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76964496
· 쪽수 : 618쪽
· 출판일 : 2021-10-28
책 소개
목차
Ⅰ. 7세기, 당나라의 등장과 삼국의 생존 투쟁
01강. 신라·당 vs 고구려·백제 전쟁의 시작 13
1. 642년에 일어난 사건들 / 2. 주인공들 / 3. 정치적 격변의 원인
02강. 640년대 동아시아 각국의 상황 35
1. 고구려와 당나라의 갈등 / 2. 의자왕의 외교전략 / 3. 신라의 위기, 위안, 기회 / 4. 648년 김춘추 당 태종의 비밀 군사동맹 / 5. 645년 1차 고·당전쟁이 국제적 동맹 관계로 이어지고
03강. 동·서, 남·북 연합 국제전의 전야 61
1. 김춘추의 즉위 / 2. 가열되는 군사적 대립과 김춘추의 대응 / 3. 의자왕 재위 15년 이후의 백제 / 4. 의자왕과 김춘추
04강. 백제의 패망 77
1. 백제의 패망 과정 / 2. 황산벌 전투 / 3. 사비성 함락과 백제의 패망 / 4. 백제부흥군의 결집 / 5. 유일하게 전해지는 의자왕의 육성
05강. 661년, 백제부흥운동 100
1. 661년에 있었던 세 가지 일 / 2. 백제부흥군의 내분 / 3. 동아시아 최초의 국제전, 백강구 전투 / 4. 백제 패망의 원인은 무엇인가
06강. 고구려 패망과 신라의 대당 전쟁 122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 패망 원인에 대한 상반된 시각 / 3. 신라의 대당 전쟁 / 4. 무엇이 세 나라 운명을 갈랐나
Ⅱ. 통일 왕국의 파편화
07강. 신라 중대에서 하대로 153
1. 신라의 시대구분 / 2. 통일전쟁 승리 후 100년 / 3. 성덕왕 대의 균형 / 4. 경덕왕 대의 파열음 / 5. 혜공왕 대의 파국 / 6. 중국적인 것 vs 신라적인 것
08강. 임계점을 향하여 172
1. 하대 왕실의 시조 원성왕 / 2. 원성왕 대의 사회적 변화 / 3. 김헌창의 난 / 4. 원종과 애노의 난 / 5. 사회가 조각나다
09강. 골품제, 진골과 6두품의 갈등 193
1. 최치원과 왕거인 / 2. 골품제 / 3. 6두품의 출신 배경 / 4. 6두품의 사회 활동 / 5. 골품제의 반전
Ⅲ. 호족의 시대
10강. 후삼국시대와 호족 215
1. 후삼국 시대 / 2. 호족의 등장과 출신 배경 / 3. 호족의 행동 방식과 귀부 / 4. 호족 세력 전개의 3단계 / 5. 인간상으로서의 호족
11강. 견훤 230
1. 출생과 등장 / 2. 후백제를 건국하다 / 3. 경애왕을 경순왕으로 교체하다 / 4. 결정적 전투들 / 5. 신검의 모반과 견훤의 귀부 / 6. 견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
12강. 궁예 257
1. 출생과 성장 / 2. 절에서 나와 ‘장군’이 되다 / 3. 전환점이 된 명주 / 4. 두 번째 도약 / 5. 왕륭의 귀부 / 6. 궁예의 선택 / 7. 미륵불 궁예 / 8. 궁예는 정말 광기에 사로잡혔나
13강. 왕건 278
1. 왕륭의 빅딜 / 2. 왕건의 성취 / 3. 쿠데타 세력의 추대를 받다 / 4. 중폐비사 / 5. 민에 대한 조세정책 / 6. 새로운 가치와 믿음, 선종 / 7. 왕건은 무엇을 이뤄냈나
14강. 광종 306
1. 왕건 사후의 혼란 / 2. 재위 7년(956) 이전의 광종 / 3. 개혁 정책 / 4. 대숙청 / 5. 광종의 개혁은 성공했나
Ⅳ. 원간섭기 고려 국왕들과 개혁
15강. 원종, 충렬왕, 쿠빌라이가 만든 세조구제 335
