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부모교육
· ISBN : 9788987162812
· 쪽수 : 255쪽
· 출판일 : 2008-01-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청소년기에 자립심이란 얼마나 중요한가?
1장 어떻게 자립할 것인가? - 가와치 가즈코
자립이란 왜 중요한 것일까
자립이란 무엇일까?
자립의 네 가지 조건 | 자립을 실현한 소년, 허클베리 핀 | 자기 주변의 일을 해나가는 기쁨
자신감이 없어서 자립할 수 없다?
나는 자립하지 못했다는 생각 | '자립 훈련'을 하지 않는 진짜 이유 | '착한 아이'노릇 하기도 이젠 지쳤다 | 서양에서는 자녀를 10대에 독립시킨다 | 유치한 내가 싫지만,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다 | 누군가에게 의지해서는 안 되는 걸까? | 자립한다는 것은 고독한 것?
어떻게 자립할 것인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지역의 '단체'에 참가한다 | 정치와 관계를 맺은 허크
칼럼 '자립'과 '자율'은 어떻게 다른가?
청소년들에게 들려주는 조언
2장 부모님과의 원만한 관계 유지가 자신감의 원천 - 가와치 가즈코
우리 부모님은 어떤 타입인가?
부모에게만 책임이 있는 걸까? | 부모에는 4가지 타입이 있다
'과보호형'부모와 자녀 관계
'과보호형'부모의 경우:어떻게 하면 좋을까? | 때로는 '반항'도 필요하다 | 어떤 표현으로 전달하면 좋을까? | 자녀가 부모에게 가르쳐줄 수 있는 것
'강요형'부모와 자녀 관계
부모와 자녀 '서로가 포기'해서는 안 된다 | 부모님이 '강요형'인 경우:어떻게 하면 좋을까? | '스스로 결정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 부모님이 자신의 취향이나 가치관을 강요할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방임형'부모와 자녀 관계
부모님이 '방임형'인 경우:어떻게 하면 좋을까? | 부모님에게 이야기해도 효과가 없을 때
'개방형'부모와 자녀 관계
무엇이든 상의할 수 있다
칼럼 10대의 반항에는 이유가 있다
청소년들에게 들려주는 조언
3장 자신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 - 가와치 가즈코
내게는 '좋은 점'이 있다
'자신감'이란 무엇인가? | '자신을 사랑하는 것'에 대해서
'나는 나름대로 좋은 점이 있다'고 생각하자
'되고 싶은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 자신감을 가져다준다 |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 자신의 능력과 약점을 잘 파악한다 | 다음에 경험을 살린다 |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 | 나를 이해하는 단 한 사람의 친구만 있어도 좋다 | 현실은 엄격하다 | 10대는 준비만을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니다 | 세 사람의 공통점
자신감이 없으면 하루하루가 괴롭다
한 사람 한 사람은 그렇게 강하지 않은 존재 | NO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 | 어떻게 노력해야 하는 건지 모르겠다 | 자신감이 부족한 세 사람의 공통점
자신감과 우월감은 다르다
'자신만만'은 나쁜 것? | 자신만만과 우월감의 차이
자신감이 없는 우리의 청소년
왜 자신감이 없는 걸까?
칼럼 '어른들은 자기중심적'일지도 모른다
청소년들에게 들려주는 조언
4장 확고한 자신의 생각을 갖는 방법 - 오쿠무라 도모코
자신의 생각을 파악하자
재료는 어디에나 있다 | 음미의 중요성 | 마음의 캐치볼 | 두려워하지 말고 자신을 표현하자 | 마음의 만족도 | 상대방의 생각을 이해하기란 꽤 어렵다
좋은 표현, 나쁜 표현
'열 받는다', '모두가 그렇다고 하니까...' | 이렇게 말하는 것은 어떨까 | 서로에게 다가갈 수 있는 표현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자
내 생각이 어디로 향해야 좋을지 모르겠다 | 실패를 통해서 생각을 고칠 수 있다 | 혼자서 자신을 직시하며 생각하자 | 생각하며 행동하고, 행동한 뒤 생각하자 | 나만 '공중에 떠버렸다!'
