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47549738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4-09-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_무지라는 미지의 영역에 대하여
1부 사회의 무지
1장 무지란 무엇인가?
2장 무지에 관한 철학자들의 견해
3장 집단의 무지
4장 무지의 연구
5장 무지의 역사
6장 종교의 무지
7장 과학의 무지
8장 지리학의 무지
2부 무지의 결과
9장 전쟁의 무지
10장 비즈니스의 무지
11장 정치의 무지
12장 놀라움과 재앙
13장 비밀과 거짓말
14장 불확실한 미래
15장 과거에 대한 무지
맺으며_새로운 지식과 새로운 무지
부록_무지 용어 사전
주
리뷰
책속에서
지식의 사회학이 존재한다면 무지의 사회학 또한 필요하다. 무지의 사회학은 ‘누가 무엇을 알지 못하는가?’와 같은 질문에서 시작될 것이다. ‘우리는 모두 무지하다. 다만 무지의 대상이 다를 뿐이다.’ 독자들은 미국 소설가 마크 트웨인Mark Twain의 이 명언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오늘날 전 세계에서는 6천여 개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다국어 구사자조차 그중 99.9퍼센트를 모른다. 또 다른 예로 전염병학자들은 다양한 질병이 야생 동물에서 인간에게로 전이될 위험성을 발견하고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예측했다. 그럼에도 각국 정부는 이 예측을 몰랐거나 알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무방비 상태로 전염병에 직면하고 말았다.
_1장 무지란 무엇인가?
무지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은 근본적인 문제에 직면한다. 바로 ‘없음’을 어떻게 연구하느냐 하는 점이다. 사회과학자들은 ‘유권자의 무지’ 등을 조사함으로써 무지에 대해 연구할 수 있지만, 애초에 존재하지 않은 것의 역사는 대체 어디를 어떻게 연구해야 할까?
_5장 무지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