원인을 탐구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조직적인 동물 연구를 한 사람은 없었다. 그는 동물에 관한 연구를 천문학 등의 다른 연구와 함께 하나의 독립적인 연구 분야로서 이론적인 탐구의 가치가 있음을 선언한 후, 사실 수집을 먼저 한 다음 원인 탐구로 나아가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동물 탐구』에서 동물 신체의 여러 부분의 다름과 같음, 생활방식, 활동, 성격의 다름과 같음 등 갖가지 사실을 수집해 동물의 다양한 모습을 계통적으로 밝히고 있다. 동물학자로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민간 분류법을 거부하고 ‘유’(類)나 ‘종’(種) 개념을 끌어들여 비교적 중립적인 관점에서 동물을 분류하기 위한 개념을 설정하여 분류 기준을 명확히 한 다음, 동물의 다양성 속에서 일정한 질서를 찾아내고, 그것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해서 설명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