1. 원종과 쿠빌라이의 만남 / 2. 세조 쿠빌라이 / 3. 세조구제의 등장 / 4. 원·고려 왕실의 통혼 / 5. 충렬왕 4년 세조구제 체제의 성립 / 6. 원나라의 책봉 권한 / 7. 원간섭기 고려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16강. 혼혈 군주 충선왕 359
1. 충렬왕의 유산 / 2. 충선왕의 탄생 / 3. 아버지와 싸우다 / 4. 아버지를 이기다 / 5. 충선왕 개혁과 사림원 / 6. 충선왕 개혁의 의의
17강. 충숙왕, 그의 아버지 충선왕과 사촌 심왕 사이에서 379
1. 충숙왕의 즉위 / 2. 찰리변위도감 / 3. 심왕 왕고 / 4. 심왕옹립운동과 입성론 / 5. 충숙왕 12년 개혁 / 6. 원 제국의 세계질서에서 고려의 위치는 어디인가
18강. 개혁 세력의 등장과 정치도감 403
1. 충혜왕 대의 혼란 / 2. 충목왕 즉위와 개혁의 분위기 / 3. 이제현과 상도당서 / 4. 정치도감의 설립과 활동 / 5. 정치도감 vs 정동행성 / 6. 정치관들 / 7. 신흥유신의 등장 / 8. 부원배가 정말 부패의 뿌리인가
19강. 공민왕의 등장과 개혁의 리허설 430
1. 삼수 만에 즉위하다 / 2. 공민왕 즉위와 지원 세력 / 3. 공민왕 원년의 개혁과 ‘조일신의 난’ / 4. 공민왕 2년(1353) 이제현의 책문 / 5. 장사성 반란과 원나라의 정세 변화 / 6. 공민왕 속에 있는 ‘원간섭기’의 흔적
Ⅴ. 개혁에서 건국으로
20강. 개혁의 현실, 공민왕 5년에서 13년까지의 개혁과 좌절 455
1. 1356년(공민왕 5) 5월 18일 / 2. 5월 18일 이후 후속 조치와 원나라의 대응 / 3. 주기철공신 / 4. 왜구와 1, 2차 홍건적 침입의 영향 / 5. 이어지는 사건들 / 6. 개혁에 적합한 때는 없었다
21강. 신돈과 공민왕 483
1. 신돈이 등장한 시기의 정치적 분위기 / 2. 신돈과 공민왕의 만남 / 3. 공민왕이 신돈을 등용한 이유 / 4. 신돈의 숙청 / 5. 전민추정도감 / 6. 성균관 재건과 성리학 열풍 / 7. 신돈의 최후, 공민왕의 실패 / 8. 공민왕의 성취와 한계
22강. 우왕 대, 왕조의 마지막 모습들 515
1. 우왕 즉위와 이인임·최영 연합정권의 성립 / 2. 명 사신 살해 사건 / 3. 우왕 대 정치적 양상 / 4. 1388년의 서막, 조반 사건 / 5. 이성계의 등장 / 6. 철령위 문제와 위화도회군 / 7. 왕조의 황혼
23강. 사전 개혁과 조선의 건국 553
1. 조선 건국의 특이성 / 2. 이성계는 언제부터 건국을 생각했을까? / 3. 조준의 등장 / 4. 조준의 전제 개혁 상소 / 5. 사전 개혁 진행 과정과 이색의 반대 / 6. 왕조 교체를 가져온 원인은 무엇이고, 건국의 주역은 누구인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642년, 백제와 고구려에서는 마치 약속이나 한 듯 커다란 정치적 사건들이 발생했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나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면서도 좀처럼 해결되지 않는 것들이 있다. 이처럼 풀리지 않는 까닭은 대개 문제가 그 사회의 작동 원리 자체에서 생겨났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신라의 경우 그것은 사회 편성 원리로서의 골품제였다.
신라의 진골이 6두품을 새로운 국정 운영 동반자로 받아들여 나라를 개혁했다면, 호족의 나라 고려는 역사에 등장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