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광고라 하는 것은

광고라 하는 것은

(1876-2008, 신문 광고와 사회 변화)

김병희, 마정미, 서범석, 신인섭, 신기혁, 이희복, 김대환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450원
14,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광고라 하는 것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광고라 하는 것은 (1876-2008, 신문 광고와 사회 변화)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광고/홍보
· ISBN : 9788984995895
· 쪽수 : 297쪽
· 출판일 : 2009-05-18

책 소개

120년 광고사에 담긴 한국의 사회문화 변천사를 다룬 책이다. 개화기, 일제 강점기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는 시대별 특징을 ‘광고’를 통해 분석하며, 각 시대의 광고 환경을 살피고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문화도 소개한다. 이 책은 정치, 경제 등 거시적인 측면부터 광고주, 광고업종 등의 미시적 환경까지 고루 다루고 있어 소비문화의 변화 과정뿐 아니라 당대 유행과 삶을 읽을 수 있다.

목차

머리말

1장 개화기 신문 광고(1876∼1910)
1. 광고의 도입과 정착
2. 광고 환경의 특성
3.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문화
4. 개화기는 광고의 ‘개화기(開花期)’


2장 일제 강점기 광고(1910∼1920)
1. 일제 강점기 시대상
2. 광고 환경의 특성
3.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문화
4. 통제 속 광고의 성장


3장 광고의 성장과 쇠퇴기(1920∼1945)
1. 다양한 광고의 등장
2. 광고 환경의 특성
3.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문화
4. 광고 변화의 시기


4장 정치적 격동기와 경제 성장기(1945∼1967)
1. 정치적 격랑과 한강의 기적
2. 광고를 둘러싼 주변 환경
3.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문화
4. 광고산업과 소비문화의 발원지


5장 현대적 광고의 정착과 급성장(1968∼1980)
1. 코카콜라, 현대광고 시대를 열다
2. 광고 환경의 특성
3.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문화
4. 광고산업 발전의 터를 닦은 13년


6장 언론통폐합, 한국방송광고공사 설립(1980∼1988)
1. 정치의 대변동
2. 광고 환경의 특성
3.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문화
4. 그 밖의 일
5. 매체 환경의 격동기


7장 광고의 개방화, 국제화(1988∼2008)
1. 개방과 국제화 시기
2. 광고 환경의 특성
3.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문화
4. 마음을 얻는 광고

