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돌의 문화사

돌의 문화사

(돌에 새긴 동아시아 고대의 풍경)

정재윤, 홍승현 (엮은이)
신서원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돌의 문화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돌의 문화사 (돌에 새긴 동아시아 고대의 풍경)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7940554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8-02-12

책 소개

1부 '고대 중국인 돌을 발견하다', 2부 '돌, 여성을 기억하다', 3부 '돌에 새긴 시대상', 4부 '석각자료의 가능성'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책머리에 5

● 1부 ●
고대 중국인 돌을 발견하다

석각 자료의 출현과 발전 15
조초 저 ․ 홍승현 정리
▪돌을 발견한 인간 15 ▪중국 고대 석각 자료의 탄생 17
▪석각 자료의 유형 21 ▪공적을 칭송하는 갈과 각석 23
▪자연에 기록한 마애 25 ▪하관(下棺)의 용도에서 공적을 현창(顯彰)하는 비로 27
▪신분의 표지, 묘지 31 ▪매지권(買地券)과 진묘권(鎭墓券), 진묘석(鎭墓石) 32
▪석각 자료 형식의 변화 38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서 석각 자료의 중요성 44
⁕ 참고문헌 50

효성과 명성, 그리고 가족법의 기념비 51
묘기(墓記) ․ 묘비(墓碑) ․ 묘지(墓誌)의 사회적 역할 홍승현
▪서사 석각 자료의 종류 51 ▪형도전의 제작과 목적 53 ▪명기로서의 묘기 56
▪묘기의 내용과 역할 57 ▪묘기 제작의 배경 60 ▪묘비의 출현 63
▪인물평의 유행과 한비 65 ▪한비의 역할 67 ▪묘지와 묘비의 상호관련 70
▪묘지의 연원과 성격 71 ▪종족법의 필요와 가보(家譜)의 작성 75
▪종족법을 기록한 묘지 78 ▪각기 다른 석각의 제작 이유 81
⁕ 참고문헌 84

● 2부 ●
돌, 여성을 기억하다

자유와 굴레의 양면성 89
묘지명(墓誌銘) 속 북위(北魏) 여성 김성희
▪북위(北魏) 시대 여성을 보는 이중적 시선 89
▪북위(北魏) 여성 묘지(墓誌)의 실제(實際) 91
▪묘지명(墓誌銘)에 투영된 북위 여성의 삶 92
▪가족(家族)의 수호(守護)와 교사(敎師)의 표상(表象) 97
▪부덕(婦德)과 부공(婦功)의 굴레, 남편 뒤에 숨은 여성들 100
▪“항대(恒代)의 유풍(遺風)”과 현모양처(賢母良妻)의 음영(陰影) 105
⁕ 참고문헌 107

궁성에 갇히고, 틀에 가두어진 궁인들 109
묘지명(墓誌銘)을 통해 본 당대(唐代)의 궁인(宮人) 김호
▪궁인상(宮人像)을 그려보기 위한 시도 109 ▪궁인으로서의 시작과 끝 115
▪묘지명의 분량 ․ 문구(文句)와 궁관품의 관계 124
▪정형화한 궁인의 품행 126 ▪궁인에 대한 전형적인 송덕문 129
▪궁성(宮城)이라는 공간과 유가(儒家)라는 틀에 얽매인 궁인들 134
⁕ 부록 138 ⁕ 참고문헌 140

이름을 갖지 못한 여성들 143
무령왕비를 통해 본 백제 여성의 지위 정재윤
▪<무령왕비지석>이 알려주는 비밀 143 ▪<무령왕비지석>의 특이점 145
▪중국 묘지석은 어떠한가 148 ▪왜 왕비의 이름이 없는 걸까 152
▪여성의 이름 표기는 사회적 역할을 가름하는 잣대 155
▪이웃 나라 왕비는 어떠하였을까 162 ▪백제 여성의 지위가 변화된 시기와 요인 167
⁕ 참고문헌 171

