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88984079830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2-06-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공공장소에 앉기: 교회에는 언제부터 의자가 놓였을까
사람들은 언제부터 카메라 앞에서 웃었을까
단체 기념사진은 언제, 누가 시작했을까
카메라 없이 스냅숏을 찍은 마네
고대 그리스·로마 조각은 흰색이었을까
Part 2 21세기 신의 형상
성모 마리아의 영원한 젊음
고결한 야만인, 난폭한 야만인
예수의 이미지
레이디 리버티, 낭만주의 혹은 신고전주의
이 작품은 왜 사실주의라고 할까
Part 3 이미지는 권력을 드러낸다
권력자 묘사하기
리스트에서 제외되는 여성들
두 개의 초상
시각미술이 정치의 도구가 될 때
침몰한 배가 남긴 것
Part 4 도시, 도시인
두 도시 이야기: 마천루의 시작
위대한 길거리 사진은 끝났다
인터내셔널 스타일을 찾아낸 뉴욕 현대미술관
오스만 백작의 파리와 카유보트
사무실의 탄생
Part 5 내면이 풍경이 될 때
비극을 기념하는 방법
조커의 가면, 우리의 가면
예술가들을 매료시킨 전염병
초현실적인 나날들
그림 앞에서 우는 사람들
Part 6 보이지 않는 아름다움
디지털에서 반복되는 회화의 역사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색, 블루
편견을 담은 이미지, 편견을 깨는 이미지
피카소가 배운 것
쓰러지는 동상들(Black Lives Matter)
일상에 숨은 아름다움을 찾아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학교를 졸업하고 학점에 신경 쓸 필요가 없어지면, 무엇보다 외워야 한다는 압박을 느끼지 않게 되면 비로소 호기심이라는 말을 앞에 세울 수 있게 된다. 미켈란젤로의 〈피에타〉를 보면서 연도를 외우고 르네상스의 삼각형 구도를 떠올리는 대신 ‘아들이 서른이 넘었는데 성모 마리아는 왜 20대로 보일까?’ 하는 호기심을 앞세울 수 있고, 중세 성당을 그린 그림을 보면서 로마네스크 양식인지 고딕 양식인지 구분하기 전에 ‘성당에 왜 의자가 없을까?’를 궁금해할 수 있다.
우리가 학교에서 따랐던 커리큘럼도 결국 누군가가 자신의 궁금증을 해결하려고 찾아낸 것을 모은 것이니까. 그리고 그렇게 자신만의 호기심, 자신만의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떠난 여행에서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은 무척 즐겁고 만족스럽다.
-「프롤로그」 중에서
초상화에 웃는 얼굴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7세기에 네덜란드에서 활동했던 프란스 할스의 작품에서였다. 하지만 그가 그린 초상화 중에서도 중상류층 사람들은 거의 웃지 않거나, 웃어도 희미한 미소만을 지을 뿐인 반면, 술 취한 혼혈인, 집시, 어린 소년들은 이를 내보이며 웃고 있다. 한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 조선 후기 화가 강세황이 그린 자화상에는 엄격한 표정을 한 양반 얼굴이 있지만, 비슷한 시기에 화가 김홍도가 그린 풍속화 속 평민들 얼굴에는 간간이 웃음이 보인다.
-「사람들은 언제부터 카메라 앞에서 웃었을까」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