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77469686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1-10-3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교사와 교육에 대한 성찰적 물음
들어가는 말: ‘선생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1부. 선생님, 당신은 어디 계십니까?
1장. 나, 학교 안 다녀!
1. 학교를 거부한 이유
2. 나, 학교 안 다녀!
3. 혼자서 하는 공부
4. 가출 미수 사건
5. 너무나 외로워서 되돌아간 학교
6. 암흑 같은 학교생활
2장. 사자에서 다시 낙타로
1. 더욱 외로워진 중학교 생활
2. 정신적 위기에 처한 고등학교 생활
3장. 선생님, 당신은 어디 계십니까?
1. 초등학교에서 만난 선생
2. 중학교에서 만난 선생
3. 고등학교에서 만난 선생
4. 학교 밖 선생
4장. 학교를 거부하고서 지킨 것과 잃은 것
1. 자연성의 보존과 근기 형성
2. 충족감과 소유에 대한 자유로움
3. 자긍심
4. ‘때’ 읽기와 기다림
5. 자율적 태도와 기획력
6. 관계 장애
7. 독단적 태도
8. 엉성한 끝맺음
9. 의존적 존재
2부. 선생으로 살면서 선생을 찾아온 세월
1장. 누가 너더러 선생 되라 하였느냐?
1. 기독교 박애주의: 고창 행복원
2. 자유주의 교육사상: 장성 삼동고등공민학교
3. 비판적 역사의식교육: 서울 중앙고등학교
4. 생태교육의 걸음마: 무주 푸른꿈고등학교
5. 초보 교장: 담양 한빛고등학교
6. 생태사상 연구: 함양 녹색대학교
7. 지혜교육: 광주 지혜학교
8. 마주침과 응답
2장. 여전히 그리운 선생이여
1. 처음 만난 선생, 김경석 목사
2. 자유인, 허병섭 선생
3. 한재초등학교 느티나무, 선생으로부터의 해방
4. 최고의 선생, 내게 다가온 죽음
3부. 교육현장에서 만난 제자들과 선생의 시선
* 삼동중, 그때로 돌아가고파
* 중앙고등학교에 대한 단상 그리고 김창수 선생님
* 푸른꿈의 마중물, 김창수 선생님
* 김창수 선생님, 나, 한빛고
* 그리운 그때, 녹색대학교 그리고 김창수 샘
* 교장 선생의 상징, 지혜학교 김창수 선생님
부록 1. 대안교육과 대안학교
부록 2. 새로운 학교를 꿈꾸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만약에, 만약에, 내가 학교를 거부하고 혼자 있을 때 외로움을 벗어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지 못해 절망스러운 학교로 되돌아가는 길을 선택했을 때, 바로 그때 “아이야, 학교 말고도 외롭지 않은 길은 세상에 널려있단다. 학교에 가면 너는 더 외로워질 거야”라고 말해줄 수 있는 사람이 있었다면 나는 결코 학교로 돌아가지 않았을 것이다.
- [1부 3장. 선생님, 당신은 어디 계십니까?] 중에서
나는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단 한 번도 선생이 될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그런데 어쩌다 보니 보육원(고창 행복원) 야학 선생을 시작으로 광주 지혜학교에 이르기까지 40여 년 넘게 선생으로 살아왔다. 그 여정에서 여러 형태의 학교와 관련을 맺게 되었는데 거기에 평행하여 내 교육사상도 변화해 왔다. 그것은 기독교 박애주의(고창 행복원) → 자유주의 교육사상(장성 삼동고등공민학교) → 비판적 역사의식교육(서울 중앙고등학교) → 대안교육·생태교육(무주 푸른꿈고등학교, 담양 한빛고등학교, 함양 녹색대학교) → 지혜교육(광주 지혜학교)의 순이었다. 그리고 그 과정은 이전의 교육사상을 폐기하지 않고 그것들을 순차적으로 통합하면서 융섭融涉 해오는 과정이었다.
- [2부 1장. 누가 너더러 선생 되라 하였느냐?] 중에서
‘녹대’라는 그 공간에서 대안과 교육을 논의하며 2년간 서로 하나되었던 그 중심에는 당연 김창수 샘이 계셨다. 샘이 계셨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선생님의 대안교육 경험과 인간에 대한 따뜻한 이해와 인품, 역사와 사회를 향한 무한한 애정으로 선생님 계신 곳은 언제나 훈훈했었다고 기억한다.
- [3부. 교육현장에서 만난 제자들과 선생의 시선]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