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85635790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07-11-2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근대'에 관한 명상
착한 국민 콤플렉스? 21 미국의 애국주의? 24 도심의 추석 축제? 27
아시아행 비행기 표? 30 담담한 상봉의 감동? 33 삼보일배, 개발 독재와의 결별? 36
진퇴양난 1. 잘 키운 우리 딸? 39 진퇴양난 2. 오래된 연인들? 42
고실업 위험 사회를 살아내기
빨간 마후라? 47 위험 교실, 침묵은 독? 50 무고한 죽음? 53
과잉의 시대에 살아남기? 57 글로벌 시대 국경 넘나들기? 59 청소년은 누구?? 62
부산 ‘우다다학교’ 무인도 탐사 사건이 우리에게 남긴 것? 65 강의실 붕괴? 69
학교를 살려 사회를 살리다
열정 꺼지지 않는 세상 만들기? 75 하고 싶은 걸 왜 참나요? 78
다음 세대를 위한 학습 시공간? 81 온라인 게임 산업과 교육 개혁? 87
다시 ‘민주’의 이름으로? 92 수련의 자리, 구경꾼의 자리? 92
가정과 학교와 일터의 벽 허물기? 99 다양한 대안 학교들 생겨나게? 102
긴 호흡 작은 학교? 105 학교를 살려 사회를 살린다? 108 후천 가족 시대의 교육? 111
다시, 마을이다
행복하게 살아남기? 123 더는 허물지 않는다? 127 노동하는 몸, 놀이하는 몸? 132
88만원 세대를 위하여? 135 집이 아니라 마을이 필요하다? 139
서로 소통하는 ‘돌봄’ 사회로? 146 미래의 마을 만들기? 149
‘주제’와 ‘주민’이 있는 축제? 156 용산공원 살림의 시공간으로 되살리려면? 163
피스 앤 그린 보트 마을에서? 167 추석 속으로 ‘우리 명절 만들기’? 173
학교가 있는 마을에서 쓰는 편지
길 떠나는 고래 세 마리? 185 배움은 만남이며 돌봄이다? 188
우리 동네 사람이 되어 주세요? 192 다시 돌아온 학교 친구들에게? 194
비상하는 기운을 느끼며? 196 새해 인사? 200 ‘9거리 상세 지도’를 그리는 아이들? 204
네트워크 시대의 ‘학교들 학교’? 206 2014년 4월 5일에? 210
삶의 기본기를 익히는 배움의 장? 213 소망 상자를 받고서? 216
아이들을 망치는 386 세대 드센 부모들? 219 갈등 회피와 갈등 해결? 222
아이들이 행복하게 ‘서식’하는 생태계를? 225
에필로그? 23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부모에게 상처 주는 일을 차자 못하는 '착한 심성'을 가졌다는 것, 그렇게 용기 있게 사고를 쳐 본 경험이 없다는 것, 여전히 여자들에게 약간의 정절 이데올로기 같은 것이 요구되는 봉건 사회라는 것, 여기에 미래가 너무 불투명하고 불안한 것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분명한 것은 근대화/개인주의화/합리화가 진행되던 한국 사회가 21세기에 ㄷ르어서 개인주의도 집단주의도 아닌 아주 이상한 어떤 곳으로 가고 있다는 것이다.-p44 중에서
학교는 자율과 상생의 공간,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를 돌보고 배우는 곳입니다. 저는 가끔 대안 학교 현장들이 커리큘럼이 없다고 불안해하는 목소리를 듣습니다. 지금은 불안해하고 갈팡질팡할 때가 아닙니다. 그간 우리들이 해 온 그 소중한 '만남과 돌봄'의 노하우를 어떻게 생생하게 살려 내고 이미 그런 실험을 해 온 곳과 연결하면서 체계화해 낼지 고심해야 할 때입니다.-p190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