여러 가지 사고방식을 알고 자신감을 키우자
친구로부터 생각의 힘을 배운다 | 책에서 생각의 힘을 배운다 | 학교 수업에서 생각의 힘을 배운다
칼럼 내 인생을 결정지은 한 권의 책
청소년들에게 들려주는 조언
5장 '자신을 좀 더 표현하고 싶은'사람에게 - 가와치 가즈코
사람은 무인도에 있을 때도 자신을 표현하고 싶어한다
'나를 바꾸기'위한 연습
거절하는 법,NO라고 말하는 법 | 거절에 관한 7가지 연습문제 | 솔직 모드 | 부드럽게 말한다 | 자신의 장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자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하는 게 서툴다?
자신의 의견을 분명히 말할 수 있는 사람 | '누구 의견 있습니까?' | 수업시간의 발언은 왜 중요한가? |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하는 연습을 해보자 | 어떤 주제가 좋을까 | 얌전한 표현에 대해서 | 나는 나로 충분하다!
칼럼 자신감을 잃게 되는 원인
청소년들에게 들려주는 조언
4장 나약해졌을 때 자신감을 되찾으려면? - 오노 유미코
조언을 해줄 어른을 찾아보자
사랑받고 있다는 자신감 | 시켜서 '열심히' 하는 것은 괴롭다 | 어떻게 노력할 것인가는 스스로 결정한다 | '이것은 열심히 하지 말자'고 결정한다
'자신감이 없는'두 가지 타입
A타입:나는 남들보다 못하다는 생각 때문에 주위 사람들의 평가가 신경이 쓰여 견딜 수가 없다 | B타입:자신감은 있지만 일이 잘 풀리지 않는다
내 편이 되어줄 사람을 찾자
여러분을 인정해주는 사람이 있는가? | 주위에는 여러 종류의 사람들이 있다 | 응원해 줄 사람을 선택하는 법 | 내 편이 되어주는 것은 어떤 사람? | 든든한 지원권을 만들자 | 보이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하나? | 실패한 자신, 미숙한 자신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 미숙한 자신을 혼자서 끌어안고 있는 것은 너무 힘들다 | 고민해도 좋다.방황해도 좋다 | 실패할 때도 있고 못할 때도 있다. 그것으로 충분하다 | 여러분을 지켜봐주는 사람의 마음을 느끼자
책속에서
10대는 준비만을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니다
10대는 어른이 되기 위한 준비기간, 도약기간인 것처럼 여겨진다. 부모님이나 선생님은 ‘너의 미래를 위해 공부를 해라’, ‘지금은 참고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해라’라고 말한다. ‘왜?’라며 의문을 품을 때도 많을 것이다.
무슨 일에나 준비기간은 필요하다. 하지만 미래를 위한 준비기간이 몇 년이나 계속되며, 인내의 시간만이 오래 계속되면 괴로움을 느끼게 된다. 준비를 위해서 무엇을 참아야 하는 것인지, 인내는 어느 정도 계속되어야 하는 것인지, 그 인내 속에서도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는 없는 것인지를 생각해가며 선택해나가야 한다.-본문 117p 중에서
시켜서 ‘열심히’ 하는 것은 괴롭다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하라’고 해서 ‘열심히 한다’면, 결과가 나빴을 때 부모님이나 선생님에게 버림을 받지나 않을까 불안해진다. 때문에 어떻게 노력해야 좋을지 방법도 모르는 채로 그저 ‘열심히 하는 척’만 하게 되고, 결국에는 노력하는 것을 포기하게 된다. 누가 말하기에 앞서서 스스로 ‘열심히’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내고, 자신을 믿는 힘이 중요하다.-본문 216p 중에서
② “넌 아버지를 닮아서 끈기가 없어.”라며 어머니께 야단을 맞았다. 늘 이런 식으로 말씀하시기 때문에 곱게 받아들일 수가 없다.
⇒ “엄마, 왜 그렇게 말해? 내가 아버지를 형편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싫어해도 상관없어?”라고 말했더니 어머니도 말이 지나쳤다는 사실을 인정했다.-본문 152p 중에서