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84993389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05-06-27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역자 서문
서론 미디어로서의 전화
1. 간과된 미디어
2. 재발견되는 전화
3. 미디어로서의 전화
4. 이 책의 성립과 구성
제1장 전화가 있는 사회―미디어가 미치는 영향
1. 전화가 있는 생활
2. 미디어의 메시지
3. 전화의 메시지
4. '여보세요……'
5. 어포인트먼트(appointment)
6. 용건과 잡담
7. 금기와 침범
제2장 변용하는 사회공간―전화가 월경(越境)하는 사회
1. 생활문화로서의 전화
2. 가정에 침입하는 전화
3. 개인실을 잇는 전화
4. 지역 속의 전화문화
5. 유선방송전화에서 공사전화로
6. 전화가 편재(遍在)하는 도시
7. 장소의 공간, 전자의 공간
제3장 수화기 속의 접촉―전화의 신체론
1. 손을 뻗어서, 누군가와 접촉을
2. 미스티를 틀어줘요…
3. 거리(距離) 환상
4. 말이 없는 쌍둥이 소녀
5. 표면과 이면
6. 메카트로의 손
7. 전화라는 장소
제4장 개인실의 네트워크―회선망 속의 사회
1. 회선 속의 리얼리티
2. 전화를 둘러싼 라이프사이클
3. 단신자 문화로서의 전화
4. 전언 다이얼 속의 리얼리티
5. 전언계(傳言界)를 떠도는 단신자들
6. 전자 목소리의 네트워크
7. 전자적 사회권의 여러 차원
제5장 잃어버린 미디어 비전―전화의 자명성의 성립
1. 전화의 자명성
2. 노래하는 전신―전화 발명을 둘러싼 비전
3. 전화를 둘러싼 상상력
4. 라디오 같은 전화
5. 트랜스포테이션에서 커뮤니케이션으로
6. 전신과 전화
7. 라디오와 전화
8. 메이지(明治)의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9. 전화의 역사성과 자명성
제6장 전화문화의 정치경제학―전화의 오늘날의 변용을 둘러싸고
1. 무엇이 변한 것인가?
2. 전화기의 기호변용
3. 회선 서비스의 다양화
4. 전화 시스템의 구조변화
5. 기간통신의 변화를 둘러싼 문제들
결론 또다시, 미디어로서의 전화
글을 마치며
전화를 미디어로서 보기 위한 북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