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사회사
· ISBN : 9788987057606
· 쪽수 : 431쪽
· 출판일 : 2006-04-15
책 소개
목차
서문
1. 지식이 탄생하다
지식사회학, 첫선을 보이다 | 지식사회학, 부활하다 | 지식사회학, 역사를 만들다 | 지식이란 무엇인가? | 지식은 복수로 존재한다
2. 지식인들이 출현하다
지식인들은 언제 처음 나타났나? | 중세의 지식인들 | 인쇄술, 일자리를 만들다 | 교회와 국가가 창출했던 일자리들 | 지식인들 사이에서 일어난 분화 | 지식인, 집단적 정체성의 형성 | 이슬람 세계와 중국의 지식인들
3. 지식이 제도화되다
르네상스 | 과학혁명 | 계몽주의운동 | 결론, 그리고 기독교도와 무슬림의 교육세계 비교
4. 지식의 공화국이 탄생하다
학식의 공화국 또는 지식의 공화국 | 일본 지식의 창구 나가사키와 데시마 | 주변과 중심 또는 현장과 서재 | 항구를 통한 유럽의 지식 수입 | 항구의 경쟁자였던 지식의 수도들 | 도서관의 지리학 | 도시, 자신에 관한 정보를 생산하다 | 지식은 어떻게 처리되었을까? | 지식의 보급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 더 넓은 바깥세계를 발견하다
5. 지식을 분류하기 시작하다
지식의 인류학 | 지식의 분류학 | 학과란? | 교과과정은 어떻게 짰나? | 도서관에서 책이 배치되는 순서 | 백과사전은 어떻게 구성되었나? | 지식을 주제로 분류하다 | 분류방식의 변화로 지식의 지형도가 바뀌다 | 재조직되는 학과와 강좌들 | 도서관의 책들에도 재분류 바람이 불다 | 박물관에 있는 희귀품들의 분류방식 | 백과사전의 지식은 알파벳순으로 | 학문은 진보한다 | 결론
6. 지식을 통제하다
중앙집권화와 함께 등장한 관료제 | 교회, 모델이 되다 | 상대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라 | 통제욕과 호기심으로 나라 밖 정보를 수집하는 제국 | 나라 안 정보 수집은 시찰, 질문서, 통행증으로 | 정보의 도구로 이용되는 지도 | 통계학, 수치로 표시된 정보의 출현 | 정보의 보관과 검색 | 지식 검열이 이루어지다 | 정보의 누출 혹은 공개
7. 지식을 판매하다
지적 재산권, 지식이 권리 혹은 재산이 되다 | 산업스파이를 이용해 내가 갖지 못한 정보를 얻는다 | 이윤과 직결되는 시장정보 |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정보 활용 | 증권거래소, 주식투기꾼들, 그리고 정보 | 인쇄술, 지식의 상품화를 자극하다 | 지식의 상품화 과정 들여다보기, 16세기 베네치아 | 지식의 상품화 과정 들여다보기, 17세기 암스테르담 | 지식의 상품화 과정 들여다보기, 18세기 런던 | 상품으로 취급되는 뉴스, 그리고 잡지 | 눈이 돌 정도로 다양한 참고서적의 등장 | 점점 더 방대해지고 또 비싸지는 백과사전 | 결론
8. 지식을 소비하다
독법의 역사 | 참고서적의 출현과 독서방식의 변화 | 알파벳 순서대로 정보를 조직하는 방식 | 시간이 흐를수록 늘어가는 정보들 | 정보를 얻던 방식들 | 몽테뉴 대 몽테스키외 | 외국에 관한 정보 구하기
9. 지식의 위기에서 탈출하다
회의주의의 아버지 파론이 부활하다 | 실용적 회의주의 | 지적 위기의 탈출을 위해: 수학적 접근 | 지적 위기의 탈출을 위해: 경험주의 | 원천으로 돌아가자: 각주의 출현 | 경신성과 회의, 그리고 지식의 사회사
주
참고문헌
역자후기
인명 및 용어 색인
도서 색인
리뷰
책속에서
중세 말 이후로 지식을 활용해 경제적 이득을 얻어야 한다거나, 직업상의 비밀을 '귀중한 지적 재산'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따위의 주장들을 점점 자주 만나게 된다. (...) 세계 최초로 서적에 저작권이 설정된 것은 1486년의 일로, 인문주의자 마르칸토니오 사벨리코가 베네치아 역사서를 써서 첫 수혜자가 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이 분야의 법제화는 파편적인 양상으로 시작되었다. 교황이나 황제, 왕들이 특정한 텍스트나 인쇄업자들, 장르, 어떨 때는 새로운 글꼴을 보호할 목적으로 특권들을 내주면서, 다시 말하면 임시로나 항구적으로 독점권을 내주었던 것이 저작권법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황제 카를 5세는 오랜 재위 중에 이런 종류의 보호장(Schutzberife)'을 모두 마흔한 번 하사했다. 18세기의 저작권법들은 여러 형태의 특허들로 이루어졌던 초기 방식에서 발전해 나왔던 것이다. - 본문 256~25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