● 3부 ●
돌에 새긴 시대상

6세기 중국의 종교 조상(造像)과 향촌경관 175
공공적 성격의 불교 및 도교 조상비(造像碑)의 입지와 성격 소현숙
▪공공장소의 종교기념물 175 ▪조상비, 대로(大路) 등 교통로상에 건립하다 176
▪도로 및 다리 건설을 기념하는 조상비 178
▪산 정상이나 언덕 등 고지(高地)에도 세우다 179
▪촌락 입구나 촌락 안에 건립된 조상비 180
▪보는 사람이 많으면 만든 자의 공덕도 크다 181
▪‘보는 것’과 ‘보는 자[觀者]’ 184 ▪‘승지(勝地)’ 또는 ‘복지(福地)’의 선택 186
▪공공적 조상비를 둘러싼 향촌의 의례활동 187
▪조상비, 6세기 화북지역 향촌민의 신앙을 보여주다 190
⁕ 부록 192 ⁕ 참고문헌 195

남조(南朝) 양대(梁代) 묘지(墓誌)에 새겨진 왕언(王言) 197
양진성
▪남조시기(南朝時期)의 봉칙찬묘지(奉勅撰墓誌) 197
▪봉칙찬묘지의 ‘칙(勅)’과 ‘신(臣)’ 200 ▪묘지(墓誌)의 칙(敕)과 왕언(王言) 201
▪봉칙찬묘지(奉勅撰墓誌)의 제작 경위 205 ▪봉칙찬묘지에 등장하는 다른 왕언 211
▪묘지명의 전통에 있어서 남조의 봉칙찬묘지의 계기적 의의 215
⁕ 참고문헌 220

● 4부 ●
석각자료의 가능성

한대(漢代) 비각(碑刻) 연구의 역정(歷程) 223
권민균
▪한대 석각자료 연구의 필요성 223
▪한대 비각 연구 역정의 시작: 송대(宋代)의 한비 연구 227
▪한비(漢碑) 연구의 발전기: 청대(淸代)의 한비 연구 231
▪20세기 이후 한비(漢碑) 연구 현황 236
▪한대 석각 연구의 다양한 가능성 249
⁕ 참고문헌 253

5~6세기 민간 조상(造像) 활동의 성행과 조상기(造像記) 255
조상기 자료 및 의읍(義邑) 관련 연구성과의 소개 정재균
▪불교의 전파와 조상(造像) 활동 255 ▪조상의 주체 257
▪종교사 시각에서 진행한 의읍 연구 260
▪사회사 ․ 정치사 시각에서 진행한 의읍 연구 266
▪조상기 자료의 수집과 정리의 필요 271
⁕ 참고문헌 278

당대(唐代) 서역사(西域史) 연구를 위한 제언 281
묘지(墓誌) 자료의 활용에 대하여 이진선
▪당대 서역의 사정 281 ▪서역사 연구와 출토 자료 283
▪당과 천산 남북 제민족간 관계와 묘지 자료 289
▪당조의 서역 통치와 묘지 자료 297 ▪서역 속 역사지리와 묘지 303
⁕ 참고문헌 308
색인 310

저자소개

정재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영광 출신으로 서강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산박물관 관장과 독립기념관 전시·자료팀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공주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백제학회 회장, 공주대학교 도서관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공주 백제문화제 집행위원장이다. 지은 책으로는 《사료를 보니 백제가 보인다(국외편)》, 공저로는 《백제와 섬진강》, 《한국사 속의 백제와 왜》, 《한류 열풍의 진앙지 일본 가와치河內》, 《초기 백제사의 제문제》, 《새로운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시작, 한강유역과 관산성》, 《스러져간 백제의 함성》,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지 아스카》 등이 있다.
펼치기
홍승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 대학원 석사, 서강대학교 사학과 대학원 박사, 현재 창원대학교 사학과 교수 주요 논저 「魏晉 시기 志怪의 撰述과 讖緯의 새로운 역할」(『東洋史學硏究』 160, 2022), 「『南齊書』 「五行志」의 구조와 특징」(『中國古中世史硏究』 63, 2022), 「『宋書』 「五行志」와 『搜神記』에 투영된 孫吳 인식」(『中國古中世史硏究』 60, 2021), 「중국 고대 災異說의 기원과 성립」(『史叢』 102, 2021), 「孫吳의 正統性과 神秘主義」(『東洋史學硏究』 152, 2020), 『석각의 사회사』(혜안, 2022),『正史 五行志의 세계-後漢書』(혜안, 2022), 『돌, 영원을 기록하다』(공저. 경북대, 2018), 『왕조 멸망의 예언가』(역서. 경북대, 2015), 『禮儀之國』(혜안, 2014)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