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일본문화
· ISBN : 9788981631475
· 쪽수 : 278쪽
· 출판일 : 2009-07-3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면서
1. 새로운 가족 만들기
새로운 가족 만들기
2. 가족의 현재
소자녀화 문제를 생각한다
장수사회의 가족
부유한 사회의 가족
지역 속의 가족
아시아의 가족상
3. 여행하는 가족
여행하는 가족
4. 가족의 과거.현재. 미래
영화 속의 가족
21세기의 아버지상
5. 대가족과 소가족
문학 속의 가족상
연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성인이 될 때까지 위험과 어울리면서 그것을 극복하는 힘을 스스로 키워나가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럴 기회를 가지지 못하게 됩니다. 아이가 성인이 되면 더 큰 위험이 닥치게 마련입니다. 당연히 어린 시기에 되도록 넓은 곳에서 놀면서 위험을 스스로 제어하는 힘과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아버지 역할을 하는 존재가 없으면 위험한 아이로 자랄 수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신경질적인 아이라든가 자폐증상이 있는 아이로 말입니다.
생산적인 것이 중시되고 과제달성형 가치관이 득세하는 시대가 되면서, 가족생활에서도 이 같은 가치관이 중요시됨에 따라 역으로 가족생활을 지켜나가기 위한 유지.관리 기능이 경시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유지.관리 기능이 경시되다 보니, 건강한 가족생활을 유지해 나가기 어려워진 것 또한 당연하다. 빈곤사회에서는 어른들이 먹을거리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온힘을 기울였다. 부유한 사회에는 이런 일 조차 외부에 맡길 수 있게 되었다. 뿐더러 이런 일들이 주관적으로 귀찮고 성가시다고 여겨지면, 외부에 위탁하믕로써 회피해 버리는 경향도 적잖이 볼 수 있다. 번거로움을 회피하는 경향이라든가 외부위탁의 확대로 사람들의 커뮤티케이션 능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일본인의 이에 의식이 결정적인 변화를 겪는 계기가 되었던 것은 1947년에 시행된 신민법이다. 신민법에 따라 호주는 존재하지 않게 되었으며 청춘남녀의 자유로운 결혼이 보장되고 장자상속이 폐지되고 배우자나 자식들의 균등상속이 인정되었다. 가마쿠라 시대 이후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오던 전통적인 가족제도는 완전히 사라졌다.
사실 현대 일본의 가족 붕괴의 원인 신민법에 의해 추진된 가족관에 있다고 하면 지나친 시대착오요 시대역행이라고 할지 모른다. 그러나 이에 중심의 상실, 독신주의, 핵가족화 등, 현재 가족붕괴의 주요한 요인들을 찾아가다 보면 결국 신민법의 가족관과 만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