저자소개

김병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서 광고학박사를 받았다. 한국광고학회 제24대 회장, 한국PR학회 제15대 회장, 정부광고자문위원회 초대 위원장, 서울브랜드위원회 제4대 위원장으로 봉사했으며, 현재 한국공공브랜드진흥원 부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동안 『디지털 시대의 카피라이팅 신론: 챗GPT를 활용한 광고 카피 쓰기』(2024), 『디지털 시대의 광고 마케팅 기상도』(2021)를 비롯한 60여 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디지털 시대의 광고 산업 생태계를 고려한 광고의 새로운 정의”(2024)를 비롯한 11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발표했다. 한국갤럽학술상 대상(2011), 제1회 제일기획학술상 저술 부문 대상(2012),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의 우수 연구자 50인(2017) 등을 수상했고, 정부의 정책 소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2019)을 받았다.
펼치기
마정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정치언론국제학과 부교수다. 경희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평론가, 광고평론가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최진실 신드롬>, <광고비평의 이해>, <광고로 읽는 한국사회문화사>와 <근대적 육체와 일상의 발견> 등이 있다. 최근 미디어의 변화와 문화 변동을 연구한 <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와 <문화번역>을 출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광고홍보학과 문화연구, 광고사다.
펼치기
서범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중앙대학교 정경대학 광고홍보학과를 졸업하고 (주)LG화학에 입사하여 광고과장, 마케팅부장을 지냈다. (사)한국광고학회장, (사)한국옥외광고학회장을 맡았었다. 대한민국 근정포장과 매일경제신문사 학술공로상, 제일기획 학술상(광고학회 올해의 논문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현대광고기획론’(2010), ‘광고와 소비자’(1997), ‘옥외광고론’(2001), ‘한국광고사’(2011, 공저), ‘현대사회와 광고’(2003, 공저), ‘광고전략 에센스’(1997,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신인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평양교원대학 국문과 졸업 국방부장관 의전담당 보좌관(육군 소령) <현대경제일보>(현 <한국경제>), <일요신문> 광고부장 럭키그룹 홍보선전실 희성산업(현 HS애드) 이사 한국ABC협회 초대 전무이사, 서울카피라이터즈클럽 초대 회장 서울 개최 아시아광고회의, IAA 세계광고대회 사무총장 서강대, 고려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등 강사 한림대 객원교수, 중앙대 초빙교수 주요 저서:《광고카피라이팅》,《광고실무론》,《국제광고PR론》《일본광고사》,《중국광고사》,《한국광고사》,《한국PR사》《조선일보와 광고》, Advertising in Korea 외 10여 권
펼치기
신기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철학과와 미국 노스 텍사스 주립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MBC 애드콤(MBC Adcom) 국제부 부장, 동인 마케팅 대표, 영산대학교 매스컴 학부 광고홍보 담당 초빙 교수를 지냈다. 현재 고신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광고학개론>, <국제광고와 PR>(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희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고 회사 MBC애드컴, 오리콤, FCB한인, 진애드에서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으며, 경주대학교 교수를 거쳐, 지금은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부 광고홍보 전공교수로 있다. 한국광고PR실학회 ≪광고PR실학연구≫ 편집위원장으로 있으며, 한국광고학회 편집위원을 겸하고 있다. 한국광고홍보학회 감사이며, 대한적십자사 홍보 자문교수,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 심의위원, 행정안전부 자문위원,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자문위원, 보건복지부 혈액증진위원으로 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풀러턴) 방문교수, 한국광고PR실학회 회장, 공익광고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대학생광고대상 집행위원, 대한민국광고대상 심사위원장(TV 영상)을 역임하면서 인턴십과 공모전 등 광고홍보의 현장과 학교를 잇는 데 힘을 보태왔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 학사와 석사를, 경희대학교에서 광고PR을 전공해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광고산업과 정책, 광고카피(슬로건), 도시 브랜드, 광고 활용 교육 등이며, ≪광고학연구≫, ≪광고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등 저널에 논문을 발표해왔다. 『브랜딩 텔레비전』(공역, 2014) 등의 역서와 『미디어 스마트』(공저, 2013), 『소셜 미디어 시대의 광고』(공저, 2015), 『광고활용교육』(2016), 『도시 브랜드 슬로건 전략』(2017), 『설득의 수사학 슬로건』(2017) 등의 저서를 출간했다. 광고는 ‘창의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설득’이라는 믿음이 있다. 이메일 주소: boccaccio@hanmail.net 페이스북 주소: www.facebook.com/leeheebok
펼치기
김대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주대학교 방송언론광고학부 교수. 인류 역사와 미디어 변천 과정을 주된 연구 주제로 삼고 있으며, ‘근대와 여성’, ‘식민지 조선과 일본 광고’ 등에 관심이 많다.
펼치기

책속에서

무론 아무든지 무슨 영업이나 상업이나 공업이나 하려면 세계가 다 알아야 그 사무가 날로 더욱 흥왕하여 이익이 불어나는 것이요, 만일 세계에서 누가 무슨 사업을 하는지 널리 알지 못할진대 그 사업이 어찌 흥왕하기를 바라리오. 그러한즉 광고라 하는 것은 비유컨대 기계와 같이 증기의 힘을 얻어 저절로 돌아가는 것이니…. (≪독립신문≫ 1899년 6월 2일)
-1장 개화기 신문 광고(1876∼1910) 중에서

우리나라의 신문에 처음으로 광고가 등장한 것은 1886년이었다. “아이나 노인이 와도 속이지 않겠다.”라는 카피로 시작되는 이 광고는 개화기의 대표적인 외국무역상인 독일 세창양행이 실은 것이었다. 아이나 노인을 속이지는 않았겠지만 세창양행을 비롯한 서구 열강의 무역 활동은 조선을 자원의 수탈지이자 자국의 공산품 소비시장으로 전략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초창기 신문 광고는 이런 제국주의 열강의 경제 침탈 상황을 엿볼 수 있게 한다.
-3장 광고의 성장과 쇠퇴기(1920∼1945) 중에서

광고를 보는 시간과 공간을 소비자가 결정하는 시대가 되었다. 광고를 마케팅이라고 보는 사람보다는 커뮤니케이션, 나아가 소비자 관계 관리로 보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그것에 대한 증거가 대한민국광고대상 대상작에 있었다. 광고가 우리 사는 “생활의 중심(SK텔레콤, 2006)”으로 “인생은 길기에(삼성생명, 2005)” 그 인생을 아름답도록 해주며, “마음에 힘이 되는 시 하나 노래 하나(교보생명, 2004)”가 되어줄 것으로 믿는다.
-7장 광고의 개방화, 국제화(1988∼